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버라이어티쇼, 리얼과 가상사이 길을 잃다 본문

옛글들/명랑TV

버라이어티쇼, 리얼과 가상사이 길을 잃다

D.H.Jung 2008. 11. 26. 01:48
728x90

리얼과 가상 사이, 줄타기하는 버라이어티쇼

특정 상황을 던져놓고 대본 없이 다채로운 웃음을 만드는 것을 리얼 버라이어티쇼라고 정의한다면 이것은 그 효시라 일컬어지는 '무한도전'이 탄생하기 한참 전부터 이미 존재한 형식이라 해야 할 것이다. '명랑운동회'같은 게임을 하는 버라이어티쇼가 그것이다. 거기에는 짜여진 대본은 없지만 주어진 상황(게임종목)이 있고 그 상황은 자연스런 몸 개그를 유도해내면서 큰 웃음을 유발한다. 여기 출연하는 연예인들이 당대에는 스타라는 이름에 걸맞는 신비주의를 구비하고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화려한 의상을 벗어던지고 똑같은 운동복을 걸친 채 사정없이 엎어지고 구르는 그 모습은 대단한 파격이라 할 것이다.

리얼 버라이어티, 무엇이 리얼하다는 것일까
따라서 위의 정의는 틀렸다. 우리가 리얼 버라이어티라 부르는 것 속에는 이러한 가상의 상황이 아닌 좀 더 일상 속에서 묻어나는 자연스러운 웃음을 상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명랑운동회'의 계보를 잇는 '캠퍼스 최강전'이나 '출발 드림팀' 같은 게임 버라이어티는 리얼 버라이어티와는 차별화되게 된다. 하지만 그것뿐일까. 리얼 버라이어티는 한정된 공간에서 같은 컨셉트로 반복되던 여타의 버라이어티쇼와도 차별화된다. 리얼 버라이어티를 매체적 관점에서 얘기한다면 그것은 단연 소형화된 고화질 카메라 수십 대를 말해야 할 것이다. 수십 대의 카메라들은 스튜디오를 벗어나 출연진들의 일상 속에서 웃음을 건져낸다.

어떤 면에서 이 카메라는 출연진들의 실제생활을 잡아내는 몰래카메라의 역할도 하게 된다. 그네들의 생활이 고스란히 카메라에 포착되고 그 다채롭고 돌발적인 웃음의 영상들을 편집을 통해 구성한다는 것. 어쩌면 이것이 리얼 버라이어티의 진짜 속성인지도 모른다. 이렇게 출연진들의 일상까지 파고들어와 그것을 거침없이 까발리고, 굳이 유재석이 카메라 앞에 서서 "국내 최초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외치는 이유는 단 하나다. '무한도전'이 다른 쇼들에 비해 리얼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리얼'이란 말은 애매모호하기 그지없다. 그것이 '리얼리티쇼'가 말하는 리얼을 뜻한다면 이것은 분명 잘못된 표현이다. '무한도전'의 덜 떨어진 캐릭터는 설정일 뿐, 실제로 박명수는 '하찮은' 사람이 아니며 정준하는 '바보'가 아니고 노홍철은 '돌아이'가 아니다. 따라서 이 '리얼'이란 말은 현실과는 그다지 상관이 없다. 다만 '쇼가 리얼하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마치 드라마처럼 이 쇼도 리얼리티가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뿐일까. 그러면 명쾌하겠지만 또 그렇지도 않다. 이들이 하는 도전과제 중, '전국체전'이나 '디자인대전'에 나가는 것은 현실에 실제로 벌어지는 일이다.

따라서 리얼 버라이어티쇼가 위치한 자리를 우리는 찾아낼 수 있다. 그것은 리얼과 가상 사이가 한없이 모호해지는 그 지점이다. '지못미'편에서 현실과는 동떨어진 캐릭터 분장(쿵푸팬더의 정준하와 조커의 박명수 같은)을 하고 거리로 나온 그 상황은 바로 그 지점을 발견할 수 있는 단서를 준다. 그것은 리얼(거리)과 가상(캐릭터로 분한 무한도전 멤버들)이 만나는 지점의 긴장감을 웃음으로 전화시킨다. 리얼 버라이어티쇼라는 용어는 이 리얼(현실)과 버라이어티쇼(가상)가 조합된 이율배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무한도전'이 포문을 연 리얼 버라이어티쇼의 전성시대에 뛰어든 후발주자들은 그렇다면 이 현실과 가상 사이의 어느 지점에 발을 디디고 있을까.

다큐 같은 '1박2일', 시트콤 같은 '패떴' 그 가능성과 한계
'1박2일'은 초기 야생을 주창하면서 전국의 오지를 찾아 나섰다. 독도와 가거도에서 보여준  '1박2일'의 면모는 이 버라이어티쇼가 가상보다는 리얼에 더 방점을 찍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수근이 오래도록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그저 국민일꾼이나 기사로 불린 것은 이 버라이어티쇼의 캐릭터들이 어떤 설정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그저 지나오면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것이라는 걸 드러내준다. '1박2일'은 장소와 장소에 겪을 어떤 상황에 대한 기회를 제공할 뿐, 그 모든 여정은 출연진들이 채워나간다는 것을 어떤 강령처럼 지키고 있었다.

