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뜨거운 형제들', 왜 '일밤'의 가능성일까 본문

옛글들/명랑TV

'뜨거운 형제들', 왜 '일밤'의 가능성일까

D.H.Jung 2010. 5. 31. 06:58
728x90

'일밤'의 기대주, '뜨거운 형제들'의 가능성

'일밤'이 새 카드로 꺼내든 '뜨거운 형제들'은 독특하다. 일단 그 제목이 특정한 아이템을 지칭하지 않고 포괄적이라는 점에서 기존 '일밤'의 코너들과는 차이가 있다. 사실 '단비'나 '우리 아버지' 같은 코너는 제목이 한정적이다. 따라서 그 코너가 다루는 이야기의 소재는 제목에 국한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뜨거운 형제들'은 다르다. 이 제목은 코너의 이야기 소재를 한정짓는 것이 아니라, 거기 등장하는 인물에 집중한다. 따라서 나이 차가 많이 나는 형제들이 등장한다는 것만 정해져 있을 뿐, 그들이 어떤 소재로 어떤 미션을 할 것인지는 정해져 있지 않다. 이 차이는 '뜨거운 형제들'이 무수히 생겨났다 사라져버린 '일밤'의 여타 프로그램과는 달리 자유롭게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게 만든다.

처음 미션으로 시작하고 있는 '아바타 소개팅'도 지금껏 보지 못했던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겉으로 보기엔 가상현실이 일반화된 시대에 새롭게 버전업된 짝짓기 프로그램 같지만 그건 지극히 겉만 본 것에 불과하다. 누군가 소개팅에 나가는 아바타가 되고 누군가는 그 아바타를 조종하는 상황은 그 어느 짝짓기 프로그램에서도 볼 수 없었던 독특한 지점의 재미를 끌어낸다.

소개팅이라고 하면 자신의 진면목을 드러내고 그것을 상대방에게 어필해야 하는 것이 정상적이지만, 아바타 소개팅이라는 틀 속으로 들어가면 그 이야기가 달라진다. 아바타를 조종하는 이는 상대방과 직접 대면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그리고 아바타가 되는 이는 그것이 자신의 진심이 아니라 조종하는 자에 의한 것이라는 점에서 자기 행동에 대한 책임을 회피한다. 즉 부담이 그만큼 적어진다는 얘기다. 이것은 마치 일상적으로 가상에 접속하면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정서와 맞닿는 부분이 있다. 재미는 있으면서도 부담은 적은.

그 속에서 박휘순은 시키는 대로 폭탄짓을 하고, 이기광은 잘 생긴 외모와는 다르게 망가지는 모습을 자유롭게 펼쳐 보인다. 사이먼D는 느끼한 목소리로 랩을 구사하고, 노유민은 아직도 자신이 전성기인 양 착각하며 민망하게도 옛 아이돌 때의 춤을 춘다. 그걸 시키는 형들, 탁재훈, 김구라, 박명수, 한상진은 아우들의 소개팅 자리를 통해 자신들의 속내를 감정이입시킨다. 이 과정에서 아우들인 아바타와 그걸 조종하는 형들 사이에 마음이 충돌한다. 세대 간의 차이는 이 직접적인 접속의 시간을 통해 자연스럽게 해소된다.

보통의 쇼들이 보여주는 자와 그걸 보는 자로 나뉘어져 감정이입되는 대신, 이 코너는 조정하는 자, 보여주는 자, 보는 자로 삼분되어 시청자들의 감정이입을 다채롭게 만든다. 우리는 나이든 탁재훈이 박휘순을 조종하는 그 마음 속에 들어갔다가, 그걸 행동으로 옮겨야 하는 박휘순의 입장으로 옮겨가고 또 그걸 바라보는 소개팅 상대방의 입장으로 시점이 이동된다. 이렇게 시점이 다양하게 이동하면서 그 재미 역시 다채로워진다. 즉 '아바타 소개팅'의 재미는 소개팅이 성공하느냐 못하느냐보다 그 여러 시점이 주는 재미가 더 크다.

하지만 이 '아바타 소개팅'은 '뜨거운 형제들'이 가진 진면목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이 코너는 이 '형제들'이라는 캐릭터와 부딪치지 않는 선에서 다양한 미션들이 모두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여기에는 '아바타'적인 성격, 즉 '형제가 서로를 분신처럼 도우면서 서로를 이해하고 알아간다'는 기본 전제가 필요하지만, 이 단서조항은 부담이 되기보다는 오히려 코너의 특징을 만들어낼 가능성이 크다.

무엇보다 '뜨거운 형제들'이 가능성을 갖는 것은 '일밤'이 부활을 주창하며 시도했던 이른바 '공익 버라이어티'의 과도함에 어떤 균형점을 만들어준다는 점이다. 공익적인 소재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예능의 본분은 웃음을 주는 것이다. 어쩌면 그 웃음이 예능의 가장 큰 공익이기 때문이다. '헌터스'는 프로그램화하기에는 너무 뜨거운 소재였고, '에코하우스'는 지나치게 교과서적이었다. '우리 아버지'는 코너 자체는 좋았지만 다채로운 스토리를 발굴해내기에는 한계가 있는 코너였다. '단비'는 그 취지나 시도 자체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일밤'의 좋은 예능 이미지를 만들고 있지만 역시 웃음에는 취약했다.

결국 '뜨거운 형제들'은 뜻은 좋지만 웃음은 약했던 '일밤'의 기대주가 되기에 충분한 프로그램이다. 예능답게 웃음에 집중하면서, 그 형식이 담은 다채로운 스토리를 통해 어느 순간에는 세대를 넘는 형제애를 담아내는 공익적인 가능성까지 충분히 갖고 있기 때문이다. '뜨거운 형제들'이 얼마나 뜨거워질 지 아직까지 성급하게 뭐라 확언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코너의 뜨거움에, 추락했던 '일밤'의 회생 가능성이 달려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