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하이킥'이 뚫는 것? 지붕만이 아니다

728x90

'지붕 뚫고 하이킥', 경계를 넘어서는 웃음의 가치

'지붕 뚫고 하이킥'에서 이순재는 칠순의 노인이면서도 김자옥과의 멜로를 선보이고 있다. 학생들에게 들킬까, 가족들에게 들킬까 첩보전을 방불케 하는 그 비밀 데이트에서 이순재는 포복절도의 액션을 선보인다. 2층 학교 실험실에서 학생들에게 들킬 위험에 처하자 이순재가 방독면을 쓴 채 창문으로 뛰어내리는 식이다. 이 코믹 설정에는 두 가지 파격이 숨겨져 있다. 그것은 나이 들어서도 여전히 설렘을 간직한 어르신들의 멜로와, 노인이라고는 상상할 수 없는 엄청난 액션의 파격이다.

이 파격은 지금까지 TV가 보여주었던 어르신들의 상투적인 이미지를 깨는 것으로 웃음을 유발한다. 그리고 그 웃음의 대상은 어르신들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이 시트콤을 보는 온 가족이 이순재와 김자옥의 비밀 데이트를 보며 웃음을 터뜨린다. 즉 그 안에는 이미 세대를 넘는 어떤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나이 들어서 연애하는 것이 뭐가 어때서?" 하고 시트콤은 묻고 있고, 바로 그 질문이 가진 상투성을 깨는 지점에는 그 파격이 가진 세대를 넘는 어떤 공감대를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상투적인 선입견의 벽을 깨는 방식은 '지붕 뚫고 하이킥'이라는 시트콤이 가진 가장 큰 미덕이다. 이 선입견의 벽은 이 시트콤이 설정해 놓은 거의 전 세대를 아우르는 캐릭터들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난다. 이제 갓 상경해 서울의 풍경이 모두 낯선 9살 신애에서부터 10대의 고등학생 준혁, 20대의 지훈과 정음, 중년의 정보석과 이현경(오현경), 그리고 노년의 이순재와 김자옥까지, 이 시트콤은 캐릭터의 연령대가 다양하다.

그러니 이 다양한 세대를 포함하는 캐릭터들이 만들어나가는 이야기는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다. 시트콤이 보여주는 갈등들은 세대 간의 차이나, 살아왔던 배경의 차이, 성별의 차이, 직업의 차이, 국적의 차이 같은 서로 다른 인물들의 성격과 환경에서 비롯되는 것이고, 그 지향점은 그러한 차이의 인정, 화해 같은 것이 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이 시트콤은 그 차이의 부딪침을 통해 웃음을 만들어내면서 동시에 그것을 통해 화해의 계기를 준다고도 할 수 있다.

이순재와 딸인 현경 사이의 갈등은 세대 간의 차이를 보여주지만 가족이라는 틀 속에서 이미 어떤 화해를 전제하고 있다. 산골 소녀 신애가 서울로 상경해 겪는 이야기 속에는 도시와 시골이 갖는 문화적 갈등이 들어가 있지만 그것은 신애의 서울 적응기로 차츰 화해를 만들어간다. 정보석과 현경은 그 역전된 성별 역할로 달라진 부부관계를 모색하고, 줄리엔이 보여주는 따뜻함은 국적의 벽을 넘는 인간애를 보여준다.

게다가 이 시트콤은 장르가 갖는 상투적인 벽까지도 깨고 있다. 신애와 세경의 에피소드는 신파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비극적이다. 빚쟁이들에게 쫓겨 아버지와 헤어진 그들은 '아빠 없는 하늘 아래'에서 눈물 겨운 서울 살이를 하지만 이 시트콤은 이 비극을 비극으로만 그리지 않는다. 본래 희극과 비극은 종이 한 장 차이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이 시트콤은 잘 알고 있다. 고통이 고통이 될 때 비극이 되지만, 고통이 고통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을 때 그것은 희극으로 바뀐다. 신애가 언니인 세경을 잃어버리고 울면서 서울 거리를 헤매고 다니는 장면은 고통스런 비극이지만, 그렇게 울면서도 식욕을 어쩌지 못하고 누군가 남겨놓은 컵라면을 먹고, 무료로 나눠주는 밥을 꾸역꾸역 먹는 장면은 그 고통을 무화시킬 정도로 충분히 희극적이다.

'지붕 뚫고'라는 표현은 아마도 이 시트콤이 가진 유쾌함을 말하는 것일 것이다. 하지만 그 표현을 통해 떠오르는 또 다른 이미지는 어떤 선입견으로 갖고 있는 상투의 지붕을 뚫는 이 시트콤이 서 있는 자리다. 상투의 지붕을 뚫는 장면에서 터져 나오는 하이킥 같은 웃음은, 바로 이 현실의 상투가 만들어놓은 벽이 무너지는 소리이기도 하다. 이것은 일상화된 상투의 틀을 깨는 데서 웃음을 유발하는 시트콤이라는 장르가 가진 고유의 미덕인지도 모른다. '지붕 뚫고 하이킥'은 지금 그 시트콤 고유의 미덕을 잘 살려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