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까치의 부활? 옛사랑에 빠져드는 이유

728x90

'제빵왕 김탁구'의 탁구, '자이언트'의 강모

"난 네가 기뻐하는 일이라면 뭐든지 할 수 있어." 80년대를 풍미한 이현세 만화 '공포의 외인구단'에 등장하는 까치의 이 대사는 당대의 대중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다. 사회의 소외된 인물들이 지옥훈련을 통해 강자로 재탄생하지만, 결국 엄지에 대한 절대적 사랑 앞에 승리마저 포기하는 까치. 그 사랑에는 당대 사회분위기가 잘 녹아있다. 사회적인 문제와 직접적으로 부딪치기보다는 개인적인 차원으로 회귀하는 깊은 감상주의가 바탕에 깔려있지만, 거기에는 사랑을 위해서는 뭐든 해내는 강한 남성에 대한 열망이 담겨져 있다.

30년이 지났지만 지금 안방극장에는 이 까치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가진 것 없는 이들은 모든 것을 가진 이 시대의 마동탁들과 대결을 벌이며 그 지독한 사랑을 보여주고 있다. '제빵왕 김탁구'의 김탁구(윤시윤)와 구마준(주원)의 유경(유진)을 사이에 둔 대결구도가 그렇다. 안기부에 끌려간 유경을 구하기 위해 "2년 간 유경을 만나지 않는다"는 마준의 제안을 수락하는 탁구의 이야기는 '공포의 외인구단'에서 지옥훈련을 떠나는 까치의 에피소드를 떠올리게 한다. 그 떠나있는 시간동안 마준은 마치 마동탁처럼 끊임없이 유경을 흔들어놓을 것이다.

뭐든 원하는 것은 돈으로 얻을 수 있는 마준이 유경의 사랑은 얻을 수 없는 상황이나, 아무 것도 없지만 남다른 재능으로 최고의 제빵왕으로 거듭나는 탁구의 이야기, 또 그 탁구 주변인물로서의 진구(박성웅)나 인목(박상면) 그리고 갑수(이한위) 같은 인물이 '공포의 외인구단'의 까치 주변인물들처럼 보여지는 것도 그렇다. 아마도 우연의 일치겠지만, 김탁구와 구마준이라는 이름에서도 옛 만화 속의 인물들이 떠오른다. 독고탁과 마동탁.

당대의 사랑은 늘 빈부의 격차 속에서 사랑이 현실을 이길 수 있는가의 질문을 던진다. 남성 캐릭터는 가난한 자신의 현실을 이겨내고 강한 남자로 다시 자신의 사랑 앞에 서려하고, 여성 캐릭터는 끊임없는 현실의 유혹 앞에 흔들린다. 아마도 이런 구도의 부활은 꽉 막힌 사회적인 억압 속에서 자꾸만 움츠러드는 남성들의 강한 남자에 대한 판타지 때문일 것이다. 어딘지 촌스러워 보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우리의 감성을 자극하는.

한편 '자이언트'의 강모(이범수) 역시 또 다른 까치의 부활이다. 사랑하는 여자 정연(박진희)을 늘 옆에서 바라보기만 하고 자신의 처지를 알기에 다가서려는 그녀를 속에도 없는 말로 밀어내고는 절규하는 그 모습은 까치의 옛사랑 그대로다. 물론 대사로 "널 위해 뭐든 할 수 있다"는 말은 안하지만, 그의 행동이 그 대사를 대신한다. 그 사랑을 방해하는 존재로 조민우(주상욱)는 마동탁의 역할이다. 뭐든 다 가졌지만 정연의 사랑만은 가질 수 없는 존재.

쿨한 사랑의 시대에 촌스럽게 느껴지는 까치식의 사랑이 21세기에 부활한 것은 왜일까. 물론 그것은 이 두 작품이 모두 7,80년대를 다루는 시대극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바탕에 깔려있는 감성이 현재와 만나는 지점이 분명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그것은 강한 남성에 대한 희구, 그 시절에 대한 향수다. 물론 이 두 작품에는 까치식의 이야기와는 확연히 다른 점이 존재한다. 그것은 바로 희생적 사랑에만 매몰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 성장과 행복에도 주목한다는 점이다. 바로 이 지점, 향수를 자극하는 옛사랑과 현재적인 관점에서의 행복을 추구하는 모습이 교차하는 세대의 접합점은, 이들 드라마가 왜 과거를 다루면서도 현재의 인기를 끄는 지를 잘 말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