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개그콘서트'(사진출처:KBS)
어찌 보면 쓸데없는 고민한다고 생각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실상 현실에서 이런 상황을 맞닥뜨리게 되면 어떻게 해야 할지 애매할 때가 많다. 물론 그 남은 음식 하나를 누가 먹든, 팔걸이를 마음대로 한다고 '쇠고랑을 차거나 경찰이 출동하는' 건 아니다. 이건 몰라도 하등 사는데 지장 없는 소소한 일들이다. 그런데 궁금하다. 다른 사람들은 이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애매한 것을 정해주는 남자', 이른바 애정남은 바로 그 생각들을 보여준다. 어쩌면 좀스럽다고 여겨져 밖으로 드러내지 않았던 그 속내를 애정남이 끄집어내놓는 순간, 같은 생각을 했던 우리들의 웃음이 터져나온다. 밖으로 드러내진 않았지만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는 그 공감의 순간. "맞아 맞아"하는 끄덕거림과 함께 웃음으로 만들어지는 개그. 이른바 '공감 개그'인 셈이다.
사실 애정남이 제시하는 해법이 대단한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어 마지막으로 하나 남은 음식은, 밑반찬일 경우 아무나 먹고(리필이 되기 때문에), 육류는 집게를 가진 사람이 먹으며(일한 사람이 먹는다), 나머지 기타 음식은 돈 내는 사람이 먹는다는 식의 답은 그 누구나 할 수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답이 아니다. 그것이 곤란하고 애매한 상황이라는 것을 똑같이 공감한다는 것 자체가 더 중요하다. 물론 정한 답에 살짝 사심이 섞인 메시지를 넣어주면 일종의 '인기발언'이 성립된다.
지난 추석 다음 아고라에 애정남이 올린 글에 대한 여성들의 엄청난 공감은 바로 그 '인기발언'의 대표적인 사례다. 그는 명절 때 시댁에 들렀다 친정에 가는 애매한 시점에 대해서, "추석 당일 차례를 지내고 아침 먹고 설거지가 끝나는 순간 출발입니다잉"이라고 말했다. 이것은 아마도 모든 며느리들의 마음일 것이다. 물론 그는 시어머니에 대한 공감 포인트도 잊지 않는다. "잘 생각하세요. 시어머니들. 이게 지켜져야 따님도 빨리 볼 수 있는 겁니다잉." 이처럼 그들의 간지러운 부분을 살짝 긁어주었을 때, 일상 속에 묻어 놓았던 자잘한 삶의 간지러움은 시원해진다. 애정남이 특히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은 것은 남녀를 비교했을 때 아직까지는 남성보다 여성들에게 일상의 가려운 부분이 더 많다는 반증일 것이다.
사실 '개그콘서트'에서 이러한 현실 공감을 바탕으로 하는 이른바 공감개그는 흔한 소재들이다. '두분토론'이나 '동혁이형' 같은 세태적이고 풍자적인 코너들은 '개그콘서트'만의 특징을 잘 보여 온 개그들이다. '애정남' 최효종 역시 과거부터 줄곧 공감개그를 선보인 전력이 있다. '독한 것들'이나 '최효종의 눈' 같은 코너들이 그렇다. 하지만 최근 들어 '개그콘서트'의 공감개그는 훨씬 더 강해졌고 많아졌다. 일상 속에서 만들어진 습관에 의해, 상황과 맞지 않는 부조리한 행동들을 보여줌으로써 웃게 만드는 '생활의 발견'이나, 그 부조리한 상황을 마치 심층 보도하듯 풀어내는 '불편한 진실'도 '애정남'과 마찬가지로 현실 공감을 바탕으로 하는 개그다.
