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타짜’, 손과 손모가지의 상관관계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타짜’, 손과 손모가지의 상관관계

D.H.Jung 2008. 9. 30. 16:38
728x90

‘타짜’, 아귀의 손아귀가 말해주는 것

선정적인 장면이라 할 수 있겠지만 ‘타짜’에서 손모가지를 걸고 행해지는 도박은 이 드라마의 백미라 할 수 있다. 보통의 도박이라면 돈만 잃고 나오면 될 일을 어째서 손모가지까지 걸게 되는 것일까. 여기에는 ‘타짜’가 말하는 이른바 ‘구라(도박판에서 상대방을 속이는 것)’의 세계가 끼여든다. 즉 ‘구라를 친 것이 발각이 되면’ 그 자리에서 손모가지를 잘라버린다는 것이다.

손모가지 자른다고 욕망이 끝날까
도박에 판돈 이외에 신체를 건다는 이 설정은 확실히 자극적이다. 이미 상영되어 대성공을 거둔 영화 ‘타짜’에서 아귀라는 캐릭터를 연기한 김윤석이 순식간에 스타덤에 오른 이유에는 그 섬뜩한 캐릭터가 한 몫을 차지했다. 아귀는 상대방의 돈만을 목적으로 도박을 하지는 않는다. 어떨 때는 그가 다른 타짜의 손모가지를 더 원하는 것은 아닐까 생각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드라마화 된 ‘타짜’에서 아귀(김갑수)는 이 면모를 먼저 드러내 보여주었다. 그는 자신의 경쟁자인 타짜 대호(이기영)를 끌어들여 손모가지를 걸고 순전히 복수를 위한 한 판을 벌인다. 그리고 그 대호의 손모가지를 자르기 위해 준비된 섬뜩한 도박은 부메랑처럼 아귀에게 되돌아와 그의 손모가지를 날려버린다.

그런데 왜 손모가지를 자르는가에 대한 의문을 품어볼 만하다. 그것은 너무나 당연하게도 도박을 더 이상 할 수 없게 만들어버린다는 징벌의 의미가 있다. 하지만 과연 손모가지를 자른다고 도박을 포기하게 될까. 아귀의 경우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손모가지와 도박의 포기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그는 여전히 하우스(도박장)를 들락거리며 호구(돈을 잃어줄 대상)들의 돈을 갈취한다.

보이는 손과 보이지 않는 손
아귀는 직접 패를 들고 싸우는 도박 현장에서 한 걸음 물러나 있지만, 이 하우스 전체는 그의 손아귀에 들어있다. 보이지 않는 그의 손모가지가 하우스 전체를 놓고 도박을 벌이고 있는 셈이다. 그는 보이지 않는 손모가지처럼 보이지 않는 존재로 이 세계를 장악하고 있다. 그의 손모가지(여기서는 얼굴도 포함된다)를 대신하는 손은 다름 아닌 영민(김민준)의 손이다.

따라서 ‘타짜’에는 두 개의 세계가 존재한다. 실제 삼팔광땡과 장땡을 들고 팽팽하게 맞서는 현장 도박의 세계가 있고, 그 도박의 세계 위에서 이뤄지는 작전 도박의 세계가 있다. 현장 도박의 세계가 눈에 보이는 손의 세계라면, 작전 도박의 세계는 보이지 않는 손모가지의 세계다. 즉 손이 없어도 도박이 이뤄지는 세계라는 말이다.

‘타짜’가 이 두 세계를 그리고 있다는 것은 이 드라마가 단순히 도박의 재미만을 추구하는 드라마가 아니라는 걸 말해준다. 순수한 의미(?)의 도박은 손의 경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도박은 상대방의 패를 읽을 수 있는 빠른 두뇌와 휘둘리지 않고 배팅을 걸 수 있는 배짱의 경기다. 그러나 ‘타짜’의 세계에는 두뇌와 배짱과 함께 손 기술이 들어간다. 물론 그 손 기술은 욕망의 상징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아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손이 없어도 이뤄지는 이 도박의 세계 속에서는 손 기술로 손모가지가 날아가도 여전히 손 기술은 사용된다.

타짜의 세계, 현실의 축소판
‘타짜’가 채용하고 있는 것은 도박이라는 소재, 즉 손의 세계지만, 그것이 말하려는 것은 도박 그 위에 존재하는 손이 없어도 여전히 존재하는 욕망이라는 괴물이다. 조금 비약해서 말한다면 이들이 드나드는 이 하우스는 지금 우리들이 살아가는 세계의 축소판이다. 돈 한 푼 없어도 일단 사고 싶은 욕망은 늘 존재하며, 사회는 그 욕망을 가능한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즉 눈에 보이는 돈(현금)이 없어도 눈에 보이지 않는 돈(신용)이 움직이는 욕망의 수레바퀴는 멈추지 않는다.

이 세계 속에는 늘 아귀 같은 존재가 판의 시스템을 장악하고 당신의 주머니를 노리고 있다. 당신이 이 시스템을 전혀 모르는 호구라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 쪽쪽 빨려 빈털터리가 될 때에서야 비로소 후회하게 될 지도 모른다. 또 정반대로 당신은 이 시스템 속에 들어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타짜가 되는 교육을 받고는 타인의 주머니를 노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타짜’에서의 하우스는 그 안으로 들어가느냐 마느냐의 선택의 기회라도 있지만, 현실이라는 하우스에서 선택의 기회 따위는 없다. 누구나 다 이 욕망의 수레바퀴 속에 던져지게 된다는 말이다.

하지만 여기서 인정해야할 것이 있다. 안타깝게도 이 욕망의 하우스는 우리를 살아가게 하는 힘이기도 하다는 점이다. ‘타짜’가 도박을 통해 보여주려는 세계는 바로 여기까지다. 그것은 도박이 옳으냐 옳지 않으냐 하는 윤리적인 문제가 아니다. 대신 바로 그 도박의 세계, 그 세계를 움직이는 보이는 손과 보이지 않는 손, 욕망이 바로 당신이 지금 살아가는 세계의 축소판이라는 것. 그것을 관조하게 하는 드라마가 바로 ‘타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