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6월 쏟아지는 전쟁드라마, 그 성패는?

728x90

'전쟁드라마', 국책성인가, 새로운 소재의 발굴인가

올해로 6.25가 60주년을 맞이한다. 그래서일까. 올 6월에는 전쟁 콘텐츠들이 대거 쏟아져 나올 예정이다. MBC가 새 수목드라마로 한국전쟁을 다룬 '로드 넘버 원'을 방영할 예정이고, KBS는 1970년대 인기 드라마였던 '전우'를 리메이크해 방영한다. 또 한국전쟁 당시의 학도병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포화속으로'가 6월에 개봉된다. 한편 곽경택 감독의 신작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아름다운 우리'도 곧 제작을 앞두고 있는데, 이 작품은 제2차 연평해전을 소재로 하고 있다고 한다. 아무리 60주년이라고는 하지만 과거와 달리 전쟁 콘텐츠들이 갑자기 쏟아져 나오는 진짜 이유는 뭘까.

대외적으로는 두 가지 이유가 제시되고 있다. 그 하나는 역시 6.25 60주년을 기념한다는 것. 물론 이유는 되지만 이것만으로 한동안 사라졌던 전쟁 콘텐츠들이 마구 쏟아져 나오는 것을 모두 설명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다른 하나는 상당히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이 전쟁 콘텐츠가 사실은 너무나 다루어지지 않았던 미지의 영역이라는 것이다. 물론 영화는 사정이 다르다. '태극기 휘날리며'나 '웰컴 투 동막골' 같은 작품들이 6.25를 다뤘다. 또 한국전쟁을 다룬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남북의 대치상황을 다룬 작품으로 '공동경비구역 JSA', '실미도', '한반도' 같은 작품들이 있었다. 하지만 드라마는 70년대부터 80년대 초반까지 '전우'나 '3840유격대' 같은 전쟁 드라마가 있었지만, 냉전 시대가 끝나던 80년대 중반 이후부터 전혀 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이 없었다. 즉 반공시대가 종지부를 찍으면서 사라진 콘텐츠라고 할 수 있는데, 최근 들어 한동안 다뤄지지 않았던 한국전쟁이 미지의 영역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항간에는 웬 반공드라마의 부활이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전쟁을 다루는 콘텐츠는 그 성격상 어느 한 쪽의 시각을 담을 수밖에 없는데, 그렇기 때문에 한국전쟁 또한 우리측의 시선이 담겨지기 마련이라는 것이다. 전쟁의 참상을 보여주고, 또 그 안에서의 인간을 발견하는 것이 이들 전쟁 콘텐츠들의 기획의도라고 해도 거기에는 남북으로 갈라진 시각이 극명하게 존재할 수밖에 없다. 물론 제작자들은 그저 반공적인 획일적인 구도 자체로는 현재의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어내기 어렵다고 말한다. 따라서 남북전쟁이라는 관점보다 좀 더 보편적인 전쟁과 인간이라는 관점을 내세울 것이라고들 한다.

이건 어쩌면 당연한 접근방식일 것이다. 하지만 전쟁 콘텐츠는 거기 담겨진 메시지보다 더 중요한 것이 그 전쟁 콘텐츠가 지금 방영되고 있다는 그 사실이다. 왜 지금 전쟁 콘텐츠인가 라는 질문 속에 반공은 아니더라도 국책성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처럼 천안함 사태로 인해 뒤숭숭한 시국에는 더더욱 그런 뉘앙스를 풍길 수 있다. 물론 반공드라마는 부활할 수도 없고, 부활해서도 안되지만, 자칫 전쟁 콘텐츠 자체가 남북 간의 위기나 갈등 구조를 부각시킬 수도 있다는 우려다.

하지만 이런 우려는 별로 실현화될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 먼저 일련의 전쟁 영화 콘텐츠들이 대중들의 한국전쟁에 대한 정서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태극기 휘날리며'는 전쟁의 비극성을 알리고 그 안에서 형제애 같은 가족애에 천착했고, '웰컴 투 동막골'은 남북이 대결하는 구도를 정반대로 뒤집어서 오히려 반전과 평화의 메시지를 담아냈던 작품이다. '공동경비구역 JSA'도 남북 간의 화해에 더 집중한 영화였고, 또 최근에 개봉됐던 '의형제'도 남파된 스파이와 의형제 같은 관계를 맺게 되는 전직 요원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즉 현재 대중들에게 공감 받기 위해서는 그저 남북 간의 대결구도를 극대화하는 스토리로는 어렵다는 이야기다. 남북 간의 대치상황은 아주 특수한 소재지만 그 속에서 남북의 차원을 넘어서는 좀 더 보편적인 이야기를 끄집어내는 것 이것이 성패가 될 것이라는 점을 현재의 제작자들이 이해하지 못할 이유는 없다.

물론 드라마는 차이가 있을 지도 모른다. 많은 이들이 '로드 넘버 원' 같은 작품은 꽤 높은 완성도를 가진 작품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전우' 같은 작품은 자칫 보수성이 짙은 국책성 드라마로 전락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갖고 있다. 그것은 아마도 작품 자체가 얼마나 진지하게 한국전쟁을 바라보고 있는가, 하는 그 진정성 때문일 것이다. '로드 넘버 원'은 꽤 야심차게 한국전쟁 콘텐츠를 통해 세계에 어필하는 한류 콘텐츠를 겨냥한 흔적이 있다. 제작자의 말을 빌리면, 해외에서는 한국하면 전쟁과 태권도 같은 소재가 매력적이라는 얘길 한다고 한다. '로드 넘버 원'은 그 소재들을 다룬다는 것인데, 이렇게 해외를 겨냥하고 있다는 점이 상당히 믿음을 가게 만든다. 즉 그만큼 남북이라는 특수성에 천착하기보다는 전쟁과 인간이라는 보편성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전우'는 과거 반공드라마의 리메이크라는 점 때문에 그 향수에 기대는 작품이 아닐까 하는 혐의가 짙다.

이러한 전쟁 콘텐츠에 대한 우려와 걱정은 당연히 현 정국과 관련이 있다. 현 정권의 성향을 두고볼 때, 전쟁 콘텐츠가 자칫 반공적인 시선을 그 속에 담지 않을까 우려하는 것이다. 이러한 우려와 걱정은 사실 전쟁 콘텐츠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최근 방영되고 있는 '자이언트' 같은 작품은 사실상 현 정권과 그다지 관계가 없는 시대극이라고 할 수 있지만, 많은 대중들은 이 작품이 현 정권을 찬양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7,80년대 강남의 개발을 둘러싼 이야기지만, 이러한 개발시대에 대한 향수 자체가 그런 뉘앙스를 풍긴다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꽤 괜찮은 드라마적인 완성도를 갖고 있는 대작임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의 시청률은 10%대 중반에 머물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은 대중들이 드라마 같은 콘텐츠를 통해서도 현실에 얼마나 민감한가를 보여준다. 우리에게 전쟁 콘텐츠는 지나치게 회피된 것이 사실이다. 우리 국민이라면 누구에게나 깊은 트라우마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런 기회에 오히려 이들 전쟁 드라마들이 그 트라우마를 다독이는 콘텐츠가 되길 기대한다. 그리고 만일 그런 작품이 아니라면 대중들과의 공감은 어려울 것이다. 6월에 쏟아지는 전쟁 드라마의 성패는 바로 이 현 대중들과의 소통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