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짝', 진정성에 목숨 거는 이유 본문

옛글들/명랑TV

'짝', 진정성에 목숨 거는 이유

D.H.Jung 2012. 9. 28. 07:53
728x90

<짝> 패러디 소송 논란, 핵심은 진정성

 

<짝>이 <SNL코리아>에 민사소송을 걸었다. 이유는 <SNL코리아>의 짝 재소자 특집이 <짝>의 저작권을 침해했다는 것. SBS는 <SNL코리아> 짝 재소자 특집이 <짝>이 갖고 있는 형식인 ‘-호’, ‘도시락 선택’, ‘데이트권’ 등을 그대로 따라했다고 주장했다.

 

'짝'(사진출처:SBS)

따라한 것은 맞다. 다만 그것이 모방인지 아니면 패러디인지는 구분해야 할 것이다. SBS의 행보에 많은 네티즌들의 반응이 싸늘한 것은 바로 이 점 때문이다. 만일 이것이 하나의 사례로 남는다면 무수한 패러디들은 모두 소송의 대상이 될 것이다.

 

<무한도전>이 했던 짝 패러디도 여기서 예외일 수 없다. 또 그렇게 생각하면 <무한도전>이 시도했던 미션들 중 하나에서 가지가 나와 생겨난 <1박2일>도 마찬가지다. 이렇게 오리지널리티를 따지고 들어가면 문제는 굉장히 복잡해진다. 작금의 방송 프로그램들은 엄밀한 의미에서 완전히 새로운 창조로 만들어진다기보다는(이건 어찌 보면 불가능하다) 있는 것들의 새로운 조합으로 만들어진다고 보는 편이 맞다.

 

이렇게 엄밀하게 바라보면 <짝>이라는 프로그램 역시 그 오리지널리티를 주장하기 애매해진다. 이것 역시 해외의 리얼리티쇼 형식을 가져온 것이고, 그 안에 <사랑의 스튜디오> 같은 짝짓기 프로그램 형식을 덧붙인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무조건 베낀 것은 표절이 맞지만 그 형식을 가져와 거기에 새로운 요소를 덧붙여 창조적으로 해석한다면 그것을 표절로 몰아붙이기 힘들다. 또 패러디라는 것은 애초부터 원본을 전제하는 것이다. 누구나 패러디를 보면 그 원본을 떠올린다. 그 원본과의 비교점에서 패러디의 진가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SNL 코리아>의 짝 패러디는 말 그대로 흔하디 흔한 패러디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노골적인 베끼기가 아니라 원본을 가져와 비트는 형식일 뿐이다. 따라서 정규 프로그램도 아니고 일회성의 콩트를 갖고 저작권 침해 운운하는 것에는 어딘지 과도한 느낌이 묻어난다. 왜 이런 민감한 반응을 일으키게 되었을까.

 

사실 이번 소송 논란에서 핵심은 표절이나 모방이라기보다는 ‘진정성 훼손’으로 보인다. <짝>의 패러디가 문제가 된다기보다는 그것이 ‘진정성을 훼손하는’ 악의적인 느낌으로 받아들여졌다는 것이다. 그럴 수 있다. <SNL 코리아>에서 다룬 <짝> 패러디 속에는 재소자들을 내세워 성을 희화화한 면이 있다. 게이, 스님, 강간범 등이 등장해 성희롱을 하는 장면들이 패러디 속에는 들어 있다.

 

그렇다면 <짝>은 왜 이렇게 진정성에 목숨을 걸게 되었을까. 이런 모습은 이미 프로그램의 진정성을 훼손했다며 33기 여자3호와 31기 남자7호를 명예훼손과 계약위반으로 고소하면서 드러난 바 있다. <짝>이 진정성에 집착하는 것은 이 프로그램의 존재 근거가 바로 거기에 있기 때문이다. 기획의도에서 밝혔듯이 이 프로그램은 ‘현재 짝 없는 남녀가 짝을 찾아가는 실제 만남과정을 통해 한국인의 사랑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고 ‘가장 소중한 짝에 대한 희생과 배려와 그리고 사랑을 돌아보는 것’이 그 존재이유다. 이 진정성이 흐트러졌을 때 프로그램은 자칫 자극적인 남녀 짝짓기 행태를 포착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따라서 기획의도와 달리 특정 목적을 갖고 홍보를 위해 출연하거나 아예 자신의 과거를 속이는 식의 출연자들이 최근 계속 등장하면서 생겨난 논란들은 <짝>에게는 심각한 위협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사실 <SNL코리아>의 패러디조차 그저 한번 웃고 넘길 문제로 받아들여지지 못하는 상황은 <짝>이 그만큼 작금의 진정성 논란이 만든 위기상황에 여유조차 갖기 힘들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그런데 생각해보자. 진정성을 회복하기 위해 소송을 한다는 것이 과연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대중들은 이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과연 이것이 <짝>의 진정성 회복을 위한 노력으로 비춰질까. 진정성은 그런 식으로 회복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프로그램이 대중들에게 주는 정서적인 방식으로 해결될 문제이지, 소송 같은 법적인 판단으로 얻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프로그램의 진정성은 그 프로그램과 대중들 사이의 교감과 소통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오리지널리티를 내세워 패러디조차 모방으로 치부하는 폐쇄성으로 대중들은 과연 <짝>에서 소통과 진정성을 느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