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우리는 왜 브라우니에 열광할까 본문

옛글들/명랑TV

우리는 왜 브라우니에 열광할까

D.H.Jung 2012. 10. 2. 07:15
728x90

예능에 몰아친 ‘브라우니 신드롬’의 실체

 

“브라우니, 물어!” <개그콘서트>의 <정여사>라는 코너는 아이러니하지만 정여사보다 브라우니가 더 떴다. 물론 그렇다고 정여사라는 캐릭터를 만든 정태호의 존재감이 약하다는 얘기가 아니다. <감사합니다>에서 가능성을 보이고 <용감한 녀석들>로 주목받게 된 정태호는 <정여사>를 통해 <개그콘서트>의 중심축으로 올라섰다. 그만큼 존재감이 강하지만 브라우니의 열풍이 워낙 거세다는 얘기일 뿐이다.

 

 

'개그콘서트'(사진출처:KBS)

무언가 말 못하는 존재를 캐릭터로 세워두고 정여사는 끊임없이 제 멋대로 해석을 단다. 누굴 더 좋아하느냐고 선택을 강요하고는 (당연히) 가만있는 모습에 “브라우니 공평해!”라고 의미를 붙이는 식이다. 브라우니는 당연하지만 짖지도 않고 말하지도 않으며 심지어 움직이지도 않는다. 그러니 주인이 데리고 다니면서 마음껏 의미를 부여하는 걸 허락한다. 바로 이 제 멋대로의 해석과 의미부여를 놀이화 한 것이 바로 브라우니 열풍의 실체다.

 

<우리 결혼했어요>에 새내기로 출연하고 있는 시크릿의 선화와 제국의 아이들의 광희가 호핑볼 두 개를 놓고 벌이는 놀이는 전형적인 브라우니 놀이의 연장선이다. 시어머니와 시아버지라고 호핑볼의 캐릭터를 세우고는 그 첫 만남의 떨림을 상황극을 통해 놀이로 만들어낸다. 광희는 그 과정에서 자신의 아버지가 키가 작다며 선화에게 한껏 몸을 낮추라고 하기도 하고, 콩글리쉬로 아버지가 63빌딩만하다고 얘기하게 만들기도 했다. 물론 이것은 누군가를 상정한 것이 다르지만 본질적으로는 브라우니 놀이와 비슷하다.

 

<우리 결혼했어요>의 또 다른 커플인 이준과 오연서 역시 비슷한 브라우니 놀이를 보여준다. 즉 이준의 숙소에서 단이라는 이름의 인형을 발견하고 누구냐고 오연서가 묻자 ‘옛 애인’이라며 하는 놀이가 그렇다. 오연서가 묘한 질투의 모습을 보이자 이준은 단이를 바닥에 내팽개치는 행동을 보이기도 했다. 둘이 함께 지낼 우결마을의 집에서 수영복으로 갈아입고 나타난 이준이 단이를 자신의 발목에 묶고 나타난 것도 같은 맥락의 놀이다. 오연서는 질투하고 이준은 마치 두 여자 사이에서 괴롭다는 표정을 짓고.

 

도대체 이 아무 말도 하지 못하는 브라우니 같은 존재들과의 놀이에 빠져드는 이유는 뭘까. 아이러니한 일이지만 이것은 거꾸로 그들이 아무 말도 하지 못하고 심지어 아무런 능동성도 없는 존재이기 때문에 더 빠져들게 되는 놀이다. 자기표현을 한 가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람이 거기에 마음대로 의미부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인터넷 상으로 이른바 브라우니 관련된 수많은 놀이들이 행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우리는 누구나 브라우니를 통해 내 입장을 대변시킬 수 있다. 그는 어느 누구에게나 자신을 기꺼이 빌려주는(빌려줌으로써 가능한) 그런 존재다.

 

하지만 브라우니는 거꾸로 우리가 지금 어떤 상황에 봉착해 있는가를 에둘러 말해주는 존재이기도 하다. 소통에 대한 갈증과 더불어 그 완전한 소통은 불가하다는 현실이 브라우니 같은 존재에 대한 열광으로 이어진다. 뭐든 끝까지 들어주고 완전히 이해해주며 그들이 원하는 대로 이뤄주는 그런 존재를 우리는 현실에서 발견하기가 어렵다. 심지어 가족 간이라고 하더라도 말이다.

 

전화 하나만 들면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과 바로 연결될 수 있고, 인터넷으로 들어오면 순식간에 엄청난 수의 사람들과 접속하고 교류할 수 있다. 작은 단문 하나를 트윗하는 것으로 세상의 무수한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다는 시대지만 그래도 남는 아쉬움과 허전함은 있다. 우리는 과연 진정으로 소통하고 있는 걸까. 브라우니처럼 내 맘을 그대로 받아주고 투영해주는 그런 소통의 존재가 우리에겐 얼마나 있는 걸까. 말없는 브라우니는 우리에게 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