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의 예능출연 왜 많아질까
'힐링캠프'(사진출처:SBS)
작년 '나는 꼼수다'가 보여준 건, 정치와 대중문화가 엮어졌을 때 어떤 파괴력이 생기는가 하는 점이다. 정치인과 언론인이 출연했지만 '나는 꼼수다'는 전형적인 대중문화의 형식과 틀을 유지했다. 이 재미의 차원이 갖는 힘은 정치가 늘상 드리우고 있던 무거운 엉덩이를 걷어 차버렸다. 중요한 것은 (이미 식상해진) 내용이 아니라 그 태도와 형식이었다.
정치의 전선이 새롭게 꾸며졌다. 과거 보수와 혁신으로 나뉘던 정당 중심의 정치 전선은 극도의 혐오를 일으키는 정치꾼들의 집단과 정치 바깥에 서 있으나 대중들에게 깊은 소통과 공감을 주는 인물들로 나뉘어졌다. 이른바 박원순 서울시장이나 안철수 교수 같은 비정치인이면서 동시에 시민운동가들이 주목받은 건 그 때문이다. 이들이 친 대중문화적인 위치에 서 있었다는 건 기성정치인들이 그동안 소홀해온 대중과의 소통이라는 '발등의 불'을 실감하게 만들었다.
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이 '힐링캠프'라는 예능 토크쇼에 나온 건 이런 의미다. 또 이 프로그램의 다음 출연자로 문재인 노무현 재단 이사장이 출연하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어쩌면 방송의 생리를 가장 잘 알고 있는 인물은 작년 지속적인 논란을 일으켰던 강용석 의원이 아닐까 싶다. 그는 케이블 채널 tvN '화성인 바이러스'에 고소고발 집착남으로 출연했다. 내용이 선정적이고 논란의 소지도 많지만 어쨌든 그는 방송에 고개를 내밀고 자신을 희화화하는 것 또한 허용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다시 말하지만 중요한 건 내용이 아니라 태도와 형식이다. 그래서 그들은 '100분토론'이 아니라 '힐링캠프'에 출연하는 것이다.
물론 과거에도 연예인 못지않은 인기를 구가했던 정치인들의 예능 출연은 종종 있었다. 주로 '일밤'이나 '느낌표' 같은 공익형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홍준표 의원이나 노회찬 의원 같은 정치인들을 가끔 볼 수 있었다. 하지만 '힐링캠프'는 이들 공익형 예능과는 확실히 다르다. 또 박근혜 위원장, 문재인 노무현 재단 이사장이 가진 무게감도 다르다. 이들은 차기 여권과 야권의 대선주자로 지목되는 인물들이 아닌가. 그래서 이들의 연초의 예능 행보는 예사롭게 여겨진다.
이들이 예능에서 나누는 이야기는 과거처럼 어떤 지도자적인 사회적 지침 같은 것이 아니다. 박근혜 위원장이 '힐링캠프'에 출연해 처음으로 한 말은 '공식적인 인사'가 아니라, "재미없으면 어떡하나"하는 걱정이었다. 즉 박근혜 위원장의 출연 목적은 무엇을 가르치거나 무언가를 알려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프로그램의 목적에 걸 맞는 재미를 주기 위함이었다는 거다. 실제로 박 위원장은 "새우와 고래가 누가 세냐"며 "새우는 깡이 있고 고래는 밥이다"라는 준비해온 농담으로 웃음을 주기도 했다. 이처럼 의미보다는 재미를 먼저 던져줌으로써 대중들과 같은 눈높이를 가지려는 모습이 도드라졌다.
이것은 현재의 정치인들의 예능 출연의 목적이 자신들의 정치적인 입장 표명이나 지지를 호소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대중들과의 '소통과 공감'을 목적으로 한다는 걸 말해준다. 이제 대중들은 높은 위치에서 가르치려하는 목소리를 듣지 않는다. 거꾸로 대중들의 목소리를 들어주고, 똑같은 목소리로 말해주는 이를 심정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이것은 작금의 달라진 정치 전선에서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보수 혁신으로 가름하던 정당의 경계가 희미해진 요즘, 다양한 공감할 사안들을 갖고 있는 것은 정치인으로서의 생명력과 같은 말이다.
한편 정치인들의 이러한 대중들과의 소통에 대한 욕구가 생겨난 한편, 대중문화 역시 작년 말부터 지금껏 잘 다루지 않았던 시사, 정치 소재가 블루오션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개그콘서트'의 최효종을 중심으로 시사풍자 개그가 주목을 끌었고, tvN의 'SNL코리아'는 정치 사안에 대한 보다 직접적인 풍자를 다루기도 했다. 이러한 방송 트렌드는 올해 치러질 총선, 대선과 맞물려 더 거세질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이 어떤 형태든 정치인들의 예능과의 결합은 더 많아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하지만 정치인이 그토록 원하는 '소통과 공감'이 방송 출연을 한다고 그저 얻어지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중요한 건 출연해서 어떻게 하느냐다. 소통과 공감이란 일방적으로 자기 생각을 얘기하는 게 아니라 들어주는 것일 수도 있고, 아주 중대하고 진지한 거대담론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나와 다르지 않은 소소한 일상을 얘기하는 것일 수 있다. 그렇게 다양한 분야와 안건에 대한 공감대를 넓히는 것은 그 어떤 거대담론보다 중요한 일이 된다. 거대한 틀을 바꿈으로써 그 틀에 일상을 꿰맞추던 시대는 갔다. 이제 작은 일상적인 것부터 차근차근 변화해나갈 때 큰 것도 바뀌어질 수 있는 그런 시대가 아닌가.
중요한 건 진정성이다. 방송만큼 지금껏 갖고 있던 완고한 이미지를 깨뜨릴 수 있는 힘을 발휘하는 매체도 없다. 따라서 잘만 적응한다면 방송 출연은 어떤 선거 유세보다 더 강력할 수 있다. 하지만 대중들의 눈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만은 않다. 방송에서의 가식적인 모습은 금세 들통 나기 마련이다. 진정성은 그래서 이제 방송인은 물론이고 정치인에게도 똑같이 해당되는 이 시대의 화두가 되었다. 진정성만이 대중들과의 진짜 소통과 공감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가수'엔 없고, '룰루랄라'엔 있는 것 (1) | 2012.01.12 |
---|---|
'남격', '라인업' 아닌 '무도' 되려면 (0) | 2012.01.11 |
박완규의 '고해', 감동으로 쓸어버리다 (1) | 2012.01.06 |
나영석PD, '1박2일'의 진짜 주역 (0) | 2012.01.03 |
'SBS연예대상', 개념 시상식된 비결 (0) | 2012.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