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8 사극, 더 이상 정통은 없다

728x90

퓨전사극, 팩션... 상상력이 역사를 앞지르다

사극은 이제 역사책을 들춰보기보다는 역사의 빈 자리를 찾아다닐 지도 모르겠다. 2008년도에도 여전히 퓨전사극의 바람은 거셌다. 상반기를 주도한 ‘이산’과 ‘왕과 나’는 기존 왕 중심의 사극에서 ‘나’ 중심의 사극으로 위치이동을 실험했다. ‘이산’은 정조를 다루되, 왕으로서의 정조가 아닌 이산이라는 이름을 가진 한 사람으로서의 정조를 다루었고 ‘왕과 나’는 왕 중심이 아닌 김처선이라는 내시의 눈을 빌어 역사를 바라보았다.

이러한 시점의 위치이동은 대중들의 달라진 역사에 대한 의식을 반영한 것이었다. 왕조중심의 역사만이 정사로서 인정받는 시선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의 역사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높아진 탓이다. 확실히 달라진 점은 과거라면 사극의 역사왜곡이라는 논란이 불거져 나왔을 상황이지만, 올 들어 이 같은 논란은 상당히 잦아들었다는 점이다. 그만큼 사극이 이제는 역사와 동격의 의미에서 점점 벗어나 하나의 드라마로서 굳어가고 있다는 방증이다.

그런 면에서 ‘쾌도 홍길동’과 ‘일지매’는 아예 소재 자체를 허구에서 끌어들여 무거운 역사의 갑옷을 진즉에 벗어 던지고 상상력을 향해 달려갔다. 무희들이 테크노를 추며, 상투 대신 장발을 멋지게 늘어뜨리고 선글라스를 낀 주인공이 하늘을 날아다니는 ‘쾌도 홍길동’은 젊은 시청층을 사극 속으로 끌어들였다. 사실적인 묘사가 아닌 표현주의적인 연출을 보여주면서 ‘쾌도 홍길동’은 사극 역시 모던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편 ‘일지매’는 서양류의 영웅담을 우리 식으로 해석한 사극이다. 자신만의 아지트를 갖고 가면으로 얼굴을 가린 채, 탐관오리들의 창고를 털어 배고픈 서민들에게 나눠주는 모습은 가히 한국형 슈퍼히어로를 떠올리게 했다. 촛불시위를 연상케 하는 장면들을 통해 사극 속에서 현 시대의 담론까지 담아내는 모습은, 이제 사극이 어떤 옛 이야기를 넘어서 지금 트렌드에 어디까지 근접할 수 있는가를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반기에 들어 화제를 일으킨 ‘바람의 화원’은 점점 새로운 영역으로 넓혀져 가는 사극소재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었다. 고미술을 소재로 하면서도 팩션만이 갖는 추리적인 기법을 활용해 예술적인 성취는 물론이고, 재미까지 끌어낸 ‘바람의 화원’은 올 사극 중 가장 실험적이면서 가장 완성도가 높은 작품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신윤복 신드롬까지 일으키며 사회적 파장이 컸던 만큼, 남장여자로 표현된 신윤복에 대한 학계의 반발도 거셌던 작품이다.

안타까운 건, 주말 사극 불패 신화를 이어갔던 KBS 대하사극의 고전이다. ‘대왕 세종’은 여타의 사극들과는 다르게 본격 정치사극을 표방하고 나왔지만 시청자들의 외면을 받았다. 스펙타클한 장면들에 익숙한 시청자들의 눈에는 이 작품이 갖는 심리 게임적인 요소들이 어렵게 다가갔을 수가 있다. 게다가 방영 중간에 시청시간대와 채널을 옮기는 바람에 시청률은 더 곤두박질쳤다. 하지만 작품성으로만 본다면 역시 KBS 대하사극다운 진지한 면모를 보여준 작품이라 하겠다.

또한 ‘바람의 나라’는 그 스케일에 비해 화제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김진 원작의 ‘바람의 나라’는 사실 고구려 사극의 원조격. 하지만 이미 여러 번 반복된 고구려 사극들로 인해 이 사극은 안타깝게도 뒤늦은 사극의 트렌드로 치부되고 있다. 아직은 그 향방을 예단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지만, 어쨌든 ‘바람의 나라’가 말해주는 것은 이제 사극도 어떤 트렌드를 타기 시작했다는 점일 것이다.

올 한 해의 사극들을 통틀어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이제 정통사극은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이다. 퓨전사극의 등장으로 역사보다는 상상력에 더 기대는 사극들이 나온 지는 꽤 되었지만 올해처럼 다양한 소재로 실험적인 시도가 이루어진 적은 일찍이 없었다고 보여진다. 이것은 이제 사극의 흐름이 온전히 역사와 결별해 어떤 그 시대의 트렌드와 조우하는 상상력을 만날 것이라는 것을 예감케 하는 사건이다. 사극, 이제 더 이상 정통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