'1박2일'이 때론 예능이 아니라 다큐멘터리처럼 보인다는 말은 농담이 아니다. 그만큼 가상설정이 주는 억지웃음보다 리얼 그 자체가 주는 웃음을 '1박2일'은 추구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1박2일'은 예능, 즉 쇼이지 다큐멘터리는 아니다. 따라서 이 강한 리얼 추구가 가진 자가당착은 다큐적 감동모드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졌다. 복불복 같은 재미있는 설정 또한 반복되자 식상한 아이템이 되어버리는 상황에서 '1박2일'은 예능으로서는 치명적인 '재미가 없다'는 비판까지 받게 되었다.

'1박2일'이 이렇게 급상승에서 급하락을 경험하게 된 것은 다분히 이 리얼과 가상 사이에서 주춤하던 사이에 가상을 들고 나온 '패밀리가 떴다'의 영향이 크다. '패밀리가 떴다'는 처음부터 '1박2일'이 현실 속으로 파고들어가는 것과는 정반대로 폐쇄된 지역에서의 가상놀이로 일관했다. 따라서 이 쇼의 재미는 대민접촉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패밀리들 간의 관계에서 나오게 된다. 그 관계는 다름 아닌 설정이다. 캐릭터는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바로 주어진다.

처음부터 유재석과 이효리는 국민남매였고, 조금 지나자 유재석과 대성은 덤 앤 더머로 이천희와 김수로는 천데렐라와 김계모로, 윤종신은 어르신으로, 박예진은 달콤살벌 예진아씨로 활동하면서 그 관계 속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들로 웃음을 주었다. '패밀리가 떴다'는 마치 매번 가족들이 등장해 알콩달콩 사랑하고 때론 싸우면서 화해하는 그 과정에서 재미를 주는 가족드라마처럼, 매번 같은 상황, 즉 놀러가서 놀고 밥해먹고 일어나서 약간의 일을 거들어주는 그 반복적인 상황 속에서 벌어지는 관계의 재미를 물고 늘어진다.

'1박2일'의 리얼이 주는 그 생고생이 불편한 상황에서 '패밀리가 떴다'는 가상이 주는 달콤한 편안함을 연출하며 급상승한다. '1박2일' 속에서 군고구마 한 개는 배고픔을 이기기 위한 생존을 의미하지만, '패밀리가 떴다'에서 그것은 현실과는 아무 상관없는 잠자리 순위경쟁의 재미를 의미한다. 이 극단적인 차별화는 실제로 경기침체가 본격화되면서 힘겨워진 현실과 맞물리며 마비적인 가상의 손을 들어준다. '1박2일'이 충남 예산 예당저수지에서 벌인 밤낚시투어에서 예능이라기보다는 낚시방송이 되어가는 상황에 이승기가 "이렇게 해서 우리 방송할 수 있는 거예요?"하고 걱정하는 것은 실제상황이다. 마지막 부분에서 이수근과 지상렬이 그 차가운 물속에 뛰어드는 장면은 이 리얼을 표방하는 버라이어티도 어떤 부분에서는 가상설정을 끼워 넣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패밀리가 떴다'가 주는 가상의 달콤함은 앞으로도 계속 리얼의 우위에 서서 갈 수 있을까. 그것이 유리한 것은 분명하지만 '패밀리가 떴다'의 가상이 주는 위험성도 서서히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다. 제주도로 간 패밀리들은 세 팀으로 나누어 저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유재석, 대성, 이천희에게 똑같은 상황을 부여했다. 유재석은 김종국의 완력에, 대성은 윤종신과 김수로의 나이에, 이천희는 기센 여자들의 등쌀에 밀려 시집살이를 하는 이 설정의 중첩은 물론 웃음을 줄 수 있겠지만 버라이어티의 자연스러움을 없애는 독이 되기도 한다.

리얼 버라이어티의 부침, 드라마를 닮았다
이제 서서히 모든 것이 마치 드라마 속 삼각 사각관계가 주는 재미였다는 것이 드러나고 있는 상황에서, 지나치게 짜여진 설정으로 외면 받았던 멜로드라마의 운명을 떠올려볼 필요가 있다. 소위 전문직 드라마의 부상은 이 멜로드라마가 가진 설정보다는 리얼리티를 추구하면서 이뤄진 것이다. '패밀리가 떴다'는 지나치게 리얼을 표방한 '1박2일'이 위기를 맞은 것처럼, 지나치게 가상을 표방하면서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리얼 버라이어티는 드라마를 닮아가고 있다. 거기에는 캐릭터가 있고 상황에 대한 스토리가 있다. 그 드라마의 두 경향이 판타지를 자극하는 멜로드라마와 리얼리티를 표방하는 전문직 드라마로 나뉘듯이, 리얼 버라이어티도 가상을 끄집어내는 '패밀리가 떴다'나 '우리 결혼했어요'와, 리얼을 주창하는 '1박2일'로 나뉘고 있다. 전문직드라마가 호평을 받지만 너무 전문적으로 갈 때 시청률이 따르지 못하며, 멜로드라마가 시청률은 따르지만 너무 설정의 멜로로 흐를 때 비난받는 것처럼, 리얼 버라이어티도 지금 이 리얼과 가상 사이에 놓여진 줄 위에서 떨어지지 않으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 어쩌면 이렇게 드라마나 예능에서 반복되는 리얼과 가상은 TV가 본래부터 갖고 있던 두 얼굴인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