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선덕여왕'이 남장여자를 활용하는 법

728x90

'선덕여왕'의 남장여자 설정, 실보다 득이 많다

'선덕여왕'의 덕만(이요원)은 남장여자다. 시청자들은 덕만을 연기하는 이요원이 여자라는 사실을 다 알고 있지만, 드라마 속 인물들은 아직까지 그녀가 여자임을 모른다. 이것은 하나의 약속이다. 하지만 약속이라고 하더라도 그 드라마 속 리얼리티는 충분히 있어야 수긍이 갈 것이다. 낭도로서 동료들과 오래도록 함께 지내면서 훈련을 하고 전쟁까지 수행하면서 그녀가 여자라는 사실이 조금도 드러나지 않는 것은 이 사극의 리얼리티에 꽤 큰 빈틈을 제공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약점이 예기되는 상황 속에서 굳이 덕만을 남장여자로 설정한 것이 잘한 선택이었을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그렇다'는 것이다. 이유는? 실보다 득이 많으니까.

먼저 덕만이라는 인물의 캐릭터를 극적으로 성장시키는 것으로 전쟁만한 것은 없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의 덕만은 사막에서 암살자에게 쫓기면서 성장했고, 신라로 들어오면서 가야의 유민들에게 붙잡혀 또 한 번의 성장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사극이 전통적으로 갖고 있는 가장 큰 성장의 계기는 역시 전쟁이다. 아무리 주인공이 정치적으로 뛰어난 지략을 발휘한다고 해도 그것은 전쟁만큼 극적일 수는 없고, 또 그만한 시각적인 효과도 가질 수 없다. 그러니 덕만이 남장여자인 것은 그녀가 전쟁에 투입되는 유일한 여성이라는 점에서 도드라지며, 그 속에서 여성적인 카리스마(공포보다는 희망으로 이끄는 카리스마)를 발휘해 위기를 넘어서는 이야기에도 부합한다.

대체로 사극이 다루는 재미는 두 가지다. 그 하나는 전쟁 같은 미션을 직접 몸으로 수행해나가는 것이 주는 볼거리의 재미고, 또 하나는 대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팽팽한 정치적인 대결구도의 재미다. 대체로 지금껏 남성사극 속의 남성들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해나갔다. 전쟁을 수행해나가면서 동시에 정치적인 포석을 통해 자신의 입지를 마련했던 것이다. 하지만 여성이 주인공인 경우, 사실상 전쟁이 주는 스펙타클한 재미는 포기될 수밖에 없다. 여성이 전쟁이 참전하는 것은 거의 예외적인 경우가 되기 때문이다. '천추태후'의 경우는 바로 그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한다. 그녀는 전쟁에도 참전하고 정치에도 관여한다. 그런데 '천추태후'의 이런 면모는 여성적인 카리스마를 끄집어내기가 어렵다. '천추태후'는 생물학적인 성별구분으로서는 분명 여성이지만 캐릭터로 봤을 때 남성성을 더 많이 가진 여걸이기 때문이다.

덕만이 남장여자인 점은 이 두 가지를 여성성을 유지하면서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그녀는 겉으로는 남자이기 때문에 전쟁에 직접 투여되어 미션을 수행할 수도 있고, 그 미션 수행 과정에서도 여성성(실제로는 여성이기 때문에)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이렇게 입지전적인 인물로 성장과정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그녀는 아마도 실제 선덕여왕의 면모가 그러했을 정치적인 힘을 가질 수도 있다. 그렇게 보면 덕만의 이 남장여자라는 설정은 그녀와 짝패를 이룰 천명(박예진)과 정적인 미실이 가지지 못한 이 두 가지 측면의 매력을 모두 가지게 해주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천명과 미실은 모두 정치적인 면모만을 보일 뿐,덕만 같은 실전적인 매력은 보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이 사극 속에서 천명과 미실은 말만 하고 있지만 덕만은 행동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선덕여왕'의 남장여자 설정의 활용은 연기자의 입장에서도 유용하다. 여성 연기자의 이미지 변신에 있어서 남장여자라는 캐릭터만큼 힘을 발휘한 것도 드물다. 윤은혜는 '커피 프린스 1호점'에서 고은찬이라는 남장여자로 연기력 논란을 불식시켰고, 문근영은 '바람의 화원'에서 남장여자로 설정된 신윤복을 통해 비로소 국민여동생이라는 족쇄를 풀어내고 온전히 연기자의 이름을 얻어냈다. '선덕여왕'의 이요원 역시 마찬가지다. 늘 어딘지 가녀린 이미지로 굳어져 있던 그녀는 덕만이라는 남장여자 캐릭터를 만나 연기의 폭을 넓혀나가고 있다. 발군의 아우라를 구축했던 아역 남지현의 호연으로 더더욱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던 이요원이 그나마 그 부담을 덜어낼 수 있었던 것도 어쩌면 바로 이 남장여자라는 캐릭터가 가진 힘 때문인지도 모른다.

'선덕여왕'의 남장여자 설정은 물론 역사 왜곡이라는 부담을 안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작금의 사극이 이제는 더 이상 역사가 아니라는 인식이 퍼져있는 상황으로 보면, 사극에 대한 지나친 기대에서 비롯된 것인지도 모른다. 이제 더 이상 역사가 권위로 자리하지 못하는 시대에, 사극은 어떤 진실(사실 무엇이 진실인지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을 주장하기 보다는 스토리가 갖는 재미에 더 천착하고 있다. 사극은 이제 역사와 결별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선덕여왕'의 남장여자 설정의 유용성을 따지는데 있어서 봐야할 것은 역사 자체 보다는 드라마에서 그 설정이 갖는 득과 실일 것이다. '선덕여왕'의 남장여자는 드라마적으로 봤을 때, 물론 실도 있지만 득이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