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테나
-
'가면', 수애가 덧씌워진 가면을 벗는 시간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6. 12. 09:07
착시현상, 수애는 여전히 가면을 벗는 중 “가면을 쓴 삶은 결코 행복해질 수 없어요.” SBS 에서 서은하와 변지숙, 두 인물을 오가는 수애는 배우로서 이 대사를 하며 어떤 생각을 했을까. 가면의 삶. 가난의 꼬리표를 떼고 가족들을 그 구렁텅이에서 벗어나게 하려고 자신의 존재를 지워버린 채 서은하의 삶을 살게 된 변지숙은 과연 행복할까. 이라는 작품은 여러모로 연기를 하는 배우들에게는 각별한 의미를 담을 수밖에 없다. 연기라는 직업이 결국은 여러 개의 가면을 써야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가면에 대해 민우(주지훈)나 석훈(연정훈)은 다른 생각을 갖고 있다. 석훈은 “가면을 써라. 그럼 세상은 당신 편이 될 것이다”라고 말하고, 민우는 “가면을 쓰면 행복해질 수 없다고 했냐. 틀렸다. 가면을 써야..
-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새글들/책으로 세상보기 2011. 12. 8. 13:52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 이렇게 시작하는 시인과 촌장의 '가시나무'를 들을 때마다 나는 호주에서 1년 간 지냈던 젊은 시절을 떠올린다. 지금 생각해도 '전혀 다른 나'였던 그 시절. 나는 통기타 하나 들고 캠퍼스 잔디에 앉아 노래 부르는 베짱이의 삶을 구가했었다. 어쩌면 그리도 걱정이 없었고, 어쩌면 그리도 자유로웠는지 지금 생각해도 의아할 지경이다. 해외여행을 나가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또 다른 자신을 만나는 경험을 해봤을 것이다. 아는 사람이 없는 낯선 공간에서 언어마저 다를 때 느끼는 그 당혹스런(?) 자유로움이란 때론 숨겨진 또 하나의 자신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그 때 나는 마치 연기자들처럼 그 자유로운 캐릭터에 빠져있었고 그 전혀 다른 내 모습이 주는 반전을 짜릿한 ..
-
빈 수레가 요란하다? 겉멋에 빠진 드라마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1. 1. 11. 09:42
시작은 창대했다. 아니 창대함 그 이상이었다. 화려한 캐스팅은 물론이고 이게 TV 화면이 맞을까 싶을 정도로 현란한 영상들까지. 당연 드라마 첫 방에 대한 기대감은 컸다. 하지만 첫 방을 보고난 마음은 어딘지 허전하다. 아니나 다를까 첫 회에서 20% 가까운 시청률을 올리며 대박 드라마를 예고한 작품들은 중반을 지나면서 시청률이 뚝뚝 떨어졌다. 이른바 용두사미 드라마들이 걷는 운명이다. 왜 이런 현상이 최근 들어 자꾸 창궐하는 것일까. '아이리스'의 스핀오프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아테나'에 대한 기대감은 클 수밖에 없었다. 드라마로서는 보기 힘든 완성도 높은 영상연출과 무엇보다 정우성, 차승원, 수애 같은, 영화가 왠지 더 잘 어울릴 것 같은 배우들의 대거 출연. 게다가 태원엔터테인먼트의 작품이라는 것에..
-
'아테나', 왜 흥미진진할수록 시청률은 떨어질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12. 21. 09:03
왜 액션 드라마에서 멜로가 필요할까 우리나라에서 액션 드라마는 힘든 것일까. 1회 시청률 22%로 기분 좋게 시작한 '아테나'의 시청률이 18%까지 떨어졌다. 액션을 즐기는 시청자라면 이해하기 어려운 하강곡선이다. 수애의 니킥과 차승원과 추성훈의 불꽃 액션이 1회부터 시선을 확 잡아끌었다면, 2회에서는 007을 그대로 가져온 듯한 이태리에서의 액션 신이 압권이었다. 3회는 비첸차에서 대통령의 딸이 납치되는 걸 막기 위해 온몸을 던지는 정우성의 액션이 숨 가쁘게 이어졌다. 이렇게 점점 액션은 흥미진진해지는데 왜 시청률은 거꾸로 떨어지는 걸까. 일단 가장 큰 이유는 멜로 라인이 빨리 서지 않기 때문이다. '아테나'는 액션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재미있는 드라마임에는 분명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네 여성 시청자들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