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유쾌한 똥 덩어리들의 클래식 반란

728x90

클래식은 서민들과 어떻게 만났나

‘아마데우스’, ‘파리넬리’, ‘피아노’, ‘홀란드 오퍼스’, ‘불멸의 연인’, ‘레드 바이얼린’, ‘샤인’... 클래식을 소재로 한 영화는 많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클래식을 소재로 한 드라마는 왜 거의 없는 걸까. 분명하지는 않지만 추정하자면 아마도 드라마라는 좀 더 대중적인 장르에 클래식이라는 고급스러운(?) 소재가 어딘가 어울리지 않는다 느꼈을 지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거의 유일무이한 본격적인 클래식 소재 드라마였던 ‘노다메 칸타빌레’를 통해 우리는 알게 되었다. 클래식은 충분히 대중들이 즐길 수 있는 소재가 된다는 것을. 우리네 드라마 지형도에서 클래식을 다룬 ‘베토벤 바이러스’가 등장한 배경에 ‘노다메 칸타빌레’의 영향력을 배제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같은 소재라고 드라마도 같을까. ‘베토벤 바이러스’에는 ‘노다메 칸타빌레’에는 없는 그 무엇이 있다.

‘베토벤 바이러스’와 ‘노다메 칸타빌레’, 무엇이 닮았나
클래식이라는 소재를 대중적으로 그린다는 것이 쉽지 않아서일까. ‘베토벤 바이러스’와 ‘노다메 칸타빌레’는 여러모로 닮은 구석이 많다. 먼저 주인공이 한 번 음을 듣기만 하면 전부 외워버리는 타고난 음악 천재라는 점이다. ‘노다메 칸타빌레’의 노다메가 그렇다면 ‘베토벤 바이러스’의 강건우(장근석)가 그렇다. 노다메와 그가 좋아하게 되는 치아키의 관계는, 강건우와 두루미(이지아)의 관계와 성별이 달라졌을 뿐 그 구도는 유사하다. 여기에 ‘노다메 칸타빌레’의 절대적인 스승이 되는 세계적인 지휘자 슈트레제만은 ‘베토벤 바이러스’의 강마에(김명민)와 유사하며, 치아키가 지휘를 배우게 되는 과정 또한 강건우가 지휘자의 길을 걷게 되는 것과 비슷하다.

인물 설정 이외에도 이 두 드라마는 스타일이 유사하다. 아마도 클래식이라는 소재가 가진 선입견 때문일 것이다. 드라마는 오히려 그 선입견을 깨기 위해 진지해지기보다는 코믹하고 가볍게 굴러간다. 클래식을 소재로 했기에 그 음악이 주는 힘을 드라마 속으로 끌어들이는 방식도 유사하다. 이렇게 보면 마치 ‘베토벤 바이러스’와 ‘노다메 칸타빌레’는 거의 같은 작품이라고 생각될 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이 두 작품은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 있다. 그것은 작품의 디테일을 구성하는 인물의 면면이 다르다. 그 인물들을 파고 들어가 보면 ‘베토벤 바이러스’가 우리네 정서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지, 또 ‘노다메 칸타빌레’에는 없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클래식이 서민 정서와 만났을 때
‘베토벤 바이러스’가 그리는 인물들의 특징은 이 드라마에 등장하는 아줌마 첼리스트 정희연(송옥숙)을 보면 알 수 있다. 음대를 졸업했지만 남편과 자식 뒷바라지를 하다가 어느덧 아줌마가 되어버린 정희연(송옥숙). 누군가 “아줌마!”하고 부를 때 그녀는 “제 이름은 정희연이에요.”하고 말할 정도로 자기 정체성을 찾고 싶어한다. 하지만 20년 간의 공백은 벽이 높다. 악명 높은 지휘자 강마에(김명민)는 그녀의 형편없는 실력을 가차없이 ‘똥 덩어리’라 표현하며 인간적인 모멸감을 준다. 강마에 식의 표현으로 말하자면 여기 오케스트라를 구성하는 인물들은 대부분이 클래식과는 어울리지 않는 ‘똥 덩어리’들이다.

후배를 상사로 모시면서 갖은 굴욕을 당하면서도 정작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은 하지 못하는 콘트라베이스 주자 박혁권(정석용)은 우리네 보통 샐러리맨들의 자화상이며, 한 때 서울 시향에서 연주할 만큼 실력을 가졌지만 정년 퇴직한 후 노인네 취급을 받는 오보에 주자 김갑용(이순재)은 우리네 노년층의 자화상이다. 밤무대 연주자라는 이력밖에는 없지만 꿈은 오케스트라 연주자인 배용기(박철민)는 우리네 마이너리티의 표상이고, 돈이 없어 음악공부는 고사하고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는 하이든(쥬니)은 우리네 저소득층 자녀들의 현실이다. 이 서민적 이미지를 가진 단원들은 모두가 저마다의 사연 하나씩을 들고 클래식이라는 세계로 들어간다. 그러니 클래식이라는 낯선 공간에 대한 도전은 이제 서민들의 잊고 있었던 꿈에 대한 도전으로 전화되면서 대중적인 공감대를 확보한다.

‘노다메 칸타빌레’에서 경쟁하는 인물들 간의 팽팽하고도 흥미로운 이야기 그 이상을 발견하기 힘들었던 것은 바로 이 같은 ‘베토벤 바이러스’가 보여주는 우리네 정서와의 교감이 없었기 때문이다. ‘베토벤 바이러스’는 바로 우리 주변에 있는 흔하디 흔한 인물들 속에서 비범함을 찾아내려 안간힘을 쓴다. 그리고 오케스트라에 있어서 그것은 혼자되는 일이 아니라, 여럿이 모여 함께 했을 때 가능한 것으로 드라마의 감동을 증폭시킨다. 사실 이 시대에 클래식이란 흔히 오인되어 왔던 것처럼 더 이상 어느 한 계층만의 전유물이 되지 못한다. ‘베토벤 바이러스’가 클래식이라는 소재를 통해 말하려는 것도 그런 것이 아닐까. 현실에 허우적대면서 감히 내 전유물이 될 거라 꿈꿔보지 못한 것들을 이제는 꿈꿔보라고. 너무 높아 꾸지 못할 꿈은 없는 거라고.
(본 원고는 청강문화산업대학 사보 100도씨(100C)에 게재된 원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