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성스'와 '대물', 여자면 왜 안 돼?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성스'와 '대물', 여자면 왜 안 돼?

D.H.Jung 2010. 10. 21. 07:36
728x90

'성스'와 '대물', 그녀들이 대물이 된 사연

'남장여자'라는 존재는 그 자체가 남자를 상위에 놓는다. 즉 여자지만 남자 행세를 한다는 것이다. 왜? 남자여야 세상에 뜻을 펼칠 수 있는 세상이기 때문이다. '성균관 스캔들(이하 '성스')'의 남장여자 윤희(박민영)도 마찬가지다. 뛰어난 문재를 가진 그녀는 세상에 나가 뜻을 펼치고 싶지만 세상은 그걸 허락하지 않는다. 여자가 할 수 있는 일이란 그저 어떤 사내의 낙점을 받아 혼인해 살아가는 것뿐이다. 왜 그래야 하나. 윤희가 남장여자가 되어 금남의 지역인 성균관에 들어온 이유다.

'성스'가 조선 정조시대로 날아가 여자라는 존재가 갖는 한계를 남자들만 수학할 수 있는 성균관이라는 공간에서 풀어낸다면, '대물'은 지금 현재 여성이 마치 남자들의 세상인 양 치부되던 정치계에 입문하고 그 정점이라 할 수 있는 여자 대통령이 될 수 있는가를 질문한다. 물론 현재 이미 여성들의 정계 진출은 그다지 낯선 것은 아니지만, 대통령이라고 하면 말이 달라진다. 안될 건 뭐냐고 말은 하지만 실제 속을 들여다보면 여전히 성별에 대한 장벽은 남아있다. 결과적으로 보면 '성스'의 조선시대나 '대물'의 현대나 성별에 대한 의식은 그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여전한 셈이다.

그런데 바로 이 점 때문에 이 두 드라마는 주목받는다. '성스'는 남장여자라는 점 때문에 드라마의 판타지가 만들어진다. '걸오앓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터프하면서도 부드러운 걸오문재신(유아인)과 어딘지 꽉 막힌 듯한 올곧은 선비였으나 윤희를 만나면서 탈선을 시작하는 선준(믹키유천), 그리고 늘 유쾌함을 주는 미소년 용하(송중기)는 여성들의 판타지다. 그 속에 남장여자인 윤희가 들어가 함께 자고 함께 일어나며 알 수 없는 두근거림의 나날을 보낸다. 즉 '성스'는 조선시대의 여자가 갖는 한계를 뒤집어 판타지로 제공한다. 애초 남장여자를 하게 되는 과정은 조선시대의 현실(남자여야 가능한 삶)이지만, 바로 그 남장여자이기 때문에 가질 수 있는 판타지가 존재한다. 남자가 아닌 여자이기 때문에 가질 수 있는 것.

'대물' 역시 평범한 여자 아나운서로서 남편을 잃고 혼자 아이를 키우며 살아가야 하는 현실의 아줌마가 서혜림(고현정)이지만, 바로 이 점 때문에 정계는 그녀를 주목한다. 이미 노회할대로 노회한 정치꾼들만 득시글거리는 정치판에 현실의 고단함을 서민들의 입장에 서서 소신 있게 얘기하는 서혜림은 참신해 보인다. 게다가 서혜림이 남편의 죽음으로 겪은 고통은 오히려 정치인으로서의 '호감 가는 스토리'를 만들어준다. 정치인으로서 여자라는 점은 약점으로도 지목되지만 한 아이의 엄마이자 한 남자의 아내라는 다양한 긍정적인 스펙트럼을 만들어주기도 한다. 그녀가 출마한 이유는 아이에게 팔뚝만한 물고기가 뛰어노는 강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공교롭게도 이 두 여성은 모두 드라마 속에서 '대물'로 불린다. '대물'이라는 지칭은 '성스'가 보여주는 성적인 의미에서나, '대물'이 보여주는 '여자 대통령'이라는 권력적인 의미에서나 모두 남성적인 의미를 더 갖고 있다. 즉 '대물'로 불리는 이 두 여성들은 여성이 가진 한계점을 넘어서 남성들의 영역으로만 치부되던 세계로 편입되려는 강한 욕망을 상징하는 캐릭터들이다. 여성들의 한계 지점으로 보였던 세계를 뛰어넘는 바로 그 지점에 이 두 드라마가 가진 판타지의 힘이 존재한다. "여자면 왜 안돼?" 하고 도발적으로 질문하는 바로 그 지점에서 우리가 어떤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건 그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