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구미호는 왜 인간이 되려할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구미호는 왜 인간이 되려할까

D.H.Jung 2010. 7. 26. 01:38
728x90

구미호와 인간 사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이 의미하는 것

"봐라. 저 등을 다 같은 한 사람이 달았다고 생각하느냐? 모르긴 몰라도 모두 다른 사람이 달았을 거다. 하지만 저 등에 담겨있는 마음은 다 같다. 아끼는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이다. 세상 사람이 다 다른 것 같아도 사람마음은 다 똑같은 거다. 연이 너랑 나도 신분은 달라도 서로 아끼는 마음은 같지 않으냐? 그러니 우린 달라도 같다." - '구미호 여우누이뎐' 정규도령이 연이에게 마음을 고백하며

구미호는 우리와 완전히 다른 존재인가. 태생적으로는 그렇다. 구미호는 본래 여우니까. 하지만 구미호는 반 인간이기도 하다. 인간이 되기 위해 인고의 세월을 겪으면서 구미호의 심성은 웬만한 인간 이상이 되었다. 말 그대로 반인반수다. 그렇다면 구미호는 여우인가 인간인가. 사실 이런 질문은 질문 자체가 우스꽝스러워 보이지만 우리가 구미호라는 텍스트를 읽을 때 기본적으로 머릿 속에 그리는 그림이다. 사실 구미호가 여우인가 인간인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진짜 중요한 건 이런 구분이다. 구미호가 여우이건 인간이건 그게 도대체 어떻다는 건가.

왜 여우는 여우로서 살아가려 하지 않고 굳이 인간이 되려 하는가. 왜 인간은 굳이 인간이 되겠다는 여우를 용납하지 않는가. 나아가 인간과 여우가 서로를 인정하고 살아갈 순 없는 건가. 구미호라는 텍스트에는 기본적으로 이 다른 점으로 구분된 두 존재에 대한 차별적 시선이 들어가 있다. 이것은 물론 조선시대 같은 반상의 차이가 뚜렷한 사회의 체계를 공고하게 해주는 것들이다. 인간(양반)은 인간이 가야할 길이 있고(여우보다는 나은), 여우(상놈 혹은 짐승)는 여우가 가야할 길이 있다. 그러니 이 차이를 넘어서려 해서는 안된다.

이 차이는 시대가 변했어도 새로운 이름으로 여전히 남아있다. 가부장제 하에서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나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빈부의 격차가 만들어내는 상류층과 서민 사이의 장벽같은. 그런데 이 양자 간에는 과연 진짜 차이가 존재할까. 양반과 상놈, 상류층과 서민은 먹는 것도 다르고 싸는 것도 다를까.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지만 다르게 보는 시각이 존재할 뿐이다. 이것은 이 견고한 시스템의 작동방식이다. 인간과 인간으로서의 같은 점을 보는 것이 아니라 차이를 만들어 그 시스템을 운명으로 체화시키려는 것. 이렇게 보면 '구미호'라는 텍스트는 지극히 보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것은 실제로도 그렇다.

하지만 그것만일까. 만일 그런 보수적인 시각으로 변하지 않는 시스템을 알게 모르게 대중들의 마음 속에 각인시키는 것이었다면 '구미호' 이야기는 이토록 오래도록 계속해서 새롭게 반복되지 않았을 것이다. '구미호' 이야기는 차이와 함께 동일성에 대한 희구가 들어가 있다. 즉 여우이지만 인간이 되고 싶어하는 구미호라는 존재 자체가 바로 그렇다. 구미호는 인간과 동일하게 대우받고 싶어한다. '구미호 여우누이뎐'은 이런 욕구가 더 강력하게 등장한다. 여기에는 딸을 둔 구미호와 윤두수(장현성)의 모성애와 부성애가 똑같은 무게로 그려진다. 인간만큼, 혹은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구미호의 모성애.

이러한 구미호와 인간 사이의 동일성을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사랑이다. '구미호 여우누이뎐'에서 정규도령이 연이(김유정)에게 하는 "우린 달라도 같다"는 대사는 바로 이 사랑이, 서로 다른 두 존재 사이를 연결해줄 유일한 가능성이라는 걸 말해준다. 하지만 어떤가. 구미호가 인간의 얼굴에서 반인반수의 진면목을 드러냈을 때 보인 연인의 반응은? 사랑의 감정과 두려움의 감정이 뒤섞인 그 깊은 혼돈. '구미호 여우누이뎐'이 흥미로운 것은 이 작품이 단지 구미호의 변신에 대한 인간의 혼돈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여기에는 인간(윤두수)의 변신(자신의 딸을 위해 연이를 죽이려는)에 대한 구미호의 혼돈도 들어가 있다. 숨겨진 존재들이 진면목을 드러냈을 때, 이들은 여전히 사랑할 수 있을까. 사랑이라는 동일성에 머물 수 있을까, 아니면 진면목이 가진 차이의 벽을 이겨내지 못할까.

우리처럼 단일민족이란 수사를 끊임없이 반복해온 민족에게 타인을 우리처럼 받아들이는 일은 실로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이클립스'의 뱀파이어와 늑대인간 사이에 서서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고민하는 벨라라는 인간의 이야기가 우리에게 낯설게 느껴지는 건 그 때문이다. 우리는 고작 구미호와 인간 사이의 차이에서 허덕이고 있지만, 저들은 둘도 아닌 세 종족이 함께 사는 법을 고민하고 있다니 놀라운 일이 아닌가. 이것은 바로 '트와일라잇'이라는 영화가 미국에서 그토록 초미의 관심을 끌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그다지 관심을 끌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저들의 사회가 우리보다 차별이 덜하다는 얘기가 아니다. 이것은 이민족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저들 나라에서 이종족이 함께 서로를 사랑하며 살아가는 이야기는 우리보다 더 큰 판타지임을 말해주는 것일 뿐이다. '구미호'라는 텍스트는 이민족은 아니지만 끊임없이 차이를 생산해내는 사회 시스템에 의해 양산되는 우리 식의 차별적 존재들이 서로의 차이를 넘어서려 하거나 좌절하는 이야기를 거기에 담고 있다. 사실 같은 두 존재를 놓고도 어떤 이들은 차이점을 보지만, 어떤 이들은 공통점을 찾기도 한다. '구미호 여우누이뎐'이 지금 이 시대에 던지는 메시지는 바로 이것이다. 당신은 구미호와 당신의 차이를 보고 있는가 아니면 공통점을 보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