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패션왕', 끔찍한 청춘들의 자화상

728x90

스펙사회에서 생존하려는 청춘들의 몸부림

 

‘패션왕’의 강영걸(유아인)은 우리가 흔히 드라마에서 보던 그런 주인공과는 다른 지점에 서 있다. 주인공이라고 하면 주로 선의 입장에 서 있게 마련이고, 겉으로는 까칠하게 굴어도 여성을 보호해주는 인물이며, 심지어 복수를 할 때조차 누군가의 뒤통수를 친다거나 하는 비열한 짓은 하지 않는다. 그렇게 하면 주인공으로서의 정당성(적과는 다른)이 흐려지기 때문이다.

 

 

'패션왕'(사진출처:SBS)

하지만 강영걸은 자신에게 모든 걸 의탁하고 지지하는 가영(신세경)을 사장이라는 명분으로 이용하기도 하고 때론 지나친 명령을 내리기도 한다. 또 재혁(이제훈)에게 복수하기 위해 겉으로는 협력하는 척 가영을 그의 회사에 파견근무 보내고 거기서 안나(유리) 대신 디자인을 하게 시키지만, 결국 가영이 한 디자인을 자신이 상표등록 하는 방식으로 재혁의 뒤통수를 친다. 그는 결코 우리가 흔히 봐왔던 드라마의 주인공과는 다르다. 그래서 한때 강영걸은 민폐 캐릭터로 불리기까지 했다. 도대체 왜 강영걸은 이렇게 물불 안 가리는 캐릭터가 되었을까.

 

여기에 대한 해답은 강영걸과 정반대에 서있는 인물들에게서 찾아진다. 재혁의 아버지인 정만호(김일우)는 자식에게조차 실적이 우선인 인물이다. 그는 자식이 사업에 실패해도 ‘자기 돈’ 아까운 것만 생각하는 사람이다. “내가 제일 싫어하는 인간이 뭔지 알아? 능력도 없으면서 열심히 하는 인간들이야.” 이렇게 말하는 그는 노력이나 과정이 아니라 결과만으로 판단하는 인물이다. 모든 것이 결과로 드러나는 이른바 ‘스펙사회’의 전형.

 

흥미로운 건 ‘스펙사회’가 만들어내는 공포는 또 다른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이다. 재혁은 그런 아버지 정만호를 거의 공포의 대상으로 여기는데, 또 다시 실패하지 않기 위해 가영의 디자인을 안나가 한 것처럼 돈으로 사려고 한다. 누군가의 아이디어를 돈으로 가로채는 이런 방식은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문제들을 환기시킨다. 과정이 없고 결과만을 보는 스펙사회가 만들어낸 일그러진 자화상이다. 정만호와는 달리 재혁이 그나마 괴로워하는 건과정을 만들어내고 있는 가영이란 청춘이 눈에 밟히기 때문이다. 그는 스펙사회의 공포에 질려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청춘의 순수함을 갖고 있다.

 

앞뒤가 꽉 막혀버린 이 ‘스펙사회’의 틀을 놓고 바라보면 강영걸의 과도해 보이는 행동들이 이해된다. 도대체 공정하고 정의로운 공자님 같은 방식으로 이 스펙사회와 대적할 수가 있을까. 그래서 강영걸은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걸 동원한다. 비열해져야 한다면 비열해지는 것이다. 그것이 결국 이 싸움에서 이기는 길이고, 그래야 가영 같은 자신만을 바라보는 주변 인물들도 챙길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것이란 걸 그는 알고 있다.

 

재혁과 안나가 이 스펙사회의 기득권자로서 과정 없이 결과에만 집착하는 한계를 드러낸다면, 거꾸로 영걸과 가영은 애초부터 출구가 막혀 결과를 내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재혁과 안나는 과정을 찾아야 하고, 영걸과 가영은 결과를 만들어내야 한다. 이 한계를 넘으려면 재혁과 안나는 과정 자체를 즐겨야 하는 반면, 영걸과 가영은 스펙사회에서 몸에 새겨져 버린 패배주의를 넘어서 자신들만의 자존감을 되찾아야 한다. 이미 능력이 입증되었지만 여전히 ‘짝퉁 인생’을 살아가는 그 한계를 넘어서야 한다.

 

강영걸이 그토록 비열하게까지 그려지고, 재혁과 안나의 무표정한 얼굴이 그토록 안쓰럽게 여겨지며, 가영의 언제든 건드리면 터질 것 같은 눈물이 가슴 한 구석을 먹먹하게 만드는 건 이 모든 풍경들이 우리네 스펙사회 청춘들의 자화상처럼 여겨지기 때문이다. 본래 ‘장치나 프로그램을 만들 때 필요한 성능’ 따위를 지칭하던 ‘스펙’이란 말이 공공연히 인간에게 사용되고 있는 이 사회. ‘스펙사회’는 그래서 그 자체로 이 사회가 얼마나 인간을 사물화하고 대상화하고 있는가를 드러내준다. ‘패션왕’을 보다보면 이 끔찍한 스펙사회에서 질식당하고 있는 이 땅의 청춘들의 처절한 몸부림을 실감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