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정
-
기승전멜로로 흐르는 지상파 드라마의 한계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6. 13. 08:46
고개 드는 지상파 드라마 위기, 왜? 알고 보니 멜로였나? 정통 멜로가 고개를 숙인 지는 꽤 오래됐다. 사적인 로맨틱 코미디류의 멜로들에 시청자들이 굳이 채널을 고정시키지 않게 된 것은 그 패턴이 이미 너무 익숙해져 식상하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첫 회에 남녀가 등장하면 그 끝을 이미 예견할 수 있는 드라마를 왜 굳이 본단 말인가. 과정이 재미있다고? 천만에. 과정 또한 다 읽히는 수라면 재미는 찾아보기 힘들게 된다. MBC 사극 은 ‘화려한 정치’를 뜻하는 제목에서 풍겨나듯이 무언가 진지한 정치적 사안들이 등장할 것처럼 보였지만 결국은 소소한 멜로로 흘러가는 느낌이다. 광해군(차승원)의 이야기와 그를 반정시키려는 세력들, 그리고 정명공주(이연희)의 복수가 포진되어 있지만 어찌된 일인지 정명공주와 주원(서..
-
'화정', 왜 지리멸렬해졌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6. 3. 10:16
, 역사를 뛰어넘으려면 이야기가 흥미로워야한다 MBC 월화 사극 의 그 시작은 대단히 야심찼다. 사극이나 역사가 그러하듯 한 사람의 시각을 따라가기보다는 다양한 시각들을 욕망의 차원에서 다루겠다는 포부. 그래서 광해군 시절을 그리지만 거기에는 다양한 인간 군상들의 욕망과 그 좌절이 그려진다. 인목대비(신은정)는 자식들을 지키려는 보호본능에 외척 세력들이 더해지면서 오히려 두 자식을 모두 잃어버리는 결과를 맞이한다. 그 중 한 명인 정명공주(이연희)는 그러나 구사일생으로 살아나 왜국으로 팔려가게 되고 거기서 유황을 다루는 기술을 배워 조선으로 돌아와 광해에 대한 복수를 꿈꾼다. 한편 강주선(조성하)은 광해를 끌어내리기 위해 배후에서 음모를 꾸미는 인물이고, 김개시(김여진)나 이이첨(정웅인)은 광해에게 충성..
-
'징비록'의 선조, 세상에 뭐 이런 통치자가 다 있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4. 28. 10:25
, 선조에 실망할수록 광해를 희망하게 되는 까닭 세상에 이런 통치자가 있을까. KBS 의 선조(김태우)는 임진왜란의 전란 통에 도성을 버리고 개성으로, 또 개성을 버리고 평양으로, 심지어는 평양마저 버리고 의주로 도주했다. 그것도 모자라 명나라로의 망명을 시도하려는 선조는 명나라 황제가 관전보(여진족과의 국경지대)의 빈 관아를 빌려주겠다는 굴욕적인 이야기까지 들어야 했다. 자기 안위만을 위해 도망치며 ‘절치부심’ 운운 변명만 늘어놓는 선조에게 가까운 신하들조차 등을 돌렸다. 명나라 망명에 극렬하게 신하들이 반대하자 선조는 급기야 광해군(노영학)에게 조정을 맡기고 떠나는 분조(조정을 둘로 나눔)를 단행한다. 이런 선조에게 류성룡(김상중)은 “필부처럼 행동 한다”며 강한 어조로 비판을 하기도 했다. 선조의 ..
-
모든 캐릭터가 살아있다.. '화정'의 새로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4. 22. 09:49
의 새로움, MBC 사극 되살릴까 어느 입장 하나 공감가지 않는 게 없다. MBC 월화 사극 이 그리는 캐릭터들의 특징이다. 먼저 이 사극의 중심에 서 있는 광해군(차승원)을 떠올려보라. 역사가 기록한 폭군의 시각을 벗어나 이 사극은 왜 광해군이 그렇게 냉혹한 결정들(친족들을 제거한 일)을 내릴 수밖에 없었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적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임진왜란 당시 선조(박영규)에 의해 꼭두각시처럼 세워졌으나 끝내 인정을 받지 못한 왕. 그로 인해 그를 따르는 대신들도 없는 상황에 지지 없는 왕좌 위에서 어린 영창대군을 앞세워 시시각각 용상을 넘보는 이들을 보며 서운함과 두려움을 동시에 느끼는 왕. 영창대군과 정명공주가 잠시 궁을 빠져나간 일로 그들을 제거하려 했다는 누명까지 쓰는 왕. 광해군이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