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망자', 초반 부진을 털어낼 것인가
'도망자'는 실험작인가, 실패작인가. 그 어떤 것이라고 해도 '도망자'로서는 예상 밖일 것이다. 엄청난 제작비를 투여한 작품이 실험작이 될 수는 없는 일이고 또한 실패작이어서는 더더욱 안되는 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작품은 어설픈 실험작이자 또 하나의 블록버스터 실패작이 되어가고 있다. 도대체 왜 이런 상황에 이르렀을까.
제일 먼저 지목되어야 할 것은 속도다. 이 드라마는 속도 조절에서 실패했다. 빠른 속도감은 최근 드라마들의 한 경향이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빨리 달려 나가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특히 '도망자' 같은 액션 스릴러라면 더더욱 그렇다. 액션은 흔히 보여지는 것으로만 생각하지만 사실은 읽혀지는 것이다. 즉 액션을 할 때 왜 저들이 저런 액션을 하는 지가 읽혀져야 비로소 그 동작들이 보여지게 된다.
'도망자'는 달려 나갈 줄은 알았지만 정작 왜 달려야 하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아마도 제작자들은 생각했을 지도 모른다. 일본, 중국, 동남아와 서울을 무선 통신의 속도로 끊어내며 휙휙 달려 나가는 이 속도감에 대중들이 열광할 것이라고. 하지만 맥락 없는 행동이 이해할 수 없듯이 '도망자'의 시간과 공간을 휙휙 뛰어넘는 화면 연출과 마치 유명 관광지를 배경으로 찍기로 약속이나 된 듯이 스토리와 그다지 상관없는 공간에서 '달리기'를 하는 주인공들은 그저 정신없는 드라마로 '도망자'를 인식시켰다.
게다가 '도망자'는 꽤 많은 인물들을 그것도 동시다발적으로 보여주려 했다. 작가나 연출자라면 물론 한쪽 벽에 떡하니 붙여놓은 인물 관계도처럼 그들의 행동들이 일목요연하고 합이 딱딱 들어맞는 것으로 보였겠지만, 인물 관계도는 커녕 인물 하나도 이해하기 힘든 시청자들에게 그것은 그저 인물의 인해전술처럼 보였다. 영화라면 좀 더 적극적으로 관객들이 그 퍼즐들을 맞추려 노력했겠지만 이건 안타깝게도 농담을 주고받으면서, 맥주를 마시면서 느긋하게 누워 보기 마련인 드라마다. 왜 시청자가 고통스럽게 그 적은 단서로만 제시되는 인물군들을 하나하나 꿰어 맞추는 수고를 해야 한단 말인가. 그저 버튼 하나 눌러 채널을 돌리면 되는 것을.
물론 '아이리스' 같은 불친절한 드라마도 호평을 받는다. 하지만 '도망자'와 '아이리스'의 근본적인 차이는 인물에 대한 몰입도다. '아이리스'는 꽤 복잡하고 빠른 전개에 연출 스타일도 친절한 것이 아니었지만, 캐릭터가 분명했다. 우리는 이병헌이나 김태희의 감정이 배어있는 멋진 액션들을 따라가기만 하면 전체 퍼즐에 도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도망자'는 다르다. 지우(비)에 초점을 맞추기에 그는 너무 가볍게만 느껴졌고, 진이(이나영)에 초점을 맞추기에 그녀는 성격이 너무 복잡했다.
게다가 겉으로 한없이 쿨한 것을 지상과제로 내세우는 듯한 이 캐릭터들은 좀체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는다. 속내를 제대로 모르니 울어도 감정전달이 잘 되지 않게 된다. 왜 갑자기 지우와 진이가 서로 미묘한 감정을 느끼게 된 건지 우리는 아직도 잘 알 수 없다. 그래서 감정전달 없이 바쁘게 움직이는 인물들은 마치 작가가 놓는 장기판의 말처럼 느껴질 때가 많다. 마치 인형처럼 조종되는 듯한 인물들이 결국 시청자와 함께 움직이지 못하게 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다.
이 드라마는 '도망자'를 그리면서 근본적으로 쫓기는 자나 쫓는 자 모두 심리적으로 너무 태평하다. 아무리 붙잡혀 있어도 농담을 주고받을 정도. 이것은 스릴러와 코미디가 균형 없이 엮였을 때 생겨나는 결과다. 긴장감을 주어야 하는 스릴러는 내면의 절실함을 담아내야 하고 코미디는 간간히 그 긴장감을 풀어주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이 작품은 코미디가 전편에 깔리다 보니 아예 스릴러의 긴박감을 느낄 수 없게 만들었다.
물론 '추노'에서는 이 긴박감과 코미디가 적절히 균형을 이루었다.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이 작품의 코미디가 해학으로서 사회 비판적인 날카로움이 담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천지호(성동일) 같은 칼날 같으면서도 해학이 넘치는 캐릭터는 그래서 창조될 수 있었다. 하지만 '도망자'의 코미디는 말장난에 가깝다. 물론 진지한 대사도 넘쳐나지만, 이것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게 아니라, 어떤 장면에서는 진지하게 어떤 장면에서는 그저 웃기기 위한 말장난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긴장감도 떨어지고 웃음 또한 그 효과가 나오기 어렵다.
한두 명의 이야기에 집중시켜 끌고 가기보다는 여러 사람들의 이야기를 동시에 끌고 가는 것은 천성일 작가의 스타일이다. '추노'는 그 정점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추노'와 '도망자'의 많은 인물군들에는 근본적으로 다른 정서가 존재한다. 즉 '추노'의 많은 인물들은 다양한 당대의 민초들을 그려내고 있기 때문에, 정서적으로 그들에 대한 공평한 조명에 공감하게 된다. 하지만 '도망자'의 많은 인물들은 민초도 아니고 그렇다고 전적으로 정의의 편에 선 인물이라 하기도 어렵다. 그들은 그저 돈을 쫓는 인물처럼 보여진다. 그러니 정서적인 공감이 일어날 리가 만무다.
다행스러운 것은 초반 정신없이 외국을 넘나들며 달리고 달리던 드라마가 9회를 넘기면서 국내로 돌아와 조금씩 안정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9회부터 인물들이 국내로 들어오면서 각자 처한 입장들이 드러나기 시작했고 그러자 액션에 감정이 실리기 시작했다. 그래서일까. 해외촬영이 차지했던 8회분의 분량이 왜 필요했는지 의문이다. 아예 차라리 9회서부터 시작했다면 차근차근 시청률을 끌어올릴 수 있었을 텐데 말이다. 물론 국경을 뛰어넘는 배경과 언어는 실험적이라 할 만하지만, '도망자' 같은 거대 프로젝트가 대중성을 고려하지 않고 실험을 한다는 것은 무모한 일이다. 왜 그랬을까. 근래 보기 드문 드라마계의 기대주들인 곽정환 감독과 천성일 작가는 왜 과거 연전연패했던 블록버스터 드라마들의 전철을 밟았던 것일까. 마치 시즌2를 보는 것 같은 9회분 이후의 분량에서나마 이들이 '추노'에서 보여주었던 재기발랄함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물', 고현정보다 차인표가 보이는 까닭 (1) | 2010.11.11 |
---|---|
'닥터 챔프', 아시안게임이 달라 보이는 이유 (0) | 2010.11.10 |
'닥터챔프' 정겨운, 이토록 괜찮은 연기였어? (0) | 2010.11.03 |
'성균관 스캔들', 청춘 사극의 새 지평을 열다 (0) | 2010.11.03 |
김수현 작가가 그린 인생은 정말 아름다웠나 (2) | 2010.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