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다섯손가락', 왜 끊임없이 추락할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다섯손가락', 왜 끊임없이 추락할까

D.H.Jung 2012. 9. 17. 09:43
728x90

김순옥표 드라마의 한계, 비약과 과장

 

<아내의 유혹>과 <천사의 유혹>의 김순옥 작가에게 늘 막장 논란이 끊이질 않았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다섯손가락>의 초반부는 분명 어딘지 기존 막장드라마들과는 다른 구석이 있었다. 그것은 아마도 피아노라는 감성적인 소재가 주는 느낌이 일조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다섯손가락>의 피아노라는 소재는 김순옥 작가가 그리던 거친 세상과는 대조적인 감성을 보여주었다. 그래서였을까. <다섯손가락>은 11.2%(8월18일 agb닐슨)로 시작해 일찌감치 14.1%(8월25일)로 정점을 찍었다.

 

'다섯손가락'(사진출처:SBS)

여기에 아역들이 가진 힘이 있었다. 아이들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자극적인 상황들에 노출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이기 때문에 막장이라기보다는 동정의 시선으로 바라보게 만들었다. 이런 분위기는 김순옥 작가의 진화라는 평가까지 만들었다. 하지만 초반 선전을 이끌었던 아역들이 빠지면서 11.8%(9월2일)로 뚝 떨어지더니, 10.8%(9월8일), 10.5%(9월9일)로 끊임없는 하락세를 걷게 되었다. 경쟁작인 <메이퀸>이 아역 분량을 지금껏 이어오면서 꾸준히 시청률을 끌어올린 것과는 대조적이다(<메이퀸> 역시 아역이 빠지면 어떤 결과가 올지 알 수 없지만.).

 

하지만 성인역으로 교체되면서 김순옥표 드라마의 고질적인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그것은 지나친 논리의 비약과 우연의 연속, 캐릭터가 스스로 살아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마치 작가에 의해 인형처럼 조종되고 있다는 인위적인 느낌, 게다가 어디서 많이 봤던 상황들의 연속까지... 문제들이 쏟아져 나왔다. 피아노라는 감성적인 소재와 아이라는 동정적 시선의 대상이 사라지면서 본색이 드러난 셈이다.

 

지금껏 누누이 지적되어 왔던 김순옥표 드라마의 가장 큰 맹점은 개연성 부족과 속도 조절 실패에서 비롯된다. 그것이 작가의 성정 때문인지 모르지만, 김순옥 작가의 드라마는 너무 서두른다는 인상이 강하다. 물론 속도감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여기에 논리와 개연성이 충분히 녹아나지 않게 되면 시청자들은 저 뒤에 있는데 작가 혼자 저 앞으로 달려 나가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성인이 된 유지호(주지훈)와 홍다미(진세연)가 자전거를 타다 부딪쳐 우연히 다시 만나게 되는 장면은 김순옥표 드라마의 논리와 개연성 결여를 고스란히 드러낸다. 제 아무리 비슷하다고 해도(그렇게 비슷한 자전거를 타고 있다는 것도 지나친 우연이다) 자전거가 바뀌는 일이 얼마나 가능할까. 하지만 이 자전거가 바뀌는 사건은 유지호가 스승인 하윤모(전국환)에게 의심을 받게 되는 큰 사건으로 이어진다. 스승의 악보를 유지호가 소홀히 관리했다는 것. 게다가 하윤모가 그 악보가 유출됐다는 것을 알게 되는 장면도 홍다미가 우연히 아르바이트로 피아노 연주를 하게 된 카페에 그가 우연하게도 거기 있으면서 생긴 일이다.

 

사건이 개연성이 전혀 없고 우연을 반복되는 것이 김순옥표 드라마들의 공통적인 특징이라면 <다섯손가락>도 거기서 자유롭지 못하다. 하윤모는 결국 이것이 자신의 오해라는 것을 알고 다시 유지호를 제자로 받아들이지만, 그는 또 유지호가 자신의 악보를 훔쳤다는 오해를 갖게 되고(이것은 모두 채영랑(채시라)의 음모지만) 다시 그를 내친다. 이 과정에서 하윤모라는 캐릭터는 마치 감정조절이 안되는 인물처럼 그려진다. 그토록 신뢰가 돈독하던 사제지간에 사건이 벌어지자마자 제자를 두둔하기보다는 그를 의심하는 섣부른 감정은 캐릭터를 매력 없게 만들어버린다. 이것은 작가의 스토리 전개를 위한 억지스럽고 인위적인 캐릭터 조종 때문에 생겨나는 일이다.

 

김순옥 작가의 드라마가 가진 지나친 비약과 과장은, 그녀의 작품이 속도에 집착하는 것조차 시청자들에게 속도의 쾌감을 주려하는 것이 아니라 이 빈약한 논리를 가리려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빨리 움직임으로써 우연의 반복과 개연성의 부족을 감추려는 안간힘. 과거의 시청자라면 ‘드라마는 원래 그래’하며 넘어갔을 수도 있을 게다. 하지만 지금이 어떤 시대인가. 시청자의 드라마를 보는 눈은 그 어느 때보다 벼려져 있다. 작은 개연성 부족 하나도 놓치지 않는 게 작금의 대중들이 아닌가.

 

<다섯손가락>이 개연성과 논리를 버리고 속도에 집착하면서 생겨나는 한 가지 맹점이 있다. 그것은 애초에 이 거친 드라마조차 감성적으로 만들어주던 피아노라는 소재가 점점 하나의 소품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 <다섯손가락>은 피아노라는 음악의 이야기는 사라지고 피아노 회사의 경영권을 차지하기 위한 암투와 욕망의 이야기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 정도면 소재가 아깝고 호연을 펼치고 있는 연기자들이 아까운 상황이다. 시청률의 추락은 당연하면서도 고무적인 일이다. 언제까지 시청률이 나온다는 이유로 완성도가 떨어지는 드라마를 계속 방치할 것인가. 시청자들의 눈은 정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