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이'만의 차별점,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시청률 23%. 그 전후에서 '동이'는 멈춰서 있다. 사극으로 보면 높은 시청률도 아니고 그렇다고 아주 낮은 시청률도 아니다. 그저 틀어놓고 시청하면 꽤 흥미진진하다. 하지만 기대를 조금 갖고 보게 되면 조금 시시한 느낌도 든다. 주인공 동이(한효주)가 인현왕후(박하선)와 장희빈(이소연) 사이에서 사지로 내몰리며 그 누구도 풀 수 없을 것 같은 사건을 마치 '별순검'의 한 장면처럼(물론 아주 소프트하게) 풀어내는 과정은 꽤 긴박감이 넘친다.
그런데 하나의 미션이 끝나고 나면 어딘지 허전하다. 미션과 미션 해결 그리고 국면전환은 꽤 매끄럽게 진행되지만 뒤통수를 치는 기발함 같은 것은 발견하기 어렵다. 그래서 23%에 멈춰서 있는 '동이'의 시청률은 이해가 된다. '동이'는 지금 미션 사극의 전형적인 길을 걸어가고 있다. 과거라면 이 전형은 꽤 시청자들에게 즐거움을 줬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작금의 시청자들은 사극을 너무나 잘 안다. 그래서 새로운 즐거움을 찾지만 '동이'가 그걸 제공해주지 못한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느낀다. 왜 이런 상황에 직면했을까.
장희빈과 인현왕후의 이야기는 너무나 많이 사극으로 만들어졌다. 장희빈의 그 독한 눈빛과 그런 독한 장희빈에 의해 당하는 인현왕후. 그리고 결국 밝혀지는 진실. 사약을 받고도 바락바락 소리를 지르는 모습, 그리고 그런 그녀의 입을 억지로 벌려 사약을 들이붓는 장면은 이제 장희빈이라는 콘텐츠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 그만큼 장희빈과 인현왕후의 대결구도는 사극의 소재로서 강하다. '동이'가 새로운 사극이 되려면 그 이상을 넘어서는 그 무엇을 보여줘야 한다. 그렇지 못하다면 결국 '동이'는 장희빈과 인현왕후가 벌이는 왕실암투의 블랙홀로 빨려 들어갈 수밖에 없다.
이미 미션이라는 틀이나, 여성의 성장, 그리고 추리 형식은 이른바 퓨전 사극의 기본기가 되고 있는 상황, 따라서 동이가 매번 미션을 부여받고 그 미션을 해결함으로서 조금씩 성장하며 감찰궁녀로서 사건을 추리하는 모습은 그다지 차별점이 되지 못한다. '대장금'이 특별했던 것은 여성 성장 미션 사극의 출발점이고 추리적인 요소를 가미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 모든 기본기를 요리와 의술로 엮어냈다는 점이다. 어떤 요리로 인해 벌어진 사건이 의학지식 등을 통해 해결되는 과정은 '대장금'만의 차별점을 만들었다.
'이산'에서는 정조의 궁에서 살아남기라는 독특한 시선이 존재했고, 무엇보다 도화서의 이야기가 이 사극의 기본기와 잘 엮어져 차별점을 만들었다. '동이'에도 초반부에는 이런 차별점이 있었다. 이른바 '음변(音變)사건'이 그것이다. 사건을 음으로 엮었고 그 음이 왜 변했는가를 찾아가는 동이의 이야기는 흥미진진한 '동이'만의 차별성이 되었다. 하지만 그 후로 동이가 감찰궁녀가 된 후로 이 음악에 대한 이야기는 쏙 빠져버렸다. 주식(이희도)과 영달(이광수)은 바로 이 장악원이라는 이 사극만의 특징을 보여주는 인물이지만, 지금은 장악원과는 상관없이 그저 '자나 깨나 동이 걱정'하고 사극의 상황을 쉽게 설명해주는 코믹한 연사 역할에 머물러 있다.
사극의 미션 속에 들어있기 마련인 추리적인 요소는 드라마라는 특성상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어려워서는 곤란하다. 그렇게 되면 중간에 보게 되는 시청자나 집중해서 보지 않는 시청자들은 소외될 수 있다. 따라서 사극의 추리는 그 복잡함에서 재미를 찾는 것이 아니라, 그 특별한 시각이나 소재에서 찾아야 한다. '대장금'의 추리에 음식이 있었고, '이산'에는 그림이 있었다면, '동이'는 음악이 그 추리 요소가 될 수 있었다. 하지만 초반부 음변사건 이후로 '동이'만의 새로운 추리 요소는 잘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확실한 차별점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동이'는 블랙홀 같은 장희빈과 인현왕후의 이야기로 회귀하는 느낌을 준다. 동이만의 매력이나 특징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동이'만이 차별점이 아주 없는 건 아니다. 그것은 깨방정 숙종(지진희)과 동이의 로맨스다. 분명 사극은 멜로만의 힘으로는 움직이기 어렵다. 하지만 그럼에도 이 깨방정 숙종과 동이의 로맨스는 권위의 해체라는 점에서 멜로의 틀 이상의 현재적 의미를 확보한다. 하지만 '동이'가 현재적 의미에 천착하는 사극이라는 특징을 확보하려면 다른 에피소드들도 좀 더 현재성을 강조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감찰부의 에피소드들은 정의가 과연 무엇인가를 좀 더 깊게 다뤘다면 꽤 현재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 과거에서 차별점을 찾기 어렵다면 오히려 현재에서 그것을 찾는 방법도 방법일 수 있다.
이 '사극의 현재성'이라는 문제는 동이라는 캐릭터에서도 그다지 부각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현재 동이는 한 번 물면 놓지 않는다는 '풍산'이라는 캐릭터를 얻었지만, 전반적으로 보면 그저 착한 캐릭터다. 물론 착한 캐릭터는 대중들에게 '우리 편'이라는 의식을 만들지만 그것이 현재의 시청자들의 감성에 부합하는 캐릭터인지는 의문이다. '선덕여왕'에서 선덕여왕(이요원) 그 이상으로 주목받은 캐릭터가 미실(고현정)이었고, 이 미실이 욕망에 충실한 현대적 캐릭터라는 점은 '동이'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좀더 앞으로 쭉쭉 뻗지 못하는 '동이'의 지지부진은 아직까지 장희빈과 인현왕후의 대결구도 그 이상을 뛰어넘는 차별성을 찾아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으로 기회가 없는 것은 아니다. 애초의 기획의도에 들어있던 음악이라는 요소를 극의 추리적인 요소에 녹여내고, 벌어지는 사건들 속에서 좀더 현재적인 관점을 담아내며, 동이라는 캐릭터의 성장 속에 단지 착하기만 한 캐릭터가 어떤 목적의식이나 욕망을 갖게 된다면 '동이'는 지금과는 조금 다른 전개양상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탁구'와 '자이언트', 막장의 시대를 추억하다 (1) | 2010.06.16 |
---|---|
사극에서 온 남자, 사극으로 간 여자 (2) | 2010.06.15 |
6월 쏟아지는 전쟁드라마, 그 성패는? (1) | 2010.06.08 |
'신데렐라 언니', 무엇이 우리의 영혼을 울렸을까 (2) | 2010.06.04 |
별 일 없이 사는 게 과연 사는 걸까 (0) | 2010.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