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에덴의 동쪽’, 가족애 그 이상을 그릴까

728x90

‘에덴의 동쪽’, 붕괴된 가족을 복기하다

형 동철(김범)이 동생 동욱이 저지른 방화를 대신 뒤집어쓰고 소년원에 들어간다거나, 그 진실을 어머니에게 비밀로 숨긴다거나, “목숨걸고 공부해라”던 형과의 약속을 지키고 동욱이 서울대 법대 수석으로 합격을 한다거나 하는 ‘에덴의 동쪽’의 에피소드들은 옛 드라마들이 가지고 있던 가치관들을 그대로 재연한다. 거기에는 우리가 흔히 구태의연한 드라마들이라 비난하던 가난, 원한, 복수, 출생의 비밀, 재벌과 얽히는 삼각관계 같은 신파의 코드들이 존재한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이 70년대에나 어울릴 법한 코드들 앞에 21세기를 살고 있는 시청자들의 마음이 움직이는 것은.

시간을 되돌려 가족을 복기하다
‘에덴의 동쪽’에서 어린 동철(신동우)은 아버지를 만난 자리에서 하늘을 향해 손을 벌렸다가 가슴을 툭툭 치고 입가로 손을 가져간 뒤 엄지손가락을 앞으로 쭉 내민다. 그 수신호는 자신이 아버지를 “하늘만큼 사랑한다”는 뜻. 이 수신호는 이 드라마에서 어떤 대사보다 더 강렬하게 가족 간의 애정을 표현하는 장치다.

죽은 아버지의 무덤가에서 너무 놀라 말조차 잊어버린 동철은 마지막 가는 길에 이 수신호로 대신 마음을 전한다. 동생이 홧김에 저지른 방화를 대신 뒤집어쓰고 마을을 떠날 때, 열차 위에 오른 동철이 따라오는 동생 동욱에게 이 수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그는 외친다. “너는 내가 가장 사랑하는 내 동생이다!”라고.

만일 이 드라마의 시대가 현재라면 어떨까. 아마도 가족 간의 사랑은커녕 따뜻한 눈길조차 어색해져 버린 작금의 상황에 이 수신호는 코미디가 되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다행스럽게도 그 시대가 70년대인데다 장소도 태백 황지의 막장 탄광촌이다. 시간을 과거로 되돌려놓자 지금 시대라면 촌스러울 수도 있는 노골적인 가족애의 표현들은 진정성을 갖게 된다.

무엇이 이 가족을 붕괴시켰나
이 드라마는 처음부터 끝까지 가족을 그 중심에 세우고 있다. 즉 신태환(조민기)이라는 한 인물에 의해 붕괴되고 해체된 가족이 복수심과 가족애를 무기로 세상과 맞서는 이야기다. 신태환이라는 인물을 악역으로 세우면서 최초로 내세운 에피소드가 그의 애인이었던 미애(신은정)의 아기를 강제로 지우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이로써 신태환은 자신의 욕망을 위해 가족을 붕괴시키는 자로서 자리매김한다.

이 반대편에 선 인물은 동철이다. 그는 신태환이 붕괴시키려는 가족을 어떻게든 일으켜 세우고 묶어두려고 노력한다. 이역만리 마카오로 챙(박찬환)에게 억지로 끌려가면서 “가족을 버리고 못가요! 난 죽어도 돌아가야 해요.”라고 외치는 동철은 가족을 지키는 자, 즉 가장으로서의 면모를 드러낸다. 이렇게 동철과 동철의 가족들이 서로를 절절히 생각하게 된 것은 모두 아버지의 부재와 관련이 있다.

가족을 위해 매일 땅속을 파고 들어가는 막장의 노동을 짊어져야 했던 아버지에게 동철이 건네던 새장이 망가져 버렸을 때, 그것은 단지 아버지의 죽음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탄광일로 늘 어깨에 훈장처럼 달고 다니던 아버지의 멍 자국이, 달동네로 연탄을 나르며 공부를 하던 동욱의 어깨에도 똑같이 대물림되는 것은 이 젊은이들에게 아버지의 부재가 만들어낸 굴레이다. 그리고 그 아버지의 부재는 단순히 신태환과 이기철(이종원)의 사사로운 사건이 아니다. 그것은 지금의 현재를 만든 개발과 노동의 대립에서 비롯된 시대의 아픔이다.

