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응답하라 1997>, 그 성공의 비결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응답하라 1997>, 그 성공의 비결

D.H.Jung 2012. 8. 8. 11:10
728x90

97년의 문화풍경만으로도 충분한 공감

 

당신과 나를 동시대인으로 기억하게 하는 것은 뭘까. 그것은 거창한 연대나 나이가 아니다. 동시대를 함께 살아오며 겪었던 자잘한 일상에 담겨진 문화들이다. 물론 거대한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사건들도 같은 시대를 살아왔다는 그 동질감을 떠올리게 하지만, 실제로 그것을 공감시키는 것은 우리 피부에 와 닿는 작은 일상들이다. 그런 점에서 <응답하라 1997>은 제목에서부터 드러나듯 1997년이라는 특정 연대로 표상되는 당대의 문화를 전면에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대중들의 관심을 끌어 모았다.

 

 

'응답하라 1997'(사진출처:tvN)

당대를 전라도와 경상도로 첨예하게 나뉘었던 지역감정은 전라도 출신의 아빠 성동일과 부산 토박이 엄마 이일화로 구성된 가족으로 그려진다. 음식 하나, 프로야구 하나 갖고도 지역감정이 드러나는 이 문화적 분위기 속에 HOT 토니빠인 성시원(정은지)이 서 있다는 것은 당대 97년이 어떤 변화의 기점에 놓여져 있었다는 것을 잘 설명해준다. 즉 지역감정 같은 해묵은 어른들의 갈등의 시대에, 아이들에게 갑자기 나타난 HOT로 표상되는 대중문화의 세례다. 어른들의 싸움에 지치디 지친 아이들은 저들만의 세계를 찾아낸다.

 

자신들이 좋아하는 오빠들의 신보를 사기 위해 새벽부터 줄을 서고, 얼굴이라도 한 번 보기 위해 무작정 상경해 집 앞에 진을 치고 기다리던 이 아날로그 팬질 1세대들은 “요즘 애들은 팬질을 너무 편하게 한다”고 말할 정도로 어느새 성장해 있다. 1997년 이유가 뭔지도 모른 채 아프고 때론 많이 힘겨워 했던 그들을 버티게 해준 건 다름 아닌 저들끼리 하나로 뭉쳐질 수 있었던 대중문화였다. 90년대에 대중문화가 폭발했다는 것은 그래서 단순히 상업적인 사건이 아니라 힘겨웠던 당대를 살아내며 성장통을 겪었던 아이들의 소박한 탈출구라고 볼 수 있다.

 

PC통신과 채팅, 삐삐와 다마고치, <접속>의 한석규와 전도연, <별은 내 가슴에>로 스타덤에 오른 안재욱, HOT와 양파, K2 같은 듣기만 해도 당대의 공기를 느낄 수 있는 노래들, 프로야구, 하다못해 당대 마셨던 음료수 같은 자잘한 오브제들까지... <응답하라 1997>은 그 시대를 경험했던 동시대인들의 공감을 이끌어낸다. 마치 <건축학개론>이 김동률의 노래 한 자락만으로도 충분히 당대의 감성을 되살려 놓듯이.

 

하지만 그렇다고 <응답하라 1997>이 97년을 겪은 사람들만의 추억에 머무는 건 아니다. 만일 그랬다면 이렇게 좋은 반응이 나오기 힘들었을 것이다. 복고란 과거를 재현하는 것으로 단지 향수를 끄집어내는 것만으로는 성공하기 힘든 트렌드다. 여기서 더 중요한 것은 이 과거의 감성이 어떻게 현재의 감성과 만나는가 하는 점이다.

 

그 해답은 이 드라마의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는 성시원 역할을 연기하고 있는 정은지나 실전성공 0%의 에로지존 도학찬을 연기하는 은지원에게서 찾아질 수 있다. 즉 97년을 겪은 지금의 중년들이 당대의 젊었던 시절을 떠올리며 보게 될 이 드라마를 현재의 젊은 세대들 역시 공감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그들이 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년들은 과거의 젊은 시절을 떠올리고, 젊은 세대들은 드라마 속 젊은 주인공들이 겪고 있는 지금과 그다지 다를 바 없는 청춘의 성장통을 흥미롭게 바라본다.

 

<건축학개론>의 성공이 납뜩이를 연기한 조정석과 젊은 승민과 서연을 연기한 이제훈과 수지에 더 방점이 찍힌 이유는 그들이 젊기 때문이다. 그 젊음은 나이든 세대와 젊은 세대의 접점이 된다. 마찬가지로 <응답하라 1997>의 접점은 정은지 같은 에이핑크의 멤버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성시원이라는 역할에 몰입해 있는 인물에서 생겨난다. 실제 나이는 많지만 이 드라마에서 고등학생으로 등장하는 은지원 역시 마찬가지다. 그 역시 지금 세대와 과거의 세대의 가교 역할을 해주고 있다.

 

<응답하라 1997>은 그런 점에서 세대 통합적인 공감지점을 정확히 짚어낸 드라마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에는 90년대가 화두가 되고 있는 현재의 대중문화 주 소비층들(30대 중반)의 기호가 전면에 깔려 있지만, 지금의 세대들 역시 이때부터 발원한 대중문화의 흐름 속에서 현재의 대중문화를 향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같은 공감대를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이 드라마가 던지는 저 명령형의 제목에 응답하는 이들은 단지 과거 세대만이 아닐 것이다. 지금도 여전히 젊은 세대들은 알 수 없는 아픔에 성장통을 겪으며 소박한 탈출구로서 대중문화를 탐닉하지 않는가. 누구나 응답하고 싶은 드라마, 바로 <응답하라 1997>의 성공비결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