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적도', 이래서 엄포스라고 하는구나

728x90

'적도', 시각장애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

 

우리는 눈을 통해 얼마나 진실을 볼 수 있을까. 어쩌면 눈이 있기 때문에 진실은 오히려 가려지는 것이 아닐까. '적도의 남자'는 주인공 선우(엄태웅)가 눈이 멀게 되는 상황을 통해 우리에게 이런 질문을 던진다. 아이러니하게도 눈을 뜨고 있을 때 선우는 장일(이준혁)의 실체를 보지 못했다. 선우가 그 실체를 보게 된 것은 바로 그가 눈을 멀게 되는 사건을 통해서다. 그리고 보이지 않는 그 세계 속에서 선우는 차츰 세상을 제대로 바라보게 된다.

 

 

'적도의 남자'(사진출처:KBS)

그 세상은 냉혹한 공포와 분노이면서, 동시에 따뜻한 마음이기도 하다. 공포와 분노는 성공과 욕망을 위해서라면 친구마저 뒤통수를 칠 수 있는 장일이라는 인물로 대변되는 세상이고, 그 따뜻한 마음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둠 속에서 구원처럼 손을 내밀어주는 지원(이보영)이라는 인물로 표상되는 세상이다. 그래서 이 세상을 담는 '적도의 남자'는 두 가지 장르를 담는다. 선우와 장일의 관계가 풀어져가는 복수극이 그 하나고, 선우와 지원이 점점 진심으로 다가가는 드라마틱한 멜로가 다른 하나다.

 

'적도의 남자'가 초반 부진을 털어내고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이 복수극과 멜로라는 두 가지 씨줄과 날줄이 바로 '눈을 멀었다'는 그 설정을 통해 절묘하게 엮어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이 시각장애라는 설정이 있었기 때문에 '적도의 남자'는 상투적인 복수극과 상투적인 멜로의 틀을 벗어날 수 있었다. 이 드라마에는 시각장애라는 설정에서만 가능한 극적인 상황과 장면들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다.

 

선우가 못 보기 때문에 장일이 선우를 대하는 섬뜩한 실체가 더 부각되고, 안마 실습을 하면서 아버지를 죽게 한 진노식 회장(김영철)과 선우가 대면하는 극적인 장면이 가능해진다. 보이지 않는다는 선우의 장벽을 세워두자 그 앞에 이 철면피 같은 인간들이 하는 섬뜩한 짓들이 부각되는 식이다. 그리고 끔찍하게도 우리는 그것을 바라봐야 한다. 아마도 선우의 복수극은 그래서 이 못 본다는 설정을 뒤집는 것에서부터 시작될 것이다. 못 본다고 생각했던 선우가 사실은 그들의 치부를 보고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복수의 서막이 되지 않겠는가.

 

하지만 못 본다는 설정을 단지 이런 복수극으로만 활용했다면 이 드라마는 자칫 너무 건조한 느낌에 머물렀을 지도 모른다. 다행스러운 것은 이 설정이 멜로에도 대단히 효과적이라는 점이다. 선우가 스카프를 사면서 옆에 따라온 지원이 있는 줄도 모르고 마음을 고백하는 장면이 그렇고, 연주회장 앞에서 난 자동차 사고 소식을 들은 선우가 지원이 다친 줄 알고 안 보이는 와중에도 그녀를 애타게 찾는 장면이 그렇다. 불 꺼진 방안에서 선우가 지원에게 책을 읽어주는 장면은 또 얼마나 시적인가. 또 눈이 보이게 된 선우가 지원과 다시 만나는 과정이 아련하게 이어지는 것도 과거 시각 장애를 겪었던 사실에서 비롯된다.

 

물론 이 시각장애라는 설정이 장르적으로 훌륭한 장치라는 것에만 머무는 건 아니다. 이 설정은 그 자체로 이 드라마의 메시지에 접근한다. 보지 못하는 선우라는 존재가 겉으로만 번지르르 한 세상의 더럽고 잔혹한 치부를 제대로 바라보고, 허위와 욕망으로 가득한 세상에서 진실된 사랑을 찾게 된다. 이는 또한 보지 못하는 자와 보는 자로서 선우와 장일이라는 두 인물의 대비를 통해서도 나타난다. 보지 못하는 선우가 보는 장일보다 더 진실 되고 따라서 더 행복해질 수 있다는 아이러니. 이것은 상황 자체만으로도 전해지는 세상에 대한 통렬한 비판의식이 아닐 수 없다.

 

무엇보다 이 보지 못하는 남자와 보는 남자, 그리고 그 사이에 놓여진 구원 같은 여자를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게 해준 연기자들의 힘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다. 이준혁은 연기의 재발견이다. 이준혁은 순간순간 욕망에 따라 아무런 양심의 가책 없이 거짓말을 하고 행동하는 이 섬뜩한 장일이라는 인물을 통해, 현대인의 어두운 이면을 드러내주었다. 지원이라는 구원자의 역할을 연기한 이보영도 빼놓을 수 없다. 지금껏 그다지 존재감이 드러나지 않았던 이보영은 이 역할을 통해 그 투명할 정도로 순수한 매력이 보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무엇보다 '적도의 남자'는 엄태웅의 존재감이 깊이 각인된 드라마임에 분명하다. 그는 왜 그가 엄포스라고 불리는가를 이번 드라마를 통해 보여주었다. 투박해 보이지만 진짜 선우라는 캐릭터가 되기 위해 온몸을 던지는 그 자세에서 우리는 이 인물의 진정성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만일 이 절절한 진심이 담긴 엄태웅의 연기가 받쳐주지 못했다면 자칫 이 드라마는 그저 답답하게만 여겨졌을 지도 모른다. 엄태웅이 있어, 이 시각장애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이 더 섬뜩하고 더 절절하게 여겨질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