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안 웃기는 시트콤, 빵빵 터지는 코믹드라마

728x90

코믹드라마, 시트콤보다 웃기는 이유

시트콤이 웃긴다는 말은 김병욱 표 시트콤에만 한정된 이야기가 되었다. ‘순풍산부인과’나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에 이어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거침없이 하이킥’같은 시트콤의 바람은 그 이후에는 좀체 불지 않았다. 무인도 표류기라는 소재로 거의 야외촬영으로 일관한 ‘크크섬의 비밀’은 소재나 시도면에서 참신한 면이 있었지만, 바로 그 무인도라는 공간에 갇히게 됨으로써 한계를 보였다.

후속으로 이어진 ‘그분이 오신다’는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고, 현재 방영되고 있는 ‘태희혜교지현이’는 주부들을 포섭하겠다는 의지가 강하게 엿보이지만 아직까지 그 효력을 내고 있지 못하다. 반면 불황을 타고 고개를 들고 있는 코믹 장르의 드라마들은 정반대다. 별로 웃기려고 하는 것 같지도 않은데 빵빵 터지는 그 웃음의 세계 속에는 도대체 뭐가 숨겨져 있는 것일까.

‘내조의 여왕’은 그 장르를 코믹드라마로 잡지 않았다면 자칫 비판받을 소지가 있는 드라마다. 내조라고 하지만 사실은 남편의 지위를 남용(?)해 각종 인사문제에 손을 대는 퀸즈그룹 사모님들도 그렇지만, 남편 취직시키기 위해 발벗고 나선 천지애(김남주)라는 캐릭터도 내조라는 말을 뚝 떼어놓고 보면 마찬가지로 그 출세의 욕망에 눈이 먼 그들과 다르지 않게 그려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미디라는 장르를 입은 ‘내조의 여왕’은 정반대 효과를 낸다. 비판받을 소지가 있는 캐릭터와 이야기들은 코미디라는 장르를 통해 세태 풍자로 전화되기 때문이다.

즉 아내에게 맞는 게 무서워 한강다리 위에 올라가 자살 해프닝을 벌이는 온달수(오지호)나 사소한 접촉사고에 보험금을 타기 위해 병원을 전전하는 천지애는, 그 자체가 리얼리티가 아니라 과장된 모습으로 실업가장의 문제나, 가난한 주부의 문제를 에둘러 말하고 있다. 백수로 오래 지내다 보니 TV광고를 전부 외워 면접에서 자기네 회사 광고시간을 줄줄이 외워대는 온달수나, 면접을 위해 산 옷과 구두를 면접 끝나고 환불시키는 천지애 역시 마찬가지 맥락이다.

코믹드라마이기에 이 절망적인 상황(남편은 백수고 아내는 알바로 입에 풀칠하는) 속에서도 이 두 사람이 겪는 고통과 절망은 심각하지 않다. 어려운 현실은 눈에 보이지만 그것에 대해 주인공이 진지하게 두려워하지 않는 모습은 캐릭터와, 그 캐릭터를 보는 시청자가 느끼는 현실 사이에 적당한 거리를 두게 만든다. 바로 이 거리감이 웃음을 터트리게 하면서도 그 밑에 깔린 세태의 씁쓸함을 생각하게 만든다. 만일 이 거리감이 유지되지 않는다면 드라마는 끝없이 심각해질 것이고 너무 거리가 멀다면 아무런 웃음의 의미(여운)도 던져주지 못할 것이다.

시트콤보다 ‘내조의 여왕’같은 코믹드라마가 더 웃음을 주는 이유는, 그 웃음 속에 적당한 거리를 두고 늘 현실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시트콤은 그 장르적 성격 때문에 웃음에 더 강박적이다. 따라서 때론 현실과는 유리된 상황의 웃음을 억지로 만들어내기도 한다. 반면 코믹드라마는 그 장르가 코미디라도 드라마는 드라마다. 따라서 드라마로서 고민할 수밖에 없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늘 담보하게 된다. 바로 이 지점은 작금의 불황에는 더 중요해진다. 어려운 현실에서의 웃음이란 바로 그 현실을 담았을 때 더 빵빵 터지게 마련이다.

한편 시트콤과 코믹드라마를 보는 시청자들의 태도 또한 이 웃음의 차이를 만들어낸다. 시트콤의 목적이 웃음을 표방하고 있다는 사실은 웃음의 기대치를 더 높여 오히려 웬만한 상황에는 웃지 않게 되는 아이러니를 낳는다. 하지만 드라마를 본다는 그 무방비 상태에서 보여지는 코믹한 상황은 정반대의 효과가 있다. 이것이 코믹드라마가 시트콤보다 웃음을 주는데 있어서 유리한 지점이다. 또한 이것은 마치 진지해야 오히려 웃길 수 있다(웃지 않아야 웃길 수 있다)는 개그의 정석과도 맞닿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