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무릎팍’과 ‘패떴’, 패턴화된 예능의 한계

728x90

패턴화된 예능의 게스트 전략, 그 한계

‘무릎팍 도사’에는 초창기에는 보이지 않던 패턴이 이제는 하나의 형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게스트가 문을 열고 “여기가 혹시...”하고 묻고 거기에 맞춰 무릎팍 도사와 건방진 도사 그리고 올밴이 춤을 춘다. 강호동이 게스트를 안아서 자리에 앉혀주고 먼저 하는 것은 탁자를 꽝 내리치며 기선을 제압하는 일이다. 소리를 빽빽 지르는 그 기세는 보는 시청자의 마음까지 건드릴 정도, 그러니 그 앞에 앉은 게스트의 마음은 오죽할까.

이것은 본격적인 토크가 시작되기 전, 분위기 선점을 위한 포석이자, ‘무릎팍 도사’라는 세계로 들어왔다는 신호이기도 하다. 이 패턴은 따라서 ‘무릎팍 도사’라는 명패를 달고 있는 한 달라져서도 안될 형식이다. 하지만 본격적인 토크의 세계로 들어와서는 말이 달라진다. 토크쇼의 묘미가(작금의 리얼 토크쇼 경향에는 더 그러하지만) 돌발적인 어떤 발언이 주는 의외성에 있다면, 이야기 속에서도 늘 존재하는 어떤 패턴은 토크쇼의 재미를 반감시킨다.

‘무릎팍 도사’에서는 강호동과 건방진 도사 유세윤의 도발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심지어 언짢게 만드는 질문들과 깐죽거리는 말들이 게스트를 자극하고, 본격적인 낚시질이 시작된다. 이제 이 토크쇼에서 한 형식으로 잡혀있던 게스트의 ‘고민’은 그저 요식행위로 변한 지 오래다. 그것은 실제 고민이 아니라 때로는 자랑이기 십상이고, 말미에 가서 제시되는 해결방안도 마찬가지다.

낚시질이 어느 정도 무르익는 시점에서는 이제 게스트에게서 감동 포인트를 끄집어낼 순서다. 인생 역정에 어려운 시절이 없는 이들이 있을까. 그것을 슬쩍 끄집어내는 것만으로도 토크쇼의 분위기는 숙연해질 정도로 역전된다. 그리고 분위기를 다시 띄우는 이야기가 오고간 후, ‘고민해결’로 토크는 끝이 난다. 이 ‘무릎팍 도사’의 패턴들은 형식적으로도 꽤 창조적이고 게스트의 진면목을 끄집어내는데 있어서도 꽤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미 정착되고 반복되면서 드러나게 되는 패턴은 자칫 토크쇼의 의외성을 제거할 위험성이 있다.

예능 프로그램의 패턴화 문제는 이제 어느 정도 정착단계에 들어선 여타의 예능 프로그램들에도 똑같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패밀리가 떴다’는 그 패턴화가 가장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밥 먹고 게임하고 밥 먹고 게임한다’는 비아냥섞인 비판들이 나오는 것은 그 때문이다. 비슷한 여행 버라이어티를 추구하지만 ‘1박2일’이 대민 접촉과 장소의 다양화를 통해 패턴의 문제를 극복하고 있다면, ‘패밀리가 떴다’는 그 폐쇄적인 프로그램의 성격으로 인해 더 패턴화가 진행될 수밖에 없다. 그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게스트에 집중하고 있고, 그것이 어느 정도는 효력을 발휘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해결에는 여전히 역부족이다.

‘무릎팍 도사’ 역시 패턴화의 한계를 게스트를 통해 넘어서려 하고 있다. 프로골퍼 신지애의 출연은 한동안 계속 되었던 연예인 출연의 홍보적 성향을 어느 정도는 일소해 줄만큼 참신한 면이 있었지만, 고정화된 패턴의 틀 안에서 머무는 한계를 보인 것도 사실이다. ‘무릎팍 도사’나 ‘패밀리가 떴다’가 구사하는 게스트 전략은 미봉책일 수밖에 없다. 자칫 게스트에만 집중해 프로그램의 색깔이 무뎌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간단한 이치지만 문제는 문제가 발생한 곳에서 해결을 봐야 한다. 패턴의 문제는 패턴 내에서 해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