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남자>는 어떻게 <늑대소년>이 되었나
실로 대단한 송중기다. 그저 예쁘장한 꽃미남이라는 편견을 <뿌리 깊은 나무>의 젊은 이도 역할로 깨버리더니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남자>에서는 순수한 사랑과 복수의 양면을 가진 얼굴로 그만의 독특한 멜로를 그려냈다. 그리고 이제는 <늑대소년>이다. 대사가 거의 없고(전체 영화에서 한두 마디밖에 없다) 오로지 몸의 언어로, 표정으로 그 감정을 전해야 하는 결코 쉽지 않은 역할. 그러나 송중기는 그 역할도 자신이 가진 독특한 이미지로 구축해낸다.
사진출처: 영화 <늑대소년>
<늑대소년>은 현재 <광해>를 누르고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단숨에 87만 관객을 돌파하고 1백만 관객을 향해 달리고 있지만, 사실 허술한 구석이 많은 영화다. 어디선가 많이 보았던 설정들과 여러 장르의 결합이 매끄럽지만은 않기 때문이다. 폐가 좋지 않아 산골집으로 이사 오는 순이(박보영)의 모습은 저 <마루 밑 아리에티>의 쇼우를 연상케 하고, 늑대소년이란 설정은 뱀파이어와 늑대인간이 등장해 인간과의 사랑과 질투를 다룬 <트와일라잇>을 연상시킨다.
이 작품들이 전혀 다르게 느껴지는 것은 <늑대소년>이 저패니메이션의 정교함이나 할리우드의 화려함과 달리 좀더 B급감성에 의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늑대소년>은 공포 장르처럼 시작해서 코미디로 넘어갔다가 스릴러로 이어지고 멜로로 끝을 맺는다. 이렇게 수많은 장르를 넘나들 수 있는 것은 이 작품이 이미 장르에 대한 이해와 허용을 바탕에 깔고 그 위에서 이야기를 전개해나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장르의 변주는 그다지 완성도가 높지 않다. 그것은 아마도 제작비와도 관련이 있을 듯 싶은데, 예를 들어 늑대소년 철수와 순이의 사랑을 막는 적들이 너무 전형적이고 약하게 느껴지는 것은 물론 악역의 캐릭터 구축이 평이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악역의 스케일이 너무 약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도대체 이 괴력의 늑대소년을 어떻게 단 십수 명의 사내들이 막아낼 수 있단 말인가.
그래서 그런 빈약한 구석을 영화는 코미디적인 설정으로 넘어서려 한다. 다행스러운 것은 이 영화가 궁극적으로 그리는 장르가 코미디도 공포도 스릴러도 아닌 멜로라는 점이다. 인간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늑대소년의 지고지순한 사랑. 흔히 늑대개와 인간의 우정을 그린 영화들의 감성이 여기서는 늑대개를 인간으로 바꾸어놓음으로써 세월을 뛰어넘는 충성스런 사랑의 이야기가 되었다.
놀라운 것은 이 모든 장르적인 특성들, 이를테면 코미디와 공포와 스릴러와 멜로의 다양한 변주를 송중기가 잘 버텨내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영화 속에서 한없이 웃기고, 때론 무섭게 돌변하며, 긴박감을 주면서 동시에 아련하고도 안타까운 사랑의 아이콘이 되어 준다. 영화적인 허점들이 만들어내는 균열을 송중기라는 연기자가 하나 하나 메워주는 인상이다.
전형적인 청춘 멜로에 적합할 것이라는 편견은 <착한남자>를 거처 <늑대소년>을 통해 완전히 깨져버린다. 그는 여전히 청춘 멜로에 적합하지만, 그의 스펙트럼은 거기에 머물지 않는다는 것을 <늑대소년>의 철수는 보여주었다. 송중기 하나를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를 주는 영화, 바로 <늑대소년>이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미제라블'과 대선, 서민들이 염원한 것 (9) | 2012.12.21 |
---|---|
'26년'과 '남영동', 왜 속 시원한 복수가 없을까 (2) | 2012.12.05 |
'MB의 추억', 웃고 있어도 왜 눈물이 날까 (0) | 2012.11.04 |
50주년 맞은 007, 여전히 유효한가 (1) | 2012.10.31 |
'광해'의 천만, 대중은 왜 시큰둥할까 (6) | 201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