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김탁구라는 빵에는 시대의 맛이 난다

728x90

'제빵왕 김탁구', 빵으로 시대를 풀어내다

굶주린 아이가 빵집을 들여다보는 장면은 배고팠던 70년대의 감성을 자극한다. 그 고소하고 달콤한 향기에 씹을수록 말랑말랑한 질감의 기억은 당대의 가난을 향수할 수 있을 만큼 아련하게 다가온다. '제빵왕 김탁구'가 처음 그려낸 정서는 바로 이 가난한 시대에 맡았던 빵의 향기처럼 유혹적이면서도 처절하다. 가난은 폭력적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김탁구(아역 오재무) 모자를 삶의 바깥으로 밀어낸다. 그런 탁구를 다시 본래 자리로 돌아오게 하는 것은 다름 아닌 그 배고팠던 시절에 코를 자극했던 빵의 기억이다. 그가 팔봉빵집으로 들어오기까지의 세월은 가난이 몸에 배어 배고픔을 잊기 위해서는 뭐든 했던(그래서 그것이 심지어 '생활의 달인'을 만들었던) 시대를 함축한다.

김탁구(윤시윤)가 경합에서 첫 과제로 받은 '세상에서 가장 배부른 빵'이라는 주제는 이 시대의 감성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김탁구는 자신의 배고팠던 시절을 떠올리며, 시장통의 한 아이를 위해 빵을 만든다. 팔봉(장항선)선생의 말처럼 이 과제는 '남을 생각하는 마음'을 시험하는 것. 이 과제에서 탁구에 의해 만들어지는 옥수수 보리밥 빵은 기억 속 서랍장에 넣어두었던 가난했던 보릿고개의 기억 한 자락을 끄집어 올린다.

그렇게 돌아온 김탁구는 차츰 다양한 빵을 실험하는 일에 재미를 느끼기 시작한다. 적당하게 숙성시켜야 맛을 내는 발효과정이나, 적절한 습도를 조절해야 빵을 제대로 구울 수 있다는 노하우를 배워나가면서 김탁구는 빵 만드는 일에 희열을 느낀다. 드라마의 시대로 80년대를 상정하는 이 시기에 김탁구는 이제 일이 그저 생존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기 시작한다. 그저 배고픔을 없애는 빵에서 이제는 건강까지 생각하는 빵을 만들면서 그 도전이 가진 가치를 깨닫기 시작한다.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빵'이라는 경합에서의 두 번째 과제는 이 시대의 감성을 담는다. 생존을 넘어서서 새로운 세계에 대한 끝없는 도전은 이 과제에서 탁구와 마준(주원)으로 하여금 이스트 없는 빵을 만들게 한다. 그리고 그 도전은 좀 더 좋은 빵(맛도 좋고 건강에도 좋은)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기술혁신을 통한 성공에 몰두하던 8,90년대 경제상황을 돌아보게 한다. 당대에 사람들의 소비가 단지 기능적인 것 이외에 부가적인 가치들에 시선을 빼앗기고 있었듯이.

그리고 팔봉 선생이 죽은 후 유지처럼 남겨진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빵'은 현재는 물론이고 미래의 가치를 빵에 담아낸다. 이제 이 시대의 가치는 살아남기 위한 생존도 아니고 성공을 위한 도전도 아닌 스스로 느끼는 행복이다. 남을 생각하는 마음만큼 자신 스스로가 즐거워야 그 마음이 온전히 빵에 담겨져 맛을 낸다는 것을 김탁구는 알게 된다. 그래서 그는 팔봉 선생의 부고에 영업정지까지 맞은 팔봉 빵집에서 아침 일찍 일어나 즐거운 마음으로 빵을 굽는다. 팔봉 빵집 식구들이 모두 한 자리에 모여 즐겁게 담소하며 먹는 빵, 그것이 문제로 제시된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빵'이다.

결과적으로 보면 팔봉 선생이 낸 세 가지 과제는 우리 시대의 흐름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첫 번째 과제는 가난의 시대를 담고, 두 번째 과제는 도전의 시대를 담았다면 마지막으로 제시된 과제가 담아낼 것으로 요구하는 것은 행복의 시대다. 이것은 빵으로 시대를 풀어낸 '제빵왕 김탁구'만의 독특한 시대극이 거둔 성과다. 그저 시대의 역사적 사건들을 나열하기보다는 빵이라는 맛과 향으로 그 시대를 맛보게 한 것. '제빵왕 김탁구'가 꺼내놓은 빵들에서는 우리가 살아왔던 시대의 향기가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