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무도>, 이제 몸만 풀었을 뿐이다

728x90

그간 소식만으로도 제 궤도 찾은 <무도>

 

<무한도전>이 다시 방송을 재개했다. 무려 24주간이다. 그 긴 공백을 채우는 데는 아마도 일종의 예열이 필요했을 게다. 돌아온 <무한도전>은 ‘무한뉴스’ 형식으로 그간의 멤버들의 소식과 예능 판세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각오와 다짐을 새롭게 하는 자리로 채워졌다. 그리고 나머지 반은 파업에 갑작스럽게 돌입하면서 그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던 ‘하하 vs 홍철’의 대결을 복기하는 것으로 채웠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한때 ‘스페셜 재방송’으로 채워지며 4%까지 떨어졌던 시청률이 단박에 14%까지 올랐다. 본격적인 ‘도전’을 보여주지 않았음에도 동시간대 최고 시청률을 회복한 것은 이 프로그램에 대한 갈증이 얼마나 깊었던가를 말해주는 대목이다. 물론 이 ‘무한뉴스’와 ‘하하 vs 홍철’의 축약본으로 그 갈증이 채워질 수는 없다. 그래서 어서 본 궤도에 오른 <무한도전>을 바라는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본격적인 <무한도전>은 사실상 8월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김태호 PD도 트위터를 통해 "오늘은 정말 인사만 드리는 거고~! 다음 주 워밍업 끝내면 8월 방송부터 본격적으로 달릴 수 있을 듯"이라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다시 업무에 복귀했다고 해도 제작진이나 출연진이나 시간은 필요할 수밖에 없다.

 

이것은 <무한도전>이라는 프로그램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무한뉴스’가 그간의 멤버들의 근황을 일일이 언급한 것은 그 준비과정으로서는 꽤 중요한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무한도전>은 결국 캐릭터쇼가 핵심이다. 그동안 방송을 통해 보이지 않았던 멤버들의 일상사 공개는 그 일상을 담은 리얼한 캐릭터를 먼저 환기시키는 작업인 셈이다.

 

많은 일들이 있었다. 정준하는 결혼을 했고, 정형돈은 쌍둥이 아이를 가졌으며 <고쇼>에 고정으로 자리를 잡았고, 정형돈은 형돈이와 대준이를 통해 개가수로서 주목받게 되었다. 박명수는 <나는 가수다>의 진행을 맡으면서 꽤 많은 비판을 받게 되었고, 길은 <보이스 코리아> 출연으로 가수로서의 이미지를 세웠으며, 유재석과 하하는 <런닝맨>으로 승승장구했다.

 

만일 <무한도전>이 계속 방영되고 있었다면 이 자잘한 일들로 인해 변화하고 발전하는 캐릭터의 모습을 프로그램을 통해 볼 수 있었을 것이다. <무한도전>의 핵심적인 재미는 프로그램 안에서만의 캐릭터가 아니라, 바깥에서도 여전히 이어지고 영향을 받는 캐릭터의 변화다. 실제로 정준하는 결혼한 후의 캐릭터를 고민하고 있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특히 정준하가 직접 손으로 작성해와 보여준 그간 예능의 흐름을 낱낱이 보여준 것도 의미가 있다. 오디션 프로그램이 다양해졌고, 파업으로 MBC 예능이 전체적으로 가라앉았다는 것을 확인하며, 심지어 경쟁 프로그램까지 예를 들어 덕담을 해주는 풍경은 <무한도전>이 예능 위에 예능이라는 것을 은연 중에 드러나게 했다. <개그콘서트>의 용감한 녀석들이 <무한도전> 재개를 바라는 멘트를 날렸던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하는 장면은 이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초 방송사적인 특성을 잘 말해주었다.

 

‘하하 vs 홍철’의 대결을 굳이 복기하고 다음 회에도 한 회를 배분하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대결의 속성 상 그간의 이야기 흐름을 이해하지 못하면 아무런 감흥도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이 대결은 묵은 아이템이 되어버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미 파업 전에 대결을 시작한 마당에 결과를 보여주지 않을 수는 없다. 시청자와 당시 참여했던 관객들에게도 그건 예의가 아니다.

 

어쨌든 <무한도전>이 다시 재개됐다는 것만으로, 또 그간의 소식들을 <무한도전> 특유의 뉴스 형식으로 볼 수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기대감을 갖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무한도전>은 프로그램 특성상 제작진도 시간이 필요하고, 그걸 보는 시청자도 일종의 준비기간이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돌아온 <무한도전>에 아쉬움이 남았다면 그것은 그만한 기대감을 갖고 있다는 반증일 게다. 8월부터 시작될 본격적인 <무한도전>의 행보가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