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시트콤이라서? 시트콤이어서!

728x90

'지붕킥'이 열어놓은 시트콤만의 가능성

그 누구도 시트콤을 하위 장르라 내놓고 얘기한 적은 없다. 하지만 시트콤을 보는 시선은 늘 낮았던 것이 사실이다. 시트콤 작가들이 정극으로 빠져나가고, 새로운 작가들도 시트콤에 도전하려 하지 않게 된 건 그 고생은 고생대로 하면서 대접받지 못하는 시선 때문이 아니었을까. 하지만 '지붕 뚫고 하이킥(이하 지붕킥)'을 통해서 시트콤은 더 이상 하위 장르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단지 일일극과의 대결에서 거둔 그 대중성 때문만은 아니다. '지붕킥'은 시트콤의 웃음이 힘겨운 현실과 결합해 어떻게 재미와 의미를 만들어내는 지를 보여주었다. 게다가 우리는 '지붕킥'을 통해 시트콤이 웃음은 물론이고 멜로도 그릴 수 있으며 때론 깊은 감동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시트콤이라서' 낮게 보던 그 시선은, '시트콤이어서' 가능한 것이 무엇인가를 찾게 만들었다. 그렇다면 그 시트콤만의 강점은 무엇일까.

무엇보다 시트콤의 강점은 정극의 허구성을 뒤틀었을 때 가장 잘 드러난다. 예를 들어 보석과 현경이 눈밭에서 싸우는 장면을 멀리서 바라보는 노부부가 '러브스토리'를 떠올리며, "우리도 젊었을 때 저랬었지"하고 말하는 장면은 이미 클리쉐화 되어버린 정극의 멜로 장면을 뒤튼다. 웃음은 바로 그 허구가 드러났을 때 터지게 되는데, 따라서 장르를 패러디하는 시트콤은 정극이 갖는 허구나 판타지를 리얼하게 폭로해내는 경향을 갖게 된다. 김자옥을 위해 엄청난 이벤트를 준비하는 이순재는 정극이라면 감동으로 끝났을 장면을, 노래를 하다 혼절을 하거나 혹은 자신이 하는 짓을 질책하는 속마음을 드러냄으로서 웃음으로 바꾼다.

클리쉐화되어 버린 정극은 어떤 면에서는 현실과 동떨어진 허구의 세계라고도 볼 수 있다. 일일드라마가 대표적인 경우. 늘 똑같은 설정과 늘 똑같은 흐름이 몇 년째 계속 되고 있지만 그것이 판타지이기 때문에 여전히 대중들은 그것을 반복적으로 시청한다. 따라서 일일극이 장악한 저녁 시간대에 그것과 차별화를 이루며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장르로 시트콤만한 것도 없다. 시트콤은 일일극이 가진 그 클리쉐를 부수는 것으로 재미를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트콤의 '현실 폭로(?)' 경향은 정극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그것이 마치 진짜 현실인 양 웃고 있는 사회의 얼굴 그 이면을 뒤틀어 보여주기도 한다. 서운대생임을 숨기며 살아가는 정음이 그 사실을 숨기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장면은 우습지만 깊은 페이소스를 남긴다. 어찌 보면 세경과 지훈(최다니엘)의 만남으로 시작해 그들이 함께 시간이 멈추는(?) 그 장면으로 끝나는 것은, 지훈이라는 도시인의 메마른 감성과 세경이라는 산골의 따뜻한 감성이 부딪쳐 한 자락 촉촉한 비로 내리는 것으로, 도시와 시골, 디지털과 아날로그, 현재와 추억으로 나뉘어지고 변해가는 세태를 상징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시트콤은 이처럼 웃음을 머금고 있기 때문에 정극에서는 할 수 없는 것들을 가능하게 한다. 웃음에 충실하다면 대부분의 장르 실험도 허용된다. 우리는 '지붕킥'을 통해 추리적인 요소나 멜로적인 요소, 휴먼드라마적인 요소, 심지어는 신파적인 요소까지 아무런 부담감 없이 즐겨왔던 게 사실이다. 그만큼 시트콤은 정극이 가지는 견고한 장르적 틀에서 자유롭고 그렇기 때문에 훨씬 다채로워질 수 있다는 이야기다.

물론 이것은 웃음과 눈물, 희극과 비극, 풍자의 가벼움과 정극의 진지함 같은 요소들을 균형 있게 잘 연출해냈을 때 가능한 것이다. 그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우리는 '지붕킥'을 통해 그 성공적인 실험을 경험했다. 이제 중요한 것은 시트콤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일이다. 시트콤을 여전히 웃음만 주면 되는 그런 장르로 낮춰본다면 시트콤은 늘 하위 장르에 머물면서 그 가능성의 싹을 틔우지 못할 것이다. 그것이 제작자든 시청자든 좀 더 확장된 마인드로 시트콤을 바라볼 때, 시트콤은 정극이 주지 못하는 재미와 의미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시트콤이라서 안 된다는 생각은 바꾸어야 한다. 시트콤이어서 되는 것이 더 많다. 이것이 '지붕킥'은 끝났지만 앞으로도 이어질 시트콤에 대해 갖게 되는 기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