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곽도원이 있어 <유령>에 빠질 수 있었네

728x90

곽도원은 어떻게 소지섭을 압도했을까

 

곽도원의 무엇이 우리를 빠져들게 했을까. 사실 영화 <범죄와의 전쟁>에서 곽도원이 악질검사 조범석으로 출연해서 더 악질인 최익현(최민식)을 발로 밟을 때부터 ‘이 존재감은 뭐지’ 했던 이들이 많았을 것이다. 그런데 그건 2시간 넘는 영화에서 짧게 치고 들어오는 미친 존재감 정도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매주 방영되는 드라마는 다르다. 게다가 이 드라마의 진짜 중심은 소간지, 소지섭이 아닌가. 그런데 차츰 소간지보다 더 집중되는 캐릭터가 있었으니 그는 다름 아닌 미친 소, 곽도원이었다.

 

'유령'(사진출처:SBS)

<유령>에서 곽도원은 소지섭과 정확히 상반되는 캐릭터로 포지셔닝 되었다. 소지섭이 깔끔하고 이지적인 느낌의 CSI풍 과학수사의 사이버 수사대 형사라면, 곽도원은 과학수사와는 거리가 먼 일단 문부터 부수고 들어가는 전형적인 우리네 강력계 형사였다. 외모에서도 소지섭이 조각 같은 얼굴에 식스팩으로 무장하고 있었다면, 곽도원은 그저 평범해 보이는 외모에 원팩의 몸을 가진 전형적인 아저씨 이미지였다.

 

수사방식도 정반대였다. 소지섭은 끊임없이 추리하고 사건의 실마리를 잡기 위해 함정을 파면서 상대방과 두뇌게임을 한다면, 곽도원은 발품을 팔고 몸으로 부딪치는 수사를 펼친다. 용의자 앞에서도 예의를 차리는 소지섭과 달리 곽도원은 일단 욕을 날리고 엄포를 놓는다. 당연히 곽도원의 밀어붙이는 카리스마는 더 부각될 수밖에 없었다. 물론 곽도원이 기존 마초형 형사들과 다르게 보였던 것은 그 와중에도 치밀한 면모가 있으면서도 가끔 여린 마음이 드러나기도 하는 인간적인 냄새 때문일 것이다.

 

어쨌든 <유령>이라는 드라마는 확실히 소지섭보다는 곽도원에게 유리한 지점을 부여한 게 분명하다. 조금은 어려울 수 있는 사이버 범죄들과 그 속에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전문용어들은 보통의 시청자들에게는 낯설기 그지없는 것일 수 있었다. 게다가 잠시라도 놓치면 전체 맥락을 잃게 되는 촘촘한 드라마 구조도 일반 대중들에게는 어려운 드라마로 인식되게 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곽도원이라는 존재는 이런 어려움을 한 방에 날려버렸다. 입에 붙은 듯한 “-고 나발이고”식의 말투는 대중들에게 좀 더 친숙한 시점을 제공했다.

 

곽도원이 더 주목받을 수 있었던 것에는 이연희의 연기력 논란도 한 몫을 차지했다. 본래 이 작품에서 멜로 구도가 만들어진다면 소지섭과 이연희가 그 역할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극 초반에 생겨난 이연희의 연기력 논란은 이 드라마에서 아예 멜로 구도를 지워버렸다. 이렇게 되자 이연희의 존재감만큼 사라진 것이 소지섭의 존재감이 되었다. 소지섭은 형사로서 날카롭고 이지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멜로구도를 통해 친숙한 이미지를 덧붙였어야 그 캐릭터가 살 수 있었다. 멜로구도가 사라진 소지섭은 그저 사이버수사의 중심축을 맡은 역할로 감성적인 부분이 사라져 버렸다.

 

대신 이 부분을 채워준 것이 곽도원이다. 이른바 미친 소와 쪼린 감자 사이에 생겨난 미묘한 감정에 대한 열광은 소지섭-이연희 라인이 깨지면서 생겨난 새로운 요구일 수 있다. 곽도원과 송하윤의 멜로라인에 대한 요구가 생겨난 것도 그 때문이다. 이로써 곽도원은 좀 더 친숙한 형사로서 극의 중심에 섰을 뿐 아니라, 주연도 갖지 못한 멜로라인도 갖게 되었다. 사실상 주인공이 바뀐 것이나 다름없다.

 

물론 이것은 그만큼 곽도원이 준비되어 있었다는 얘기다. 단지 상황이 그렇게 흘러가서 그가 행운을 얻었다는 것이 아니다. 아무리 그런 행운이 왔다고 해도 준비되지 않았다면 곽도원이 그 행운을 쟁취할 수 있었겠는가. 어쨌든 외곽에서 미친 존재감을 보이던 곽도원은 <유령>을 통해 확실히 중심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소지섭과 이연희의 존재감이 흐릿해질 정도로 그의 존재감은 확실했다. 그리고 그가 있었기에 대중들은 <유령>에 더 깊게 빠져들 수 있었다. <유령>을 통해 우리는 곽도원이라는 배우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