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땡큐>, 위기의 토크쇼의 대안인 이유 본문

옛글들/명랑TV

<땡큐>, 위기의 토크쇼의 대안인 이유

D.H.Jung 2013. 1. 3. 08:30
728x90

<땡큐>, 박찬호와 혜민스님은 어떻게 소통했을까

 

박찬호의 거대한 손가락이 하나에서 여섯까지 펴지면서 ‘귀요미’를 연발하자, 혜민스님도 초절정의 ‘귀요미’를 따라해 보여준다. 메이저 리그를 주름잡던 코리안 특급 박찬호, 그리고 베스트셀러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로 힘겨운 삶을 살아가는 수많은 대중들에게 위로와 위안을 준 혜민스님. 이 너무나 달리 살아온 두 사람이 ‘귀요미’ 동작 하나로 하나가 된다. 그걸 바라보는 차인표는 뜨악해 하면서도 결국에는 자신의 버전인 ‘분노의 귀요미(?)’를 보여준다. 놀라운 일이 아닌가. 무엇이 이들을 이렇게 무장해제 시킨 걸까.

 

'땡큐'(사진출처:SBS)

<땡큐>, 이건 토크쇼일까. 버라이어티쇼일까. 이 파일럿 프로그램에 출연한 차인표와 박찬호 그들 스스로가 예능도 아니고 다큐도 아니고 교양도 아닌 프로그램이라고 말한 것처럼 <땡큐>는 그동안 넘어서지 않았던 수많은 프로그램의 경계들을 훌쩍 뛰어넘는다. 스님, 배우 그리고 야구선수가 한 자리에 서 있다는 것이 그렇고, 이들이 강원도 산골로 48시간의 여행을 떠나는 버라이어티쇼적인 요소와 중간 중간 진지한 대화를 나누는 토크쇼적인 요소가 뒤얽혀 있는 것도 그렇다. 도대체 <땡큐>의 정체는 뭘까.

 

사실 정체가 그다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중요한 건 이 서로 이질적인 조합들이 함께 어우러지면서 차츰 차츰 그 사이에 놓여 있던 벽을 허물어뜨리는 그 소통의 과정을 본다는 것이다. 차인표의 기타 반주에 혜민스님이 ‘Perhaps Love’를 부르고 박찬호가 그 노래와 광경을 바라본다. 박찬호가 열등감이 많았던 어린 시절을 얘기하면 혜민스님은 아주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열등감 해소법을 알려준다. 물론 혜민스님이 늘 상담역만 해주는 건 아니다. 자신의 책에 대해 “값싼 힐링 아니냐”는 비판을 받았다는 혜민스님의 얘기에는 박찬호가 자신의 미국에서의 무명시절을 얘기하며 ‘그저 들어주는 것’이 얼마나 큰 위로인지를 알려준다.

 

함께 스파게티를 만들어 먹으면서 그들은 자연스럽게 결혼과 연애 이야기를 한다. 두 유부남의 결혼스토리와 스님의 출가 전 연애이야기까지. 사실 어디서도 듣기 어려운 이런 이야기들이 가능한 것은 이 프로그램이 갖는 독특한 방향성 때문이다. <땡큐>는 이질적인 인물들의 조합과 그들의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 자체가 소통을 지향하고 있다. 스님과 배우 그리고 야구선수는 서로 너무나 다른 환경에서 살아왔지만 이 48시간의 어우러짐 속에서 그것이 형태만 달랐지 삶의 양태는 다르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이 소통의 과정을 체험하거나 들여다본다는 것. 그것만으로도 우리는 충분한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흔히들 토크쇼의 위기를 말하는데, 이것은 넓게 보면 소통의 위기라고도 할 수 있다. 토크쇼는 그 형식이 무엇이든 소통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이 첫 번째다. 그런 토크쇼가 소통하지 못하게 된 것은 지나치게 형식에 연루되거나 본래 목적인 소통이 어느 순간 희석되어 버리는 느낌 때문이다. 게스트가 단체로 나오면 신변잡기로 흐르기 십상이고, 일인 게스트로 나오면 자칫 그 사람의 홍보쇼가 되어버린다. 때로는 MC들이 너무 전면에 나서면서 주객이 전도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형식을 파하고 카테고리화 되기 마련인 게스트 섭외를 파하고 또 심지어 게스트와 MC의 경계를 파한 <땡큐>는 작금의 토크쇼 위기에 하나의 대안을 제시해준다. 이들은 스튜디오라는 답답하고 규격화된 공간을 벗어나 때론 산장에서 담소를 나누고 때론 계곡물에 입수를 하며 때론 산사에서 차를 마시면서 이야기를 나눈다. 연예인과 비연예인 게스트로 나뉘던 기존 토크쇼와 달리 연예인이건 스포츠선수건 아니면 스님이건 상관없이 한 곳에 모여 어린아이처럼 뒹굴면서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여기에 직업적 편견은 사라져버린다.

 

가장 흥미로운 건 전체를 진행하는 MC 없이도 가능한 토크쇼라는 점이다. MC라는 존재는 그 자체로 토크쇼의 형식을 규정해버린다. 누가 MC가 되느냐는 그래서 토크쇼의 가장 중요한 선택 중 하나다. 하지만 MC가 없이 때로는 차인표가 때로는 혜민스님이 또 때로는 박찬호가 질문하고 답하는 이 자연스러운 대화는 우리가 토크쇼라는 형식에 매몰되면서 잃어버렸던 것이기도 하다. MC와 게스트를 구분할 수 없으니 중심과 변방이 있을 수 없다. 그저 툭툭 생각나는 대로 이야기를 던지고 받는 것으로 충분한 셈이다.

 

사실 소통에는 형식도 구분도 필요 없다. 그저 통하면 되는 것이다. <땡큐>는 파일럿 프로그램이지만 그런 점에서 기존 토크쇼의 위기에 한 가지 해법을 제시해주고 있다. 토크쇼에서 결국 중요한 것은 소통의 즐거움이다. 그것을 위해서 이질적인 게스트들을 한데 모아놓거나, 산사나 계곡 어디든 못갈 것이 무엇인가. 굳이 이야기에 강박증 걸린 것처럼 취조하듯 좁은 스튜디오에 몇 시간씩 감금(?)시켜놓고 어떻게 진정한 소통에 이를 것인가. 대중들은 이제 진짜 이야기를 원한다. <땡큐>는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