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전문직 드라마가 말해주는 시청률

728x90

달라진 환경, 시청률 믿을만한가

‘주몽’, ‘외과의사 봉달희’, ‘하얀거탑’ 같은 굵직한 드라마들이 일제히 종영한 상황에서 새로운 드라마들을 들고 나온 방송 3사의 시청률 경쟁이 과열양상을 띄고 있다. 특히 수목극 경쟁은 시청률 차이의 격차가 별로 없는 상황에서 누가 실질적인 1등이냐를 두고 갑론을박하는 상황. 편법적인 편성시간 배정이 시청률 순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들이 나왔다.

이렇게 방송사들이 시청률에 집착하는 이유는 당연하다. 그것은 광고수익이라는 실질적인 이득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 큰 이유는 한 편의 시청률 높은 드라마가 방송사의 기업 이미지까지 높여주기 때문이다. 또한 한 편의 드라마는 여타의 프로그램에도 고스란히 영향을 미쳐 ‘주몽’같은 경우 월화의 뉴스 및 개그 프로그램의 시청률에도 그 후광을 주었다.

하지만 여기서 생각해볼 문제가 있다. 이렇게 숫자로 대변되는 시청률이 얼마나 믿을만한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것은 지난해 시청률 조작사건논란이 터졌을 때 불거져 나왔던 공정성에 대한 의문이 아니다. 대신 이것은 최근 달라지고 있는 시청자들을 기존 시청률 집계가 얼마나 반영하고 있느냐의 문제다.

‘하얀거탑’과 같은 전문직 드라마가 나오기 전까지 이런 논의는 탁상공론처럼 보였다. 왜냐하면 새로운 시청자의 존재를 담아낼 만한 이렇다할 새로운 드라마가 없었기 때문. 하지만 ‘하얀거탑’이라는 본격적인 전문직 드라마의 등장은 그 수면 밑에 있던 새로운 시청자들이란 존재를 예측하게 만들었다.

50% 이상의 시청률을 자랑하던 ‘주몽’보다 더 열광적인 반응을 보인 ‘하얀거탑’의 평균시청률은 고작 16%(TNS 집계). 마지막회에만 23.2%로 20%를 넘겼을 뿐, 나머지는 모두 10%대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그렇다면 두 가지 예측이 가능해진다. 그 많은 댓글과 반응을 보인 ‘하얀거탑’의 시청자들은 드라마폐인으로 대변되는 매니아집단이거나, 혹은 TV보다는 인터넷을 통해 더 많이 본 사람들이라는 것.

하지만 어떤 면으로 보면 이 두 예측은 같은 줄기에서 나온 다른 얘기로 볼 수 있다. ‘하얀거탑’과 같은 전문직 드라마의 탄생에는 저 물밑에서 감지됐던 미드, 일드 매니아들의 존재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들은 시청률 집계의 사각지대에 놓인 인물들로 TV보다는 인터넷이 더 가까운 시청자들이다. 그들은 정해진 시간에 TV 앞에 앉아서 드라마를 보는 것보다 자기가 원하는 시간에 다운로드받은 드라마를 보는 것을 선호한다.

그런데 과연 이들 매니아집단을 일부 소수라고 치부할 수 있을까. 우리는 흔히 매니아라고 하면 마이너리티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과거 인터넷이란 매체의 등장과 관련이 있는데, 초창기 이 세계를 바꿀만한 충격적인 매체의 등장에 대해 상대적으로 적응속도가 늦었던 기성세대들이 달라진 젊은 세대들의 생활패턴을 부정적으로 해석한데서 비롯된다.

하지만 누구나 인터넷을 사용하는 지금, 매니아의 의미를 소수의 의미로 받아들이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인터넷이란 매체의 속성상 그걸 사용하고 있는 우리들은 이 매체 속에서 모두 매니아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 즉 달라진 환경 속에서 매니아적 성향은 특정 소수집단의 행동이 아니고 대부분의 성향이라는 것이다. 이제 매니아라는 말은 소수가 아닌 좀더 집중력 있고 충성도 높은 일반인으로 읽혀져야 한다.

그런 의미의 매니아가 드라마에 있어서 더 열광적으로 반응하는 이유는 그 매체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TV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간적으로 보고 지나가지만(물론 VTR로 녹화해서 반복해보는 사람도 있을지 모르지만) 인터넷은 그 자체가 저장성을 갖는다. 다운로드받는 순간 몇 번씩 반복해서 볼 수 있고 정지시켜 특정 장면을 분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은 너무 단순하고 너무 쉬운 구조의 드라마들에 식상해버린다. 마치 대학생에게 초등학생 덧셈 뺄셈 문제를 풀라고 하는 식이다(실제로 TV는 초등학교를 졸업한 정도의 지적 수준으로 드라마를 90% 이상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을 다룬다).

이것은 이들이 미드와 일드에 열광하는 이유이자 우리에게 전문직 드라마의 출현을 요구하는 이유가 된다. 이들의 질문은 “왜 우리는 없는가? 왜 우리는 안 되는가?”에서부터 비롯된다. 기존 트렌디 드라마에 대한 비판들이 쏟아져 나온 것은 바로 이렇게 달라진 환경 속에서 우리네 식상한 드라마가 쉽게 눈에 띄었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런 경향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하나의 대세이고 우리네 드라마가 가야할 방향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제 글로벌한 환경 속에서 우리 드라마의 시장은 국내가 아닌 세계로 넓혀져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작은 우물 속에서 성장하지 못해 결국은 죽게되는 상황에 직면할 지도 모른다.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야 하고 투자도 글로벌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달라져야할 것이 있다. 그중 가장 시급한 것이 달라진 환경에 맞는 새로운 시청률 기준이다. 공중파와 시청률 집계 조사기관들이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식의 구태의연한 시청률 분석을 고수하고 있는 한, 드라마 발전은 저해될 수밖에 없다. 드라마를 너무 시청률로만 보는 건 좋지 않지만, 기왕 시청률로 본다면 제대로나 해야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