붕괴된 가족이 세상과 맞서는 방법
이 드라마에서 동철의 어머니가 둘이라는 점은 이채롭다. 아버지 부재의 시간을 버텨내기 위해 두 명의 어머니가 필요했다는 점이다. 하나는 세상과 직접적으로 맞서고(양춘희-이미숙), 다른 하나(정자-전미선)는 아이들을 보듬는다. 또 그들은 힘겨울 때 서로를 돕기도 한다. 그리고 그들을 그렇게 한 울타리에 묶고 있는 건 다름 아닌 이기철이라는 이미 사라져버린 가장 때문이다.

이 드라마는 유독 아버지에 대한 집착이 끈질기게 그려진다. 칼에 맞은 챙을 구해준 동철에게 “네가 날 업고 뛸 때 애비 짓이라도 할 생각이었다”고 하는 챙의 진술은 인상적이다. “형이 있다죠?”하고 혜린(이다혜)이 동욱에게 물었을 때, 동욱이 “네 내겐 아버지 같은 존재죠”라고 말하는 장면도 마찬가지다.

동철이 돈을 벌기 위해 세상을 전전하는 것은 그 부재한 가장을 메우려는 몸부림이고, 동철의 서울대 법대 수석입학은 그것에 대한 자식 같은 동생의 화답이다. 아버지는 늘 가족을 위해 떨어져 있고(죽었거나 도망중이거나), 가족들은 늘 그 아버지의 귀환을 기다린다. 그리고 그것은 떨어져 있어도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다. 이역만리에서도 신문에 난 법대 수석 기사를 통해, 전화 한 통화를 통해 더 절절해지는 관계다.

70년대 개발시대를 살았던 원죄의식
드라마가 어떤 복수극의 틀을 가져왔다면 지금 가족들이 기다리는 건 아버지가 부재한 자리를 채워줄 동철의 귀환이다. 법대에 수석 입학한 동욱이 “형 만한 아우 없어요”라고 말하고, 합격 환영식장에 가는 동욱에게 춘희가 “네 형도 같이 간다고 생각혀”라고 말하는 것처럼 그들의 동철에 대한 그리움은 없어도 있는 자로서 자리할 정도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생긴다. 시청자들은 이미 이 운명의 쌍곡선을 보아버렸다. 복수를 위해 미애가 아기를 바꾸는 장면을. 그러니까 우리는 이미 이 절절한 형제애와 가족애로 똘똘 뭉친 이들이 사실은 철천지 원수지간이라는 것을 안다. 이것은 거꾸로 신태환의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다. 자신이 붕괴시키려 했던 것이 사실은 자신의 아들이었다는 사실은 이 끈끈한 혈연을 전면에 내세운 드라마 속에서 어떤 파란을 예고한다.

이것은 70년대 개발시대를 살아냈던 이들의 원죄의식을 끌어낸다. 개발시대, 그 어깨에 지워질 날 없는 멍 자국을 훈장으로 만들었던 건 가족이라는 우선적인 가치가 있었기 때문이다. 가족을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할 수 있었던 그 때, 누군가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다른 가족이 터전을 잃고 피눈물이 흘린 자리에 울타리를 세우고 살고 있었다. 개발이란 이처럼 자원의 파헤침(파괴)을 전제하는 것이다.

이 흔하디 흔한 출생의 비밀이란 코드가 이 드라마에서 기능하는 것은 바로 이 부분이다. 가족의 역할 바꾸기, 혹은 상황 뒤집어보기를 간단하고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에덴의 동쪽’은 먼저 70년대라는 타임머신을 타고 현재 점점 해체되어만가는 가족을 복기해 놓는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그 가족에 대한 향수에서 멈추지 않는다. 그렇게 끈끈하게 만들어버린 시대의 아픔을 거기서 들여다보고는, 이내 가족을 넘어 인간애를 바라다본다. 그리고 바로 이 부분이 지금 이 21세기에도 이 70년대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가 유효해지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