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그 누가 시트콤을 하위장르라 폄하했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그 누가 시트콤을 하위장르라 폄하했나

D.H.Jung 2009. 9. 21. 09:53
728x90

 ‘지붕 뚫고 하이킥’의 선전을 기대하는 이유

웃음을 낮게 보는 시선은 아마도 오랜 유교문화의 영향 때문일 것이다. 아무리 우스워도 큰 소리로 웃는 것이 상스러운 것으로 취급되던 그 문화 속에서, 웃음은 어딘지 비천한 것으로 취급되었고, 따라서 웃음을 주는 자 역시 광대로 하대되었다. 이것은 21세기 지금에 와서 상당부분 바뀌고 있다.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찬사는 이제 웃음이 주는 가치가 얼마나 큰 것인가를 잘 말해주는 대목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웃음을 조금은 낮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영역이 있다. 그것은 바로 시트콤이다.

시트콤은 시추에이션 코미디의 준말이다. 즉 상황별 에피소드를 담은 희극이라는 말이다. 여기서 코미디라는 표현이 주는 뉘앙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코미디는 드라마의 영역일까, 예능의 영역일까. 과거 예능에는 코미디라는 말이 잘 어울렸다. 콩트 코미디가 주류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현재, 예능에서 코미디라는 말은 조금 어울리지 않는다. 현재의 예능 프로그램은 버라이어티쇼, 토크쇼, 무대개그 정도로 분류되고 있고, 코미디를 지향하는 ‘희희낙락’ 같은 프로그램이 있지만 그것 역시 과거의 콩트 코미디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게 사실이다.

오히려 코미디라는 단어는 드라마에 더 어울리게 되었다. 우리는 정극이라고 하는 드라마 속에서 쉽게 코미디를 발견하곤 한다. 로맨틱 코미디나 블랙 코미디가 드라마의 한 부분으로 자리하게 된 것이다. 이것은 과거와는 달라진 시청자들의 요구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과거처럼 신파적인 구도 속에서 질질 짜는 드라마에 식상한 시청자들은 드라마 속에서 어떤 경쾌한 웃음을 기대하게 되었다. 시트콤은 당연히 전형적인 코미디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달라진 환경 속에서 시트콤이 드라마가 아니라 예능으로 분류되는 데는 여전히 시대착오적인 웃음에 대한 낮은 시선이 자리하는 게 사실이다.

과거에 잘 나가던 시트콤 작가였다가 현재는 정극 드라마 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한 작가는 “시트콤을 하위장르로 보는 시선이 좋은 시트콤 작가들을 시트콤에 머물지 못하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트콤은 일일극으로 편성되기 때문에, 매주 2회씩 편성되는 미니시리즈보다 더 강행군을 하기 마련. 거의 매일매일 전쟁을 치르다시피 하면서 작업을 하기 일쑤다. 그렇다면 정극과 비교해서 웃음을 만들어내는 시트콤이라는 작업이 용이한 것일까. 전혀 그렇지 않다. 일선의 작가들은 ‘눈물보다 만들기 어려운 것이 웃음’이라고 입을 모아 말한다.

하지만 그렇게 고생을 해서 작업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어도, 여전히 시트콤 작가를 낮게 취급하는 시선은 여전하다고 한다. 그러니 같은 고생을 하더라도 정극으로 시트콤 작가들이 빠져나가는 것은 당연하다는 것이다. 그 결과는 좋은 작가를 확보하지 못한 시트콤의 추락으로 이어진다. 그렇다면 시트콤이라는 장르는 정극에 비해 그 상업적 가치나 작품적인 가치가 떨어지는 어떤 것일까. 전혀 그렇지 않다. 오히려 시트콤이라는 장르는 현 융복합되어 가고 있는 퓨전장르의 시대에 더욱 주목받아야할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 시점에 ‘지붕 뚫고 하이킥’이 보여주고 있는 가능성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 정극 드라마들도 쉽게 도달하지 못하는 10%대 중반 시청률을 이미 확보하는 대중성을 갖고 있는데다가, 작품으로만 봐도 다채로운 세대를 아우르는 캐릭터들의 좌충우돌 이야기가 웃음 그 이상을 생각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왠만한 트렌디한 드라마들보다 훨씬 훌륭하다고 여겨진다. 이것은 물론 김병욱 PD 같은 믿음직한 시트콤 장인의 힘이 작용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시트콤이라는 장르 자체의 약진으로 판단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그럼에도 이 ‘지붕 뚫고 하이킥’의 선전을 바라게 하는 것은 모쪼록 이 시트콤의 성공이 시트콤이라는 장르에 대한 편견을 깨주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시트콤은 하위장르로 폄하될 존재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