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각시탈>이 민족주의를 넘는 방법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각시탈>이 민족주의를 넘는 방법

D.H.Jung 2012. 6. 15. 08:58
728x90

<각시탈>, 탈 안쓴 자 누가 있으랴

 

<각시탈>은 74년에 나온 허영만 원작의 만화다. 당시 이 작품은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78년도에는 <각시탈 철면객>이란 제목으로 영화화되기도 했다. 그리고 무려 약 40년이 흘렀다. 시대는 달라졌다. 70년대만 하더라도 민족주의 정서가 먹히던 시대였다. 항일을 다루는 콘텐츠들은 그 자체로 경쟁력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2012년 현재는 다르다. <각시탈>은 이 달라진 시대를 어떻게 극복하고 있을까.

 

 

'각시탈'(사진출처:KBS)

이것은 사실 <각시탈>이라는 70년대 원작이 지금 현재 리메이크 되도 괜찮을 만큼 탄탄한 내적 스토리를 갖추고 있었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각시탈>은 여타의 민족주의에 편승한 콘텐츠들과는 다른 면모를 갖고 있었다. '조선판 쾌걸 조로'라는 표현이 걸맞을 정도로 글로벌하게 먹히고 있는 '가면'이라는 소재를 우리 식으로 해석했던 점이 민족주의적인 성격과 함께 보편적인 이야기의 재미를 동시에 가져올 수 있었기 때문이다.

 

<각시탈>은 물론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그 드라마의 극적인 이야기를 만드는 것은 '탈'이라는 소재다. 어떤 목적을 위해 얼굴을 가리고 행동한다는 이 장치는 드라마 속 캐릭터들을 이중적으로 만들어 놓는다. 이것은 바보 행세를 하면서 사실은 각시탈인 이강산(신현준)만의 얘기가 아니다. 일본의 앞잡이 행세를 하는 이강토 역시 보이지 않는 탈을 쓰고 있는 건 마찬가지다.

 

극악무도하게 같은 민족을 괴롭히지만 그것은 이강토가 쓴 탈이다. 바보가 된 형 옆에 누워 자신의 아팠던 과거를 토로하며 눈물을 쏟아내는 모습이 그의 진면목이다. 어린 시절 이강토와 안타깝게 헤어졌던 목단(진세연)은 이제 성장해 서커스 단원이라는 탈을 쓰고 항일운동에 뛰어든다. 그런 그녀를 알아채고도 이강토는 그녀 앞에서 아닌 척 탈을 쓴다. 한편 기무라(박기웅)는 이강토와 둘도 없는 친구 사이지만 그 역시 이 불행한 시절에 조선의 적으로 설 수밖에 없는 일본인이라는 탈을 숨기고 있다.

 

사실 일제시대라는 상황 속에서 탈을 쓰지 않은 이들은 없었을 것이다. 눈앞의 총칼 앞에 어찌 속내를 숨기지 않을 수 있을까. 그들은 탈을 쓰지 않았을 때는 가면의 삶을 살아가다가 비로소 탈을 쓰고는 진면목을 드러낸다. 이 얼마나 아이러니한 삶인가. 탈을 써야 본래 속내를 드러내는 삶.

 

<각시탈>은 그런 면에서 이 이야기가 소재로 끌어온 탈을 그대로 닮은 드라마다. 겉으로 보면 민족주의적인 이야기가 전면에 드러나 있지만, 탈 이면에는 지극히 보편적인 사랑이나 우정, 형제애, 모성애 같은 것들이 숨겨져 있다. 바보인 줄 알았던 자신의 아들이 사실은 각시탈이라는 것을 알고는 그것을 숨기기 위해 죽음을 맞이하는 어머니 한씨(송옥숙)의 모성애나, 오랜 세월 그리워하고 사모해온 여인 목단에게 마음을 얘기하지 못하는 이강토의 사랑, 친구 사이지만 목단을 사이에 두고 조금씩 대립하게 되는 이강토와 기무라의 우정 같은 것들이다.

 

그래서 이 흥미로운 드라마는 그 누구 하나 탈을 쓰지 않은 이가 없다. 각시탈은 그 모든 탈 쓴 이들을 대변하는 상징일 뿐이다. 그리고 탈이 하나씩 벗겨져나가는 지점에서 이 드라마의 극성이 생겨난다. 이강토는 과연 자신이 쓰고 있는 일제의 앞잡이라는 탈을 벗어던질 수 있을까. 그는 자신이 사실은 사랑하는 목단 앞에 제 속내를 드러낼 수 있을까. 기무라와 국적을 넘어선 우정을 지켜낼 수 있을까. <각시탈>이 주목하는 것은 바로 이런 보편적인 인간의 정서다.

 

사실 누구든 탈을 쓰지 않고 살아가는 이는 없을 것이다. 그것은 일제시대든 70년대든 아니면 지금이든 마찬가지다. <각시탈>은 바로 이 탈이라는 시대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소재에 접근함으로써 닳고 닳은 민족주의라는 이제는 지나간 시대의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