하지만 이 '불편한 진실'이나 '생활의 발견' 같은 개그들과 '애정남'은 근본적으로 다른 지점이 있다. 그것은 상황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자세다. '생활의 발견'과 '불편한 진실'이 그 우스운 상황을 그저 보여주는 것이라면, '애정남'은 그 상황에서 해야 할 지침(?)을 제시해준다. 물론 애정남의 말대로 지키지 않는다고 해서 '쇠고랑을 차지는' 않는 것이지만 '서로 지킴으로써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 행동을 하자고 말한다. 이러한 행동강령을 부여했기 때문에 '애정남'은 좀 더 적극적으로 사회 일상 속에 존재하는 '애매한 상황'들에 개입할 수 있게 되었다. 추석 시점에 맞춰 애정남이 아고라에 올린 글은 이런 적극적인 개그의 특성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너무나 일상적이어서 굳이 지침 같은 건 필요 없어 보이는 '애정남'의 소재들이다. 그 소재들은 명절에 받은 문자에 답장을 보내야 할까, 결혼축의금은 도대체 얼마를 내야할까, 심지어 시식코너에서 몇 개까지 먹는 게 시식일까 같은 자잘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바로 이 중요하지 않게 취급된 자잘한 소재라는 것이 사회적으로 의미하는 바는 크다. 그것들은 이른바 이 사회가 폼나게 전면에서 드러내는 거대담론에 의해 소외된 이야기들이라는 점이다. 그 거대담론을 이끌고 있는 건 누구인가.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힘 있는 이들이다. 서민들이 제아무리 바꾸려 해도 바뀌지 않는, 저들끼리 만들고 꾸려가는 거대담론이 주는 소외감은, 거꾸로 서민들로 하여금 일상적이고 자잘한 것들에 대한 애착을 갖게 만든다. 즉 내 마음대로 바꿀 수 없는 거대한 것보다는 그래도 우리끼리 정하고 바꿀 수 있는 소소한 것들이 훨씬 마음이 간다는 얘기다. '애정남'이 제시하는 일종의 행동강령은 그래서 아무런 구속력이 없는 비정치적인 행위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 행위 자체는 굉장히 정치적인 것이다. 이 자잘한 일상의 변화는 어쩌면 뜬구름 잡는 거대담론보다 훨씬 현실적으로 우리 사회를 아름답게(?) 바꿀 수 있을 지도 모른다.
그래서 '애정남'에 열광하는 사회의 이면에는 이 단단하게 바뀌지 않는 세상에 대한 소극적인 복수(?)가 들어있다. 그래서 이렇게 자잘하고 애매한 것들을 목숨 걸고 정해주려는 '애정남'은 우스우면서도 때론 처절하고 비애스럽게 보일 때조차 있다. 왜 그토록 작은 것들에 집착하는 것일까. "이거 안한다고 쇠고랑 안차요. 경찰 출동 안 해요. 그저 우리들만의 아름다운 약속이에요." 이 반복되는 얘기 속에는 짠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동지의식을 느끼게 되는 구석이 있다. '우리들만의'라는 내밀한 표현이 우리의 허전한 마음 한 구석을 채우는 건 그 때문일 게다. '애정남'은 거대담론으로 굴러가는 '그들만의' 세상 속에서 작지만 실제적인 '우리들만의' 작은 약속을 던져준다. 그 약속이 얼마나 적절하고 효과적인지는 그다지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저 이 작은 세계를 함께 공유하고 공감한다는 것. 우리끼리 약속을 정한다는 것. 그것이 주는 위안은 결코 작지 않다.
(이 칼럼은 중앙선데이에 기고된 글입니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병만과 임재범, 연예인도 리얼리티쇼? (0) | 2011.10.28 |
---|---|
'짝'의 무엇이 예능을 술렁이게 하나 (1) | 2011.10.27 |
'슈스케3', 이 친구들 아마추어 맞아? (2) | 2011.10.23 |
'위탄2'의 통편집, 예의도 효과도 없다 (0) | 2011.10.18 |
'탑밴드', 탈락자도 웃을 수 있는 이유 (4) | 201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