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SNS시대, ‘뿌리’가 던지는 화두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SNS시대, ‘뿌리’가 던지는 화두

D.H.Jung 2011. 12. 16. 09:17
728x90


‘뿌리’, 세종은 현재와 어떻게 소통했나

'뿌리깊은나무'(사진출처:SBS)

‘뿌리 깊은 나무’는 이미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해 오히려 그 가치를 알아보지 못한 ‘한글’과 ‘세종’의 이야기를 다룬다. 교과서 속에서 시험문제에나 나올 박제화된 세종의 한글창제에 관한 일화들이 21세기인 현재의 대중들의 마음을 움직인다는 것은 실로 놀라운 일이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실제 역사 그 자체가 아니라, 세종과 한글창제가 갖는 의미를 현재의 시점에서 재해석했다는 것 때문일 것이다. 그 몇 백년의 간극을 이어주는 한 단어는 무엇일까.

그것은 ‘소통’이다. ‘뿌리 깊은 나무’는 첫 도입에서 글자를 몰라 죽게 되는 한 선량한 백성의 이야기에서 화두를 던지고, 그 일을 계기로 달라지는 세 인물을 끄집어낸다. 강채윤(장혁)과 소이(신세경)와 세종(한석규)이다. 강채윤은 그 글자를 몰라 죽은 백성의 아들로서 세종에 대한 복수를 꿈꾸고, 소이는 그 죽음에 관여된 인물로서 한글 창제에 투신하게 되며, 세종은 그 두 백성(으로 표상되는 채윤과 소이)의 고통을 바라본 인물로서 역시 한글 창제를 하게 된다.

먼 길을 돌아온 강채윤이 세종의 진심을 알게 되고, 옆에서 임금이란 자리에서 겪는 고독과 또 한글 창제에 깃든 세종의 진심을 소이가 읽어내는 그 과정이 모두 소통이다. 즉 채윤과 소이가 백성을 표상하는 인물이라면 이것은 왕과 백성이 갈망하는 소통에 대한 이야기라고도 할 수 있다. 한글은 그 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매개체가 된다.

주목되는 것은 이른바 ‘재상정치’를 명분으로 내세우면서 실상은 자신들의 기득권(글자를 독점함으로써 권력을 독점하는)을 지키려는 밀본이란 세력이다. 정기준(윤제문)은 한글이 가진 그 ‘역병’ 같은 힘을 직감하고 겁을 먹는다. 그것은 소통의 체계가 왕과 백성 사이에 놓여진 자신들 같은 신하들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세상을 뒤엎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글은 이제 백성들끼리 소통할 수 있고, 또 백성과 왕이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이다. 그러니 이 ‘역병 같은 글자’의 파급력에 정기준은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즉 한글을 반포하려는 세종과 그것을 막으려는 밀본의 대결은 마치 소통과 불통의 대결처럼 그려진다. 이것은 지금 우리 시대가 처해있는 환경과 그대로 맞아떨어진다. 이른바 소셜 네트워크의 시대, SNS 같은 새로운 소통체계는 기성 소통체계를 장악하고 있는 권력에게는 위협이 아닐 수 없다. ‘뿌리 깊은 나무’는 이 대결구도를 마치 100분 토론을 보는 것처럼 세종과 정기준의 논리 대결로 풀어낸다.

정기준은 한글을 백성에게 주는 것이 일종의 왕이 해야 될 책임의 방기라고 몰아 부친다. 즉 한글 하나 주고 이제는 백성들끼리 모든 걸 책임지며 살라는 얘기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로 인해 생겨나는 백성의 저마다의 욕망은 앞으로의 세상을 지옥으로 만들 것이라 위협한다. 하지만 세종은 그것이 왜 지옥이냐고 되묻는다. 이것은 소통에 대한 책임에 관한 담론이다. 소통체계에는 책임 또한 따른다는 것. 우리가 흔히 인터넷 소통체계의 명과 암을 말할 때 늘 나오는 그 담론들을 몇 백 년 전 세종의 이야기를 통해 보게 된다는 건 의미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흥미로운 건 이 ‘역병 같은 글자’의 유포 과정이다. 물론 국가가 기관을 통해 백성들에게 전파시키는 ‘반포’를 세종이 준비하고 있지만, 그것보다 소이가 직접 백성들 속으로 들어가 입에서 입으로 전파시키는 유포가 훨씬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는 점이다. 소이는 백성들에게 친숙한 부적을 통해, 또 아이들의 노래를 통해 한글을 전파시킨다. 이것은 확실히 지금 현재 SNS시대가 갖고 온 새로운 소통체계에 대한 알레고리다.

어렸을 적 한 번쯤은 읽어봤을 위인전 속의 세종 이야기가 21세기의 현대인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는 건 바로 이 사극을 통해 과거가 아닌 현재가 보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세종과 소이, 강채윤이 죽음을 불사하고라도 한글 전파를 위해 온 몸을 던지는 그 모습을 응원하게 되는 것은 어쩌면 그것이 보여주는 소통에 대한 염원을 현대인들도 똑같이 느끼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뿌리 깊은 나무’는 그렇게 세종의 한글창제와 반포의 이야기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간극을 넘어 조선조의 백성과 현재의 대중들을 소통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