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메이퀸>, 다른 게 막장드라마가 아니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메이퀸>, 다른 게 막장드라마가 아니다

D.H.Jung 2012. 11. 13. 09:05
728x90

개연성 잃어가는 <메이퀸>, 문제는?

 

만일 막장드라마를 의도된 막장드라마와 의도치 않은 막장드라마로 나눌 수 있다면 <메이퀸>은 후자에 해당할 것이다. <메이퀸>은 물론 초반부에 어린 해주(김유정)를 아동학대에 가깝게 핍박하는 계모 달순(금보라)의 에피소드가 과한 면이 있었던 게 사실이지만 그 과한 설정에 나름대로의 개연성이 없었던 건 아니다. 하지만 중반을 넘겨온 <메이퀸>은 본래 하려던 이야기를 잃어버린 채 이리저리 자극적인 상황만 쫓는 꼴이 되어버렸다.

 

'메이퀸'(사진출처:MBC)

해주(한지혜)와 창희, 그리고 강산(김재원)과 인화(손은서)의 멜로 라인의 변화를 보면 이는 단박에 드러난다. 자신의 아버지가 해주(한지혜)를 키워준 천홍철(안내상)을 죽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 창희(재희)가 해주와 헤어지고 갑자기 인화와 가까워지는 얘기는 그럴듯한 이유와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심지어 인화는 어렸을 때부터 강산을 쫓아다니던 인물이 아닌가. 그런 인화가 어느 날 갑자기 자신에게 다가오는 창희에게 마음을 빼앗기는 데는 어떤 계기가 필요할 텐데 그런 면도 전혀 드러나 있지 않다.

 

어느 날 갑자기 다가온 창희 앞에서 인화가 두근거리는 가슴을 느끼고는 “내가 왜 이러지?”하는 장면으로 그 관계의 변화를 설명한다는 것은 작가로서는 직무유기에 해당한다. 사실 이런 합당한 이유 없이 돌변하는 심경의 변화는 캐릭터를 아주 우습게 만들어버린다. 창희야 복수를 위해 인화에게 의도적으로 다가갔다는 심증을 가질 수 있지만 당사자인 인화는 다르다. 인화라는 캐릭터는 여기서 어떤 성격을 품고 스스로 움직이는 인물이 아니라 작가에 의해 조종되는 인형으로 전락한다.

 

<메이퀸>에서 이렇게 조종되는 캐릭터들은 의외로 많다. 또 하나의 불운의 캐릭터가 장일문(윤종화)이다. 일문은 전형적인 민폐 캐릭터로서 그가 나오는 장면은 하나의 클리쉐로 처리된다. 즉 그는 어떤 잘못을 저지르고는(늘 그렇다) 아버지인 장도현(이덕화)에게 두드려 맞거나, 해주를 “너 까짓 게” 식의 안하무인격으로 대하거나 어머니인 이금희(양미경)에게 분노를 드러내고 때론 읍소를 가장하는 식의 역할로 고정되어 있다. 그는 성장이 멈춰진 인형처럼 보인다.

 

이것은 장도현이나 늘 해주에게 민폐를 끼치는 천상태(문지윤), 또 아들만을 생각한다는 명분으로 갖은 악행을 제 손으로 저지르는 어리석은 박기출(김규철)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너무나 전형화되어 있어 그들이 등장하면 앞으로 전개될 일들이 거의 예측 가능한 그런 인물들이다. 물론 이런 캐릭터들도 드라마에 필요하다. 하지만 작품이 중반을 넘어가면서 그렇지 않아야할 중심인물들도 자꾸만 작가에 의해 휘둘리는 모습이 등장한다. 이금희는 그 대표적인 사례다.

 

처음에는 인화와 창희의 결혼에 대해서 그다지 반대하는 입장이 아니었다가 어느 날 일문이 찾아와 창희가 검찰에 있을 때 아버지를 잡으려 했었다는 얘기를 듣고는 그녀는 돌변한다. 그리고 창희를 찾아와 결혼을 반대한다고 말하지만, 이러한 입장은 또 단 한 회만에 바뀐다. 인화가 결혼을 반대하면 죽어버리겠다고 엄포를 놓자, 결혼을 허락하겠다고 바뀌게 된 것. 사실 이런 캐릭터의 입장 변화는 있을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드라마에서 캐릭터의 심경변화에는 그만한 심리적인 시간이 필요한 법이다. 결국 시간을 기다리지 못하고 캐릭터를 이리저리 작가 자의적으로 바꾼다는 건, 개연성을 포기한다는 얘기나 마찬가지다.

 

또한 <메이퀸>은 너무 인물의 죽음이 너무 흔하다. 특히 장도현이라는 인물은 이 드라마에서 마치 킬러처럼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죽일 수 있는 인물이 되어 있다. 그는 해주의 친 아버지인 윤학수(선우재덕)와 강산의 아버지와 할아버지 강대평(고인범)까지 죽게 만든 인물이다. 역시 인물의 죽음은 언제든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어떤 사건이 벌어졌을 때 그것을 무마하는 방식으로 살인이 자행되는 것은 너무 쉬운 방편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이 모든 것이 작가의 의도적인 막장 전개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메이퀸>은 작가의 역량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결국 개연성과 본래 의도를 잃어버리게 된 막장드라마의 경우라고 생각된다. 가족드라마로서의 가족에 대한 의미도 제대로 담지 못했고, 시대극으로서의 시대적인 상황을 잘 조명해내지도 못했으며, 조선업이라는 특정 전문 분야에 대한 본격적인 전개도 잘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면 남은 건 뭘까. 뻔한 복수극과 출생의 비밀을 놓고 벌어지는 신파밖에 없다.

 

이 드라마가 본래 갖고 있던 기획의도를 다시 살펴보자. ‘이 드라마는 광활한 바다에서 꿈을 꾸는 젊은이들의 이야기이다. 이 나라 조선업이 발전하던 시기에 태어난 그들이 부모 세대의 원한과 어둠을 청산하고 새로운 시대의 해양으로 진출하려는 이야기이다. 그리하여 오늘 고단하게 살고 있는 젊은이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고자 한다.’ 이 드라마 어디에 젊은이들이 용기와 희망을 갖게 되는 이야기가 있는가. 도대체 어디에 우리나라 조선업의 성장과정이 담겨있는가. 부모 세대의 원한과 어둠을 청산하기는커녕 그 원한과 어둠을 동력으로 삼아 굴러가고 있는 게 바로 <메이퀸>이 아닌가. 다른 게 막장드라마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