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개콘’의 한민관, 황현희 주목되는 이유 본문

옛글들/명랑TV

‘개콘’의 한민관, 황현희 주목되는 이유

D.H.Jung 2008. 11. 10. 01:38
728x90

그들을 보면 세상이 보인다

개그가 공감을 바탕으로 한다면 거기에는 반드시 세상의 모습이 들어있기 마련. 지금 ‘개그콘서트’가 담고 있는 세상은 어떨까.

어려운 경기? 한민관이 주목받는 이유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전체적으로 경기 침체에 따른 힘겨움을 바탕에 깔고 있다는 점이다. ‘대포동 예술극단’은 북한의 상황을 보여주면서 거꾸로 남한 상황을 패러디 하는 코너. ‘파리의 연인’을 패러디한 ‘공복의 연인’에서 박지선이 꼬르륵하는 소리를 내자, 남자친구로 등장하는 비쩍 마른 한민관이 “배고프면 배고프다 왜 말을 못하네?”하고 호통을 친다. 그러자 박지선이 한민관의 얼굴을 가리키며 하는 말. “어떻게 말을 합니까? 이따구 얼굴 앞에서.” 왜 북한 상황을 굳이 설정하는가 하는데는 많은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이 좀더 절실한 상황을 연출하기 위한 것이라는 건 분명하다.

어려운 경제상황을 제대로 다루는 코너는 단연 새롭게 등장한 ‘로열 패밀리’다. ‘엄마가 뿔났다’의 고은아(장미희)를 패러디한 듯한 이 코너는 모두 교양 있고 어딘지 귀티가 나는 듯 행동하지만 실상은 거지인 가족을 그려내며 큰 웃음을 준다. 구걸을 하다 들어온 시아버지가 며느리에게 수박껍데기를 주며 “알맹이가 많이 붙었더라”고 하거나, 아들이 돌아와 “이제 사천식당하고는 거래를 끊어야겠습니다. 개를 키운다고 합니다”하자 아버지가 “개도 안 먹는 음식이 있을거야”라고 되받는 식이다.

이밖에도 구두닦이들의 일상적인 대화를 담은 “그려 안 그려”, 그리고 ‘베토벤 바이러스’를 패러디한 ‘악성 바이러스’에서 강마에를 흉내낸 싼마에(김준호)가 프랑스 혁명당시 국민들의 배고픔을 표현한 곡이라며 연주 끝에 갑자기 “밥 주세요!”로 마무리하는 대목 역시 간접적으로 경기상황을 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아마도 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 가장 배고픔을 느낄 개그맨들이 그것을 소재로 담는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 특기할만한 점은 이 상황에서 한민관 같은 부실한 몸의 개그맨이 이 코너들(대포동 예술극단, 로열 패밀리)에 집중 배치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는 점이다.

허위의식 가득한 세상, 황현희가 주목받는 이유
‘개그콘서트’가 보여주는 또 하나는 허위의식이 가득한 세상이다. 물론 ‘달인’의 김병만은 일찍이 이 허위의식 가득한 세상을 몸으로 직접 보여준 바 있다. 하지만 요즘 들어 주목받는 코너는 ‘황현희 PD의 소비자 고발’이다. 물론 여기서 황현희 PD가 딴지 거는 것들은 사실 얼토당토않은 것들이지만, 그 형식 자체는 실제로 과장광고가 판을 치는 세태를 정면에서 꼬집는 것이다. “아무도 묻지도 않고 따지지도 않고? 하지만 전화하자 이름부터 물어보는 이 어처구니없는...” 황현희 PD의 황당한 진술 속에는 그러나 “실제로 그럴까?”하는 의구심이 묻어난다.

상조전문CF를 패러디한 ‘도움상회’는 ‘황현희 PD의 소비자 고발’의 한 분파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조금 방향성이 다르다. 그것은 ‘소비자 고발’이 광고 문구 그 자체를 시비 걸고 있는 반면, ‘도움상회’는 사회의 잘못된 환부를 이 패러디된 상조CF 속으로 끌어들여 보내버리는(?) 것이 주요 컨셉트이기 때문이다. 학력위조자를 보여준 후, 등장한 박성호, 김대범은 “학력 위조하시느라 정신 없으시죠? 큰 학교 가서 별 다시는 일 도와드리겠습니다.”라고 말하거나, 부실공사를 한 사람을 보여준 후, “편안하게 때려주겠습니다. 맞은 자국 푸르게 푸르게. 집단 구타 서비스. 아무도 묻지도 않고 따지지도 않고 후려 쳐드립니다.”라고 하는 식이다.

이밖에도 ‘개그콘서트’의 개그가 보여주는 현실은 소통부재로 파편화된 관계다. ‘대화가 필요해’는 대화부재의 가족을, ‘할매가 뿔났다’에서는 약자로서의 노인들이 겪는 소통부재의 상황을, ‘춘배야’와 ‘박대박’에서는 말은 많지만 소통은 되지 않는 현실을 개그로 담아낸다. ‘개그콘서트’에 유난히 패러디가 많은 것은 그만큼 세태 풍자를 이 프로그램이 많이 다루고 있다는 걸 말해준다. 그 세태는 어려운 경제상황, 허위의식 가득한 세상, 그리고 소통부재의 사회다. 이 답답한 세상을 ‘개그콘서트’처럼 진짜 한 바탕 웃음으로 날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