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마이 프린세스', 왜 상투적인 신데렐라가 됐나

728x90

스토리, 대사의 부재가 드라마를 상투적으로 만들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이 프린세스'(사진출처:MBC)

'마이 프린세스'의 공주 이설(김태희)은 결국 공주가 되고 왕자님 박해영(송승헌)과 사랑을 이루며 해피엔딩으로 끝났다. 로맨틱 코미디의 전형적인 진행과 결말이라고 볼 수 있다. 드라마는 해피엔딩으로 끝났지만, 드라마는 많은 아쉬움을 남긴다. 거의 혼자 무너지고 망가지며 극을 이끌어간 김태희라는 연기자의 재발견은 큰 소득이라고 할 수 있지만, 드라마로서는 그다지 임팩트 있는 여운을 남기지 못했기 때문이다.

가장 큰 아쉬움은 드라마 전체 스토리의 구조다. '마이 프린세스'는 초반 4부까지 거의 모든 스토리를 쏟아 부었지만, 그 후부터는 지지부진한 진행이 이어졌다. 후반부로 갈수록 남녀 인물 간의 심리변화 등을 통해 유발됐어야 할 긴장감을 느끼기가 어려웠다. 이렇게 된 것은 초반에 일찌감치 공주 대우(?)로 급상승한 이설이라는 캐릭터에서 비롯된다.

공주라는 설정을 가져왔지만, '마이 프린세스'는 전형적인 신데렐라 스토리였다. 평범하게 살아가던 이설이 어느 날 갑자기 공주였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국민투표에 의해 진짜 공주가 되는 과정을 멋진 두 왕자님, 즉 박해영과 남정우(류수영)가 도와주는 스토리. 신데렐라 이야기가 힘을 갖게 되는 건 신분상승 가능성과 현실 사이의 거리가 끊임없이 상기되고 벌어져 있을 때다. 하지만 초반부에 이미 공주 대우가 된 이설에서 이런 긴장감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상승구조를 가져야 힘을 발휘하는 신데렐라 이야기와는 달리, '마이 프린세스'는 이미 정점에 신데렐라를 세워두고 거꾸로 끊임없이 이 신데렐라를 본래 평범한 인물로 떨어뜨리려는 오윤주(박예진)를 통해 긴장감이 세워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 과정이 지나치게 상투적이다. 오윤주가 가진 힘보다 두 왕자님인 외교관 박해영과 교수 남정우가 가진 힘이 더 강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설은 여전히 공주로 성장하지 못하고 공주병을 앓는 그저 예쁘고 귀여운 여인에 머물게 되자, 드라마의 역학구조는 공주를 위협하는 악역과 그것을 막아주는 왕자님 스토리로 퇴행했다.

현대판 신데렐라 이야기가 여전히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은 그 신데렐라가 현대적으로 재해석되기 때문이다. 즉 왕자에게 보호받는 공주가 아니라 스스로 자립하고 일과 사랑을 모두 쟁취하는 성장형 신데렐라로 그려진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마이 프린세스'에서는 스스로 성장하는 신데렐라를 발견하기가 어려웠다.

또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대사다. 아무리 스토리 구조가 평이하다고 해도 기억에 남는 대사가 있었다면 상황은 달라졌을 지도 모른다. '시크릿 가든'이나 '신데렐라 언니'에서 느껴지는 감성적이고 가슴에 와 닿는 대사의 부재는 드라마를 상투적으로 만들었다. 심지어 로맨틱 코미디에서 가장 클라이맥스가 되는 프로포즈의 순간에도 그저 수다스럽게만 느껴지는 대사는 드라마를 지나치게 상식적으로 떨어뜨렸다.

스토리와 캐릭터에서 '마이 프린세스'는 많은 허점을 가진 드라마로 남았다. 이미 공주가 되었지만 공주로서 역할을 하려 하지 않고 신데렐라가 되려는 여주인공, 왜 그렇게 악독한지 이해하기 어려운 악역, 그저 여주인공을 무한 보호하고 사랑하는 남주인공들의 긴장감 없는 행보, 무엇보다 지나치게 상식적인 대사들은 '마이 프린세스'를 상투적인 신데렐라 스토리로 만든 이유들이다. 오히려 이런 허점들을 채워준 건 김태희, 송승헌, 류수영, 박예진의 연기다. 상식적인 상황에서도 어떤 설렘을 끌어낸 건 이들 연기자들이 갖고 있는 배우로서의 매력이 있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