주간 정덕현

김은희 작가의 신들린 필력, 통찰과 깊이까지 생겼다(‘악귀’) 본문

동그란 세상

김은희 작가의 신들린 필력, 통찰과 깊이까지 생겼다(‘악귀’)

D.H.Jung 2023. 7. 14. 14:35
728x90

‘악귀’에는 왜 청년 자살귀, 객귀 이야기가 등장할까

악귀

나이 칠순의 어르신들만 남은 마을 백차골. 그 곳을 찾아간 산영(김태리)과 해상(오정세)은 마을에 객귀(길에서 횡사한 귀신)들이 넘쳐나고 있다는 걸 알게 된다. 어르신들도 하나둘 세상을 등져 점점 유령마을이 되어가는 백차골에서는 객귀가 사람에 붙는 걸 막기 위한 당제를 준비하지만 마을 어르신들은 힘에 부치고 누구도 찾아오지 않는 이 행사를 굳이 할 필요가 있냐고 답답한 마음을 토로한다. 이장(이용석)은 매년 당제를 지냈다고 하는데, 어째서 이 마을에 객귀들은 이토록 넘쳐나게 된 걸까. 

 

SBS 금토드라마 <악귀>가 가져온 객귀 이야기와 이를 몰아내기 위해 한다는 ‘허제비 놀이’ 서사에는 주목할 만한 지점이 있다. 그건 바로 청년들에 대한 이야기다. 백차골 같은 마을이 청년들이 도시로 떠나 어르신들만 남게 된 지역의 현실을 담고 있다는 점이 그렇다. 실제로 빈 집들이 넘쳐나 유령마을 같은 지역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현실이 아닌가. 

 

<악귀>는 그러나 청년들이 떠나 소멸되고 있는 지역의 어려움만이 아니라, 그렇게 도시로 떠난 청년들의 좌절 또한 담고 있다. 당제를 반대하며 제에 쓸 허제비 인형을 불태워버리는 박씨 할머니(이용이)의 이야기가 그것이다. 해상처럼 집안에 들어온 객귀를 알아보는 할머니는 하지만 전혀 놀라지 않고 객귀를 위한 밥상을 마련하고 함께 밥을 먹고 있었다. 그 객귀는 바로 시골이 싫어 도시로 떠났지만 결국 자살해 시신으로 돌아온 딸이었다.

 

객귀를 보고도 왜 피하지 않냐는 해상의 물음에 할머니는 이렇게 말한다. “왜 피하겠어. 몇 십 년 만에 집에 돌아온 딸을. 답답한 시골마을 싫다고 도시로 나가겠다고 가출했었어. 그런데 뭐가 그렇게 힘들었는지 자살해 버렸어. 하루도 잊어본 적이 없는데 내가 왜 얘를 피하겠어.” 

 

모든 게 도시를 중심으로 돌아가고, 그래서 시골에서는 할 수 있는 게 점점 없어지는 청년들은 도시로 몰려든다. 하지만 가난한 청년들이 도시의 빈민으로 그 살풍경한 경쟁 속에서 살아가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시골에서는 더 이상 생존하기 어려운 청년들은 돌아갈 수도 없다. 결국 외지를 떠돌다 죽어서야 비로소 집으로 돌아오는 청년들을 ‘객귀’라는 소재로 풀어낸 게 바로 이 에피소드다.

 

<악귀>는 이미 고시원에서 벌어진 청년들의 연쇄 자살사건을 통해서도 고액의 등록금과 그걸 감당하기 어려워 사채에까지 손을 댔다가 학생 때부터 빚쟁이가 되고, 심지어 졸업 후 취업도 되지 않아 빚 독촉을 받다 스스로 목숨을 끊는 비극을 ‘자살귀’라는 소재로 풀어낸 바 있다. 즉 객귀나 자살귀 같은 오컬트 소재를 끌어왔고, 현실에서 벌어지는 불법 사채업이나 보이스피싱 같은 범죄 이야기가 더해졌지만, 그 장르적 재미에 머물지 않고 이를 통해 청년들의 현실 같은 사회적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는 것이다. 

 

오컬트와 범죄스릴러를 오가며 귀신이 한 짓인지 범죄자가 한 짓인지를 두고 시청자들과 밀당을 하면서, 이러한 이야기에 현실에 대한 통찰을 더해 넣는 것. 그저 빠져서 보다보면 한 시간이 훌쩍 지나가는 몰입감 때문에 쉽게 써진 것 같지만 그 전후사정을 들여다보면 결코 만만한 작업이 아니라는 걸 알 수 있다. 거기에는 범죄와 민속학을 취재해 소재를 찾아내고 그것을 현실 문제로 통찰해내는 일련의 과정이 들어 있어서다. 

 

<악귀>라는 귀신 들린 청춘의 이야기에 빗대 말한다면 말 그대로 ‘신들린’ 필력이 아닐 수 없다. 그간 장르물에서 ‘대가’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쥐락펴락하는 능력에 깊이와 통찰까지 더해졌다. 그래서 <악귀>라는 작품은 김은희 작가가 새로운 세계로 나 있는 ‘문을 여는’ 작품이 되지 않을까 싶다. (사진: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