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설의 홍수, 내우외환 겪고 있는 ‘상상플러스’
처음 ‘상상플러스’가 시작되었을 때 그 제목에는 당대 인터넷의 언어문화를 TV 프로그램으로 껴안겠다는 기획의도가 숨겨져 있었다. 즉 상상을 덧붙인다는 그 의미 속에는 이른바 댓글 문화에 대한 이 프로그램의 호기심이 담겨 있었다는 이야기다. 그것을 하나의 코너로 만든 것이 댓글방의 활용이었다. 스타들에 대한 재치 넘치는 댓글들을 포스트잇으로 방 한 가득 붙여놓고 거기서 몇 개를 골라 그걸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형식은, 자연스레 네티즌들의 참여를 이끌었고, 이로써 ‘저들끼리의 이야기’로만 치닫던 당대의 토크쇼에 참신한 변화를 제공했다.
뉴미디어의 등장과 그로 인해 변해 가는 언어에 대한 ‘상상플러스’의 관심은 곧바로 ‘세대공감 올드 앤 뉴’로 이어졌다. 당시 건전한 KBS의 방송이미지에 걸맞는 이 프로그램은 기성세대의 언어와 신세대의 언어 사이에 교량역할을 하겠다는 야심찬(?) 의도를 갖고 있었다. 이것은 또한 당시 유행처럼 번지던 인포테인먼트에도 잘 편승하는 형식이었다. 세대 간의 공감대를 넓힌다는 좋은 취지 하에 출연진들은 맘껏 놀 수 있는 멍석이 마련되었다. 노현정 아나운서를 중심에 세워 유지한 말에 대한 엄정함은 몸 개그와 부적절한 언어가 난무하는 출연진들의 경박함에 어떤 긴장관계를 만들며 균형을 잡히게 했다.
하지만 ‘상상플러스’의 추락은 바로 그 엄정함을 유지하기 위해 투여된 노현정 아나운서의 인기가 점점 높아지면서 연예인화 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인포테인먼트로서의 정보와 재미 중에 점점 재미에 경도되게 되면서 ‘상상플러스’는 최고의 인기를 구가했지만, 그것은 또한 이 프로그램의 정체성을 흔들어 만들어낸 인기일 뿐이었다. 긴장감은 흐트러졌고 노현정 아나운서가 빠지자, 상황은 급변했다. 인기가 급하락하면서 ‘상상플러스’는 말에 대한 관심을 버렸고, 그러자 과거 그 프로그램이 벗어나고자 했던 말장난으로 회귀했다.
‘놀이의 탄생’같은 몸 개그로의 변신을 시도했지만 역시 실패. ‘상상플러스’는 먼 길을 돌아 다시 말에 대한 관심으로 돌아왔다. 이것이 지금의 이지애 아나운서가 자리한 ‘상상우리말더하기’라는 코너다. 하지만 이 돌아온 탕아는 그다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그 동안 ‘상상플러스’가 내적으로 겪은 그 일련의 과정들, 즉 아나운서가 연예인화되고, 인포테인먼트가 엔터테인먼트로 변화하는 그 과정이 프로그램 외부에서도 진행되어 오고 있었기 때문이다.
과거 ‘세대공감 올드 앤 뉴’가 나왔던 그 시절만 해도 아나운서의 권위는 여전했고 따라서 그들이 구사하며 굳건히 지키고 있던 방송언어의 권위도 여전했다. 물론 방송사에서 독립해 연예활동을 하던 아나운서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아나테이너’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폭발적인 아나운서들의 변신이 일반화된 시점은 정확히 노현정 아나운서가 인기의 극점에 있었던 그 시기와 일치한다. 이 변화의 시기부터 아나운서들은 더 이상 우리 말의 최후의 보루를 잡고 있는 권위의 세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연예인 혹은 방송인의 하나로 그 존재를 낮춰오기 시작했다.
이 아나운서들의 변신이 말해주는 것은 그것을 용인해주는(혹은 권장하기까지 하는) 방송사의 달라진 말에 대한 태도를 말해주기도 한다. 아나테이너들은 보도와 뉴스 속에서 엄정함을 유지하기보다는 쇼 프로그램 속에서 춤을 추고 끼를 발휘하는 방송인으로 활약했고, 이렇게 달라진 방송사의 태도와 리얼리티가 강조되는 방송 환경이 만나자 권위를 포기한 방송언어는 막말과 독설로 변질되어 갔다. 아나운서의 변신은 그 자체가 방송언어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예고했던 징후들이다.
‘상상플러스’가 내우외환을 겪게 되는 것은, 이 외부적인 변화(독설의 트렌드화 같은) 속에서 어떤 적응점을 찾아내지 못하자, 결국 내부적인 문제까지 도출하게 되는 그 악순환에서 비롯된 것이다. 언어를 다룬다는 취지의 프로그램이 각종 막말 논란에 휩싸이게 되는 이 아이러니는, 이제는 권위를 잃어버린 아나운서와의 사라진 긴장감이 그 문제의 밑바탕을 제공했다고 봐야 할 것이다. 형식이 무의미해지면, 그 속의 인물들은 과도해지거나 무성의해지기 마련이다.
‘상상플러스’의 끝없는 추락은 한 토크쇼의 부적응을 말해주기도 하지만, 아나운서에 대한 인식의 변화, 나아가 방송사가 언어를 생각하는 인식의 변화 같은 것을 말해준다는 점에서 씁쓸함을 남긴다. 이제 막말까지 치닫는 방송언어 환경 속에서, 그저 부적응자처럼 보이는 ‘상상플러스’는 더 이상 존재하지 못할 위기에 직면해 있는 지도 모른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크쇼, 독설을 밀어내고 향수와 만나다 (0) | 2009.02.25 |
---|---|
버라이어티여! 리얼을 넘어 어디로 가는가 (0) | 2009.02.24 |
불황, 대중들은 웃음과 감동에 목마르다 (0) | 2009.02.08 |
독설과 절친, 김구라가 보여주는 쇼의 두 얼굴 (0) | 2009.02.06 |
88만원 세대와 신인 개그맨들 (0) | 2009.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