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동행', 이 다큐와 동행하고 싶은 이유

728x90

논리가 아닌 감동으로 전하는 '현장르포 동행'

"울지 마세요. 울지 마세요. 강하게 살아야죠." '현장르포 동행-엄마 보고 싶어'편의 열 아홉 살 봉관이는 울고 있는 엄마에게 그렇게 말했다. 간경화로 세상을 떠난 아빠 대신 동생들을 데리고 살아가던 봉관이가 그토록 만나고 싶어 했던 엄마는 그를 반겨주지 않았다. 심한 우울증으로 자기 몸 하나 건사하기도 힘든 엄마는 자식들에게까지 짐이 되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어찌 엄마 마음이 다를까. 입으로는 독하게도 "돌아가라", "다시는 오지 마라"는 말을 하면서도 눈에서는 하염없이 눈물이 떨어져 내렸다. 그런 엄마를 다독이는 건 오히려 봉관이었다.

엄마를 찾아왔는데 "왜 왔냐"는 물음에 말문이 막혔을 봉관이. 하지만 그는 애써 눈물을 참으며 "그래도 낳아주신 엄마잖아. 한번은 봐야지."하고 말했다. 그렇게 밀쳐내던 엄마는 아마도 자신이 하는 이 독한 짓에 욕이라도 듣고 싶었었나 보다. "하고 싶은 말 있으면 해봐." 그러나 돌아온 답변은 의외였다. "안아줘." 이 말은 어찌 보면 상처를 주었을 엄마를 그래도 한없이 보듬는 아이 같지 않은 봉관이의 마음이 담겨진 것이면서 동시에, 이 엄마 앞에서 꿋꿋이 서서 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으려는 봉관이가 역시 열아홉 살의 아이라는 걸 말해주는 것이었다.

거듭 한번만 안아 달라고 하는 봉관이에게 결국 엄마는 "그럴 자격 없다. 난 엄마도 아니야"하고 속내를 드러내고 말았다. 그러자 봉관이가 불쑥 다가가 엄마를 안아주었다. 그리고 그의 위로의 말이 이어졌다. "엄마 원망 안 해. 힘들게 사는 거 아니까. 그냥 엄마 보러 왔어. 엄마가 아무리 독하게 말해도 잘 해주신 거 아니까 괜찮아." 그런 아들에게 엄마는 끝내 참고 참았던 입을 열었다. "우리 아들 정말 잘 컸다. 해준 게 아무 것도 없는데." 90도로 고개 숙여 다시는 못 볼 마지막 인사를 하고는 돌아서는 봉관이를 보며 엄마는 혼자 쪼그려 앉아 눈물을 흘렸다. 그 엄마의 귓전으로 마치 천상의 목소리라도 되는 듯, 봉관이의 외침이 들여왔다. "엄마! 고마워!"

이 엄마와 아들 봉관이의 짧은 만남이 주는 감동을 어떤 드라마가 대신해줄 수 있을까. 이것은 바로 휴먼 다큐멘터리 '현장르포 동행'이 세상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이다. 온통 화려하고 편리한 것들만 넘쳐나는 것 같은 세상 속에서 '현장르포 동행'은 그 사각지대에 가려진 무채색의 진실을 담아낸다. 그 속에는 가난에 휘둘려 힘겨운 세상에 내쳐진, 그러나 그 세파 속에서도 함께 살아갈 이들이 있어 하루하루를 버텨내며 희망을 놓치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카메라가 비춰주지 않았다면 있는 것조차 몰랐을 그네들의 삶. 그러니 이 동행을 자처한 것은 먼저 저 따뜻해질 수 있는 카메라다.

그것은 그들에게 다가가 말을 걸고, 그 어려움을 함께 바라보고, 그 힘겨움에 함께 울어주는 카메라가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해지는 동행이다. TV가 화려한 세상의 모습들만을 비춰주고, 마치 세상은 그렇게 빛으로만 가득하다고 외칠 때, 이 프로그램은 마치 섬처럼 그 자리에 서서 그 그늘을 바라본다. 아무도 봐주지 않는 그 삶을 카메라가 바라보고, 그 카메라를 통해 우리들이 그 삶을 바라보는 카메라와 동행하면서 세상은 조금 따뜻해진다. 힘겨웠던 그들이 세상과 조금씩 소통하고 함께 살아가는 모습이 현실에서 벌어지는 것은 이 카메라가 바라본 그 따뜻한 시선이 우리 모두에게도 그대로 전염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그 그늘이 왜 만들어졌고, 또 누구의 잘못인가를 따지는 것은 어렵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현장르포 동행'이 바라보는 시선은 그런 논리적이고 설득적인 눈이 아니다. 대신 '현장르포 동행'은 세상의 그늘에 있는 그들 역시 우리와 함께 동행해야 할 사람들이라는 것을 감동으로서 우리에게 전해줌으로써 실천에 옮기게 만드는 휴먼 다큐멘터리다. 힘겨운 삶 속에 던져졌음에도 끝내 "엄마! 고마워!"하고 외친 봉관이의 말이 그 어떤 앙상한 논리보다 더 아프고 깊게 울리는 것은 그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