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성균관 스캔들', 청춘 사극의 새 지평을 열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성균관 스캔들', 청춘 사극의 새 지평을 열다

D.H.Jung 2010. 11. 3. 07:43
728x90

청춘멜로의 가벼움과 사극의 진지함은 어떻게 만났을까

청춘 사극. 이 조어는 잘 어울리는 듯하지만, '청춘'이라는 단어가 갖고 있는 하이틴 로맨스적인 가벼움과 사극이 가진 어딘지 진중한 분위기는 부딪치는 점이 많다. 이 조어가 그다지 어색하게 여겨지지 않는 것은 최근 사극이 가진 특유의 퓨전 가능성 덕분일 뿐이다. 즉 이 '청춘 사극'은 결코 쉽지 않다는 얘기다. 그런데 '성균관 스캔들'을 단 한 마디로 말하라면 주저 없이 '청춘 사극'이라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어려운 조합을 가능하게 해준 것은 '남장여자'라는 열쇠다. 이미 '커피 프린스 1호점'이라는 청춘 멜로에서 '남장여자'라는 콘셉트가 가진 힘을 우리는 이미 발견했다. 꽃미남들의 세계로 '남장여자'가 들어감으로 해서 벌어질 수 있는 우정과 사랑 사이의 소용돌이는 청춘 멜로로서의 한 극점을 그려냈다. '성균관 스캔들'이 이 청춘 멜로의 '남장여자'를 조선시대 성균관으로 끌고 온 의도는 명백하다. 사극이라는 공간에서 청춘 멜로를 극대화 해보겠다는 것. 꽃선비들이 넘쳐나는 그 곳에서 같은 기숙사 방을 써가면서. 그것도 옷깃만 스쳐도 두근거리는 조선이라는 시대적 정서 속에서라면 더더욱.

그 남장여자라는 마법의 열쇠로 인해 "나 구용하다"라는 말 한 마디로 여성보다 더 예쁜 미모(?)를 가진 그 유쾌한 구용하(송중기) 캐릭터가 탄생했다. 또 '걸오앓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낸 겉은 짐승남이나 속은 수줍은 소년인 문재신(유아인), 그리고 앞뒤 꽉 막힌 선비에서 사랑을 알아가는 이선준(믹키유천)이 탄생했고, 그들이 서로 가슴 졸이며 사랑했던 여인 김윤희(박민영)와의 두근두근 청춘 멜로가 탄생했다.

하지만 여기서 멈추었다면 '성균관 스캔들'은 그저 사극판 '커피 프린스 1호점'에 지나지 않았을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성균관 스캔들'은 남장여자라는 열쇠가 가진 또 다른 측면을 포착해낸다. 여자가 남장여자 행세를 해야 꿈이라는 것을 꿀 수 있는 세상에 대한 개혁의 의지를 꺾지 않은 것이다. 비록 남자 행세를 하는 여자로 대변되어 있지만 이 개혁의 그림은 이미 정조(조성하)가 화성천도의 뜻으로 말한 대로 '남녀귀천 없는 세상'이다.

이 주제의식은 김윤희가 금등지사를 찾아내는 과정에서 극명하게 드러나 있다. 김윤희에게 배움을 주려 노력했던 그녀의 아버지가 단서로 제공한 퍼즐 위에 쓰여진 글귀 '문(門)'은 성별과 귀천에 따라 닫혀버리는 이 시대의 문을 의미하는 것처럼 보인다. 정조가 차별 없는 세상을 꿈꾸며 찾았던 금등지사가 묻혀진 곳이 성균관에서 반촌으로 난 문이라는 사실은 그래서 의미심장하다. 그 문은 '조선의 가장 천한 이를 향해 열린 곳'이고 '배움이 향하는 곳'이며 '나라가 시작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바로 이 남장여자의 또 다른 측면을 놓치지 않음으로써 '성균관 스캔들'은 청춘 멜로의 가벼움 위에서도 사극에 걸맞는 진지함을 잃지 않았다. 모든 일을 해결한 잘금4인방이 한 방에서 술을 마시고 한 방에 어우러져 잠을 자는 모습은 그래서 청춘 멜로의 한 장면처럼도 보이지만, 양반(이선준), 중인(구용하), 여성(김윤희), 혁명가(문재신)가 함께 어우러지는 세상을 상징하는 것처럼도 보인다. '성균관 스캔들'은 말 그대로 '청춘'에 '사극'을 잘 이어붙인 '청춘사극'의 새지평을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