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스타의 연인’의 멜로, 역시일까 혹시일까

728x90

멜로의 귀환 ‘스타의 연인’에 교차하는 우려와 기대

멜로는 한 번도 사라진 적이 없었다. 다만 정체를 숨기고 있었을 뿐이다. ‘베토벤 바이러스’의 강마에(김명민)와 두루미(이지아), ‘이산’의 정조(이서진)와 성송연(한지민), ‘엄마가 뿔났다’의 영미(이유리)와 정현(기태영). 전문직 장르를 표방한 드라마, 사극, 가족 드라마, 그 어느 것에도 늘 멜로는 중심에 있었다. 하지만 어느 순간 그 멜로가 정체를 숨겼던 것은 멜로 하면 ‘틀에 박힌 설정의 드라마’라는 등식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하면서부터다. 하지만 그렇게 숨죽이고 있던 멜로가 이제 본격적으로 얼굴을 드러내고 있다. ‘스타의 연인’이 그것이다.

어린 시절에 만났다 헤어져 오랜 세월이 흐른 후, 한 명은 화려한 스타로 다른 한 명은 가난한 시간강사로 서로 만나 사랑하게 된다는 이 설정은 고전적이다. 가깝게는 ‘노팅힐’에서 보았고 멀게는 ‘로마의 휴일’에서 보았던 그 지위의 격차를 넘는 사랑의 이야기. 늘 반복되는 이야기의 틀이지만 늘 먹히는 이야기다. 물론 여기서 반복되는 이야기란 고전적이란 의미지, 틀에 박힌 설정이란 말은 아니다. 어떻게 매번 반복되는 틀이 매번 먹히게 될까. 이유는 멜로 드라마의 관전포인트가 가진 특징 때문이다. 멜로는 그 안전한 기대감을 주는 틀을 제공하고, 각각의 드라마는 그 틀 위에 자신만의 주제의식을 외피로 갖게 된다. 따라서 진짜 포인트는 틀이 아니라, 그 틀 위에 존재하는 외피가 된다.

‘스타의 연인’이 멜로의 틀 속에 외피로 입고 있는 것은 스타라는 이 시대의 주목받는 코드와 그 스타를 바라보는 작가의 눈이다. ‘한 아이는 하늘의 별이 되고 한 아이는 땅의 풀이 되어’ 만나는 그 거리감에서부터 드라마는 시작한다. 스타를 보는 시각은 저 연예기자 전병준(정운택)이 동네 아줌마들을 모아놓고 하는 것처럼 얼토당토않은 가십들로 가득 차 있다. 가난한 시간강사인 김철수(유지태)는 연예인에 관심이 없고 모든 일에 진지하며 심각한 인물. 톱스타인 이마리(최지우)가 누군지 조차 잘 모르는 인물이다. 그런 그가 이마리의 대필작가가 되면서 그녀를 이해해 가는 과정이 이 드라마가 하려는 이야기다.

멜로라는 안전한 구도와 그 위에 입혀지는 ‘사람에 대한 이해’라는 주제의식은 이마리와 김철수라는 두 캐릭터 사이의 긴장감으로 유지된다. 이마리가 전형적인 멜로의 캐릭터라면 김철수는 이 드라마의 주제의식을 입혀주는 캐릭터다. 김철수는 스타라면 선망의 눈을 가지는 보통의 그런 캐릭터가 아니다. 김철수에게는 이마리에 대한 선망이 없다. 다만 이마리라는 조금은 다른 세계에 살고 있는 스타라는 존재에 대한 호기심이 있을 뿐이다. 자기의 시선, 즉 작가의 시선을 유지하고 있기에 단순히 스타의 외형을 보지 않게 될뿐더러, 막연한 선망으로서의 사랑을 할 위험성도 사라진다. 결국 멜로의 틀을 따라가면 김철수가 완벽한 이해에 도달하는 순간에 그가 사랑에 빠지게 될 것이 뻔한 일이지만 멜로 드라마에서 중요한 것은 결과가 아닌 과정이다.

‘겨울연가’의 오수연 작가는 그 작품에서 형성되었던 최지우라는 배우의 이미지를 드라마 속에 제대로 붙잡아두고, 그 위에 유지태라는 조금은 심각하고 진지한 배우를 접근시킨다. 최지우의 이미지는 조금은 반복적인 면이 있지만 이 멜로의 틀 속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드라마 첫 출연인 유지태는 ‘가을로’나 ‘봄날은 간다’같은 영화 속에서 보여주었던 진중한 면모를 드라마 속으로 끌어들여 가벼워질 수 있는 극에 무게감을 주고 있다. 일단은 안정감 있는 출발이지만 ‘스타의 연인’이 본격 멜로의 귀환을 성공적으로 이룰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스타의 연인’은 틀에 박힌 설정의 반복에 그치게 될 것인지, 아니면 더 이상 멜로가 정체를 숨기지 않아도 되는 선례를 남기게 될 지 우려와 기대가 교차하는 드라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