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내 사랑 내 곁에'의 열연, 김명민만이 아니다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내 사랑 내 곁에'의 열연, 김명민만이 아니다

D.H.Jung 2009. 9. 25. 07:43
728x90

 '내 사랑 내 곁에'의 진정성을 만든 배우들

20kg이라는 살인적인 감량. 뼈만 앙상하게 남은 몸. 심지어는 미이라 같다는 말까지 들은 김명민의 바짝 마른 몸에서는 눈물 한 방울 나오는 것조차 신기할 따름이었다. 루게릭병 환자 백종우 역을 하면서 그는 보통 사람과는 다른 중력을 견뎌내고 있었다. 손가락 하나 들어올리기가 어렵고, 얼굴에 달라붙은 모기 한 마리 쫓아내지 못하는 이 잔인한 병은 고단하고 힘겨운 육신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김명민이 왜 그런 몸을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했는지 이해가 되는 대목이다. 그는 이 영화의 다른 중력을 만들어내고 있었으니까. 자칫 눈물의 신파로 번져나갈 수 있는 어수룩한 루게릭병 흉내로는 이 병이 갖는 눈물의 진정성을 보일 수 없었을 테니까.

이처럼 이 영화에서 김명민에 대한 주목은 당연하다. 하지만 이 영화에는 김명민만 있는 것이 아니다. 먼저 주목할 만한 연기자는 상대역인 하지원이다. 그녀는 점점 히스테릭해지는 백종우의 짜증을 다 받아내면서 웃음 뒤에 눈물을 삼키는 연기를 보여주었다. 손 하나 움직일 수 없는 백종우를 즐겁게 하기 위해 병실에서 핑클의 노래에 맞춰 춤을 추는 장면은 백종우가 가진 무거운 중력의 세계 속에 한 줄기 깃털 같은 미소를 만들어낸다. 다리를 다친 장의사였던 아버지, 장례지도사라는 직업은, 죽음을 공기처럼 마시면서도 밝게 살아가는 그녀가 왜 백종우 앞에 갑자기 나타나 사랑을 '불태우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그녀의 눈물은 한 사랑하는 남자 앞에서의 한 여자의 눈물이면서, 동시에 그 죽어가는 인간을 바라보는 인간으로서의 눈물을 보여준다.

이 영화가 단지 백종우와 이지수(하지원)의 슬픈 러브스토리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루게릭병이라는 소재를 통해 인간애를 다루는 것이라는 점에서, 김명민과 하지원 이외에 같은 병실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은 조역이라기보다는 또 다른 주연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눈에 띄는 인물은 개그맨에서 묵직한 연기로 돌아온 임하룡과, 삭발투혼까지 벌인 임성민의 열연이다. 거의 시체처럼 누워있는 춘자 역할을 맡은 임성민은 단 한 번 움직임을 보여줄 뿐이지만 상대역인 임하룡 특유의 너스레가 섞인 안타까운 얼굴과 어울리며 눈물 섞인 웃음을 만들어낸다. 아내의 죽음을 앞에 둔 자의 농담은 웃기는 만큼 눈물겹다.

브라운 아이드 걸스의 손가인은 피겨스케이팅에서 트리플 악셀을 하다가 사고를 당해 전신마비가 된 서진희를 연기한다. 보는 이들을 심지어 분개하게 만드는 그 자연스러운 싸가지 연기는 첫 연기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정도. 유일하게 자신을 꾸짖는 백종우와 서로 움직이지 못하는 몸을 침상에 두고 "너 이리와 봐!"하고 한 바탕 말로 싸우는 장면은 우스우면서도 움직일 수 없는 병이 가진 삶의 조건을 다시금 떠올리게 만든다. 한편 9년 동안 식물인간 상태인 남편과 그 남편을 지켜온 아내 역할을 연기한 남능미와 최종률, 그리고 수년째 식물인간 상태인 형과 그 형을 돌봐온 동생 역할의 임종윤과 임형준은 그 애증이 교차하는 환자와 환자가족의 이야기를 먹먹하게 전해준다.

이들은 모두 김명민과 하지원의 연기와 어울려 하나의 거대한 진정성을 구축해낸다. 박진표 감독은 독특한 사건을 만들어내기 보다는 이 특별한 조건에서 삶을 살아가는 이들의 면면을 담담하게 담아내는 것으로 이 발군의 진정성을 담은 연기를 영상에 고스란히 담아낸다. 자칫 감상의 함정으로 빠져버릴 수 있는 이 소재를 멜로가 아닌 휴머니즘으로, 눈물의 신파가 아닌 작품으로 만들어낸 것은 이 배우들의 열연과 그 열연을 과장 없이 담아낸 카메라 때문이다. 이로써 우리는 올 가을 가슴을 울리는 인간애에 먹먹해지는 카타르시스의 경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