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무신'과 대선, 정말 아무 관계없을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무신'과 대선, 정말 아무 관계없을까

D.H.Jung 2012. 9. 14. 09:10
728x90

왜 지금 <무신>이어야 했을까

 

이제 종영이 임박한 MBC 주말사극 <무신>은 애초 ‘대장경 천년 특별기획’이라는 기치로 제작되었다. 실제로 이 사극의 초반부에는 대장경을 염두에 둔 에피소드들이 매회 등장했다. 조금은 뜬금없어 보였지만, 대장경의 의미를 하나 하나 설명하는 장면들이 사족처럼 들어 있었다. 물론 이 사극의 주인공인 김준(김주혁)이 자라난 곳이 다름 아닌 절이고, 그 역시 최씨 가문의 노예로 끌려오기 전에는 스님이었다.

 

'무신'(사진출처:MBC)

하지만 <무신>은 김준이 노예 신분을 벗고 점점 고려 무신정권의 중심으로 들어오면서 대장경 에피소드하고는 멀어졌다. 드라마의 전체 흐름으로 보면 대장경 에피소드는 마치 명분을 위해 들어간 장면처럼 보인다. 실제 <무신>이 다루려고 하는 것은 고려말 무인들이 정권을 휘둘렀던 이른바 ‘무신정권’ 약 100년 간의 통치기간이다. 왕이 있었지만 실질적인 통치권은 군부에 있었던 시기. 그 시기에 김준이라는 노예에서 시작해 최고 권력자가 되는 인물을 조명한 것이 <무신>의 실체다.

 

그런데 왜 지금 군사통치를 했던 그 시기의 이야기를 다뤄야 했는가 하는 의문이 남는다. 이것은 그간 사극이 정치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상관관계를 가져왔다는 점 때문이다. 96년부터 98년까지 방영되었던 KBS 사극 <용의 눈물>은 97년 대선에 영향을 줄 정도로 화제를 모았다. 강력한 왕권을 구축하며 형제들마저 내쳤던 태종 이방원의 이야기는 당시 IMF 시절 대권후보들이 차용하고 싶은 이미지 그대로였다. 실제로 이방원(유동근)이 탄 말 앞다리에 'DJ'라는 글자가 새겨져 논란이 되기도 했다.

 

2000년 총선 때 KBS 사극 <태조 왕건>, 2007년 대선 때 MBC 사극 <주몽>과 <이산>인 인기를 끈 것도 사극에서 정치적인 리더십을 찾으려는 대중들의 욕구를 들여다볼 수 있는 대목이다. 선거철에 방영된 것은 아니지만 <선덕여왕>이나 <뿌리 깊은 나무> 같은 사극들은 모두 현실 정치의 염원이 묻어나는 작품들이다. 그렇다면 이제 대선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 <무신>은 어떤 정치적인 메시지를 담아냈을까.

 

<무신>은 대몽항쟁을 다루면서 무신들과 문신들을 극명한 대비로 그려 넣었다. 현재 몽고의 쿠빌라이칸에게 무릎을 꿇은 문신들을 대표하는 원종과 이를 극렬히 반대하는 김준의 대립을 그리고 있다. 당시 외교에 있어서 누가 옳았는가 하는 점은 역사적 관점에 따라 달리 읽힐 수 있다. 또 외세에 자주를 내세운 당대 무신들의 기상은 물론 높이 살만한 일이다. 하지만 왜 이 이야기가 하필 지금 같은 시기에 사극에서 다뤄지고 있는가 하는 점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우리에게 군사정권이니 군사통치니 하는 용어에서 먼저 떠오르는 건 다름 아닌 박정희 정권이다. 박정희는 실제로 <무신>이 다루고 있는 군사통치처럼, 1961년 5월16일 군사혁명위원회를 출범하고 5월18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이름을 바꾼 뒤 1963년 12월16일까지 이를 통한 실질적인 통치를 했던 적이 있다. 당시 윤보선 대통령이 있었지만 그는 아무런 실권을 발휘하지 못했다. <무신>의 역사적 상황과 딱 맞아떨어지는 대목이다.

 

물론 <무신>이 박정희를 그대로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작품이라 단언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 사극이 그려내는 정치적 뉘앙스는 분명 존재한다. 외세에 대적하는 자주 국방이니, 강력한 중앙집권 같은 이 사극이 모토로 보여주는 정치의 세계는 자칫 대선의 특정 정당에 편향된 느낌을 줄 수 있다. 왜 하필 지금 같은 시기에 <무신>같은 소재를 다뤄야 했을까. 그것은 진정 대장경 천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을까. 정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