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별 일 없이 산다'가 던지는 질문
"살려고 그런 단 말야. 나도 살아야할 거 아냐!" 드라마 '나는 별 일 없이 산다'에서 황세리(하희라)는 늘 삶에 사기당하며 살아온 자기 신세를 한탄하며, 이제 자신이 누군가를 사기 쳐야 하는 이유로, '그래도 살아남아야 함'을 든다. 한편 나이 칠순에 접어든 신정일(신성일)은 "구차하게" 살아야할 이유를 찾지 못한다. 그의 삶은 집사람이 떠나면서 그 의미를 잃었다. 한 사람은 그저 관성적으로 살아남으려 하고, 다른 한 사람은 살 이유를 찾지 못하지만, 사실 두 사람의 정조는 같다. 의미 없는 삶. 그들은 '별 일 없이 사는' 사람들이다.
그런 그들 앞에 갑자기 동네 깡패가 나타나 위협을 한다. 쌍팔 년도 멜로에나 등장할 전형적이고 상투적인 시퀀스. 하지만, 겉으론 '별 일 없이' 살지만, 속은 절망적인 이 노년과 중년여성을 만나자 특별해진다. "야. 이놈들아 나 말기암환자야. 이래 죽으나 저래 죽으나 너희들 손에 죽으나 매한가지야."하고 외치는 노년 남자. 그리고 "그래 이 새끼들아. 나도 겁날 거 없어. 막장인생이야. 이혼 두 번에 자식새끼도 앞세워 죽인 재수 더럽게 없는 년이야."라고 응수하는 중년 여자. 마치 '별 일 없는' 삶에 지쳤다는 듯, '별 일 좀 벌려보라'는 그들의 태도가 마음 한 구석을 찌른다.
나이 칠십이면 말기암 판정을 받고도 담담할 수 있는 것일까. 아마도 그렇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 하루하루의 삶이 버텨내는 것이 되어버린 신정일에게 말기암은 그다지 충격적인 일이 아니다. 자신을 살뜰히 챙겨주고 기다려주는 아내가 있길 하나, 그렇다고 노년을 흡족하게 해줄 자식이 있길 하나. "늙으면 돈이 최고"라고 외치는 조회장 같은 속물도 있지만 신정일에게 돈은 스스로 거울을 들여다보며 "넌 돈이면 다냐"고 물을 정도로 그다지 위안이 되지 않는다. 동병상련이라고 아직은 젊은 나이에 인생의 험한 꼴을 많이 당한 자칭 막장인생 황세리가 신정일의 마음을 보게 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들은 외로울 때면 그 외로움을 털어내기 위해 혼자 추는 춤을 둘이 함께 추기 시작한다. 그러면 그 함께 추는 짧은 춤사위 속에서 행복을 느낀다. "죽는 순간까지 이렇게 웃을 수 있다면 정말 좋겠다"는 신정일에게 사랑은 그처럼 외로움을 함께 나누는 일이다. 이것은 아무도 주변에 남지 않고 절망만이 남은 채, 승무원이 되어 아무도 없는 비행기를 타고 다니며 뉴욕과 파리가 뒤섞인 꿈을 꾸는 황세리에게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어느 밤 문득 외로움을 느낀 그녀는 신정일에게 전화를 걸어 이렇게 말한다. "우리 함께 외로워요."
'나는 별 일 없이 산다'가 보여주는 사랑은 그래서 겉보기엔 노년에 주책없이 찾아온 사랑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좀 더 본질적인 사랑에 가깝다. 젊은 나이의 그 모든 것을 다 가진 이들의 사랑이 청춘의 봄에 찾아드는 아지랑이 같은 사랑이라면, 이 지긋한 나이에 이제는 가질 것보다 놓아야 할 것이 더 많은 이들의 사랑은 그 유한함 앞에서 그저 그 한 순간 순간이 소중하고 행복해지는 사랑이다.
사실 '별 일 없이 사는' 이들이 나이 지긋한 노년의 삶들뿐일까. 장기하의 '별 일 없이 산다'가 젊은 세대들의 고통과 좌절을 복수하듯 반어법으로 노래하는 것처럼. 극중 신정일이 자식에게 말하듯, 나이는 먹어서 먹는 것이 아니라 할 것이 없어질 때 들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러니 '별 일 없이 사는 삶'은 삶이 아니다. 그리니 여기서 말하는 '별 일'이란 사랑은 물론이고 사회적 의미로서의 행복과 다름 아니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쏟아지는 전쟁드라마, 그 성패는? (1) | 2010.06.08 |
---|---|
'신데렐라 언니', 무엇이 우리의 영혼을 울렸을까 (2) | 2010.06.04 |
'인생은 아름다워'는 동성애 드라마가 아니다 (0) | 2010.05.25 |
우리가 '검프' 앓이를 했던 이유 (3) | 2010.05.21 |
'신데렐라 언니', 문학을 닮아버린 드라마 (2) | 2010.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