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TV가 호기심을 해결하는 몇 가지 방식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TV가 호기심을 해결하는 몇 가지 방식

D.H.Jung 2010. 4. 9. 07:26
728x90

'스펀지', '자체발광', '사이펀', '미지수'

'~는 □다'라는 형태로 KBS의 '스펀지'는 정보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사실이 그 □속에 채워질 때, 카메라는 놀라는 표정의 출연진들을 담아낸다. '이제 놀랄만한 사실을 알게 될 테니 준비하시라'는 예고편인 셈. 그렇게 밝혀진 정보에 출연진들이 고개를 갸우뚱하고 있을 때, 카메라는 친절하게도 그 정보의 진위를 파악해준다. 그걸 위해서 카메라는 현장 속으로 들어가기도 하고, 직접 황당한 실험을 하기도 한다. 때론 고속카메라 같은 영상장비가 우리의 시선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는 놀라운 광경을 통해 정보를 제공해주기도 한다. 이것은 그 무겁고 가벼움에 상관없이 정보가 가치가 된 시대에 '스펀지'라는 프로그램이 그 호기심을 해결하는 방식이다.

MBC의 '자체발광'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호기심이 존재하는 곳으로 직접 찾아들어간다. 처음 궁금증 해결을 위해 PD들이 실험에 참가하던 형식은 이제 일반인들을 참여시키는 형식으로 진화했다. 제작진이 '취권과 당랑권이 싸우면 누가 이길까'라는 궁금증을 제시하고 그걸 해결하기 위해 소림사로 직접 날아갈 지원자를 모집하면, 간단한 오디션을 거쳐 뽑힌 지원자가 그 궁금증 해결을 직접 해주는 형식이다. 이 형식을 보다 흥미롭게 해주는 것은 그 리얼 버라이어티쇼적인 프로그램의 성격이다. 따라서 이 교양프로그램 같지 않은 '자체발광'은 예능 프로그램 못지않은 즐거움을 선사한다. 물론 그 바탕에는 정보에 대한 지적 호기심이 깔려있다.

EBS는 교육방송답게 교육적인 내용에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를 가미했다. 사실 이 에듀테인먼트, 혹은 인포테인먼트는 그다지 새로운 것은 아니다. 하지만 EBS의 '사이펀'이 보여주는 방식은 말 그대로 과학실험을 쇼의 형식으로 연출해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사이펀'은 사이언스와 펀(fun)의 합성어다. 즉 '즐거운 과학'을 프로그램을 통해 보여주는 것. 그 실험에는 스펀지가 얼마나 완충효과를 해주는가를 실험하기 위해 스펀지로 커다란 박스를 만들고 그 안에 마네킹을 넣은 후, 고층 빌딩 높이에서 떨어뜨리는 블록버스터 실험도 있으며, 압력의 법칙을 실험하기 위해 뻥튀기를 대포처럼 쏘는 기상천외한 실험도 있다. 중요한 건 이 형식이 말 그대로 '펀(fun)'하다는 것. 진행자로 김늘메나 김형인 같은 개그맨이 있는 것은 프로그램을 더욱 즐기게 해준다.

한편 KBS의 '미지수' 같은 다큐 프로그램은 20분이라는 짧은 시간으로 잘라져 그간 다큐의 소재로서는 다뤄지지 않던 일상에서 생기는 궁금증 같은 것도 소재로서 활용된다. 일상에서의 궁금증, 예를 들면 '여자는 과연 남자보다 운전을 못할까?'라든가, '외국인의 시선으로 서울여행을 떠난다는 어떤 기분일까?' 같은 지적 호기심이 다큐 형식으로 풀어내진다. 본래 다큐멘터리는 호기심과 궁금증을 해결하는 TV의 전형적인 방식이었지만, '미지수'에 오면 그 궁금증은 좀 더 일상적인 것으로 넓혀진다. 그만큼 우리의 호기심도 일상화되어간다는 이야기다.

이처럼 일상화된 호기심의 시대에 TV는 그 정보의 가치구분 없이 호기심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달려가고 있다. 그것은 다큐의 방식일 수도 있고, 교육적인 실험의 방식일 수도 있으며,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보는 듯한 예능적인 방식일 수도 있고, 전형적인 교양 프로그램의 퀴즈 형식일 수도 있다. 그것이 어떤 형식이든 정보에 대한 호기심에 목말라 있는 우리로서는 시선이 멈출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정보의 과잉은 그만큼 그 정보들에 대한 호기심도 증폭시켜 놓았던 셈이다.

중요한 것은 이 모든 호기심을 해결해주는 프로그램들이 정보를 대하는 자세다. 그것이 경제에 대한 것이든, 과학에 대한 것이든, 아니면 심지어 정치적인 것이라고 할지라도 정보는 늘 즐기는 어떤 것(fun)으로 제시된다는 점이다. 사실 매체가 주는 내용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이런 매체 자체가 던져주는 태도나 형식 그 자체다. 그런 점에서 이들 프로그램들은 이제 우리가 정보의 가치를 논하던 시대에서 어떤 것이든 즐길 수 있으면 그 정보에 가치가 부여되는 시대로 가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한 발 더 나아가 앞으로 즐겁지 않은 것은 더 이상 정보가 되지 못하는 그런 시대가 올 거라는 것은 누구나 쉽게 예상할 수 있는 일이다. TV의 분류기준, 즉 교양과 예능 사이는 이제 점점 구분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가까워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