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모두 드라마 앞으로 정렬!

728x90

드라마, 연예의 중심에 서다

실로 ‘골드 러쉬’에 비견해 ‘드라마 러쉬’라 할만하다. 5분 짜리 뮤직비디오면 충분했을 내용을 가지고 굳이 두 시간 짜리 뮤직드라마를 만든 이효리부터, 연기면 연기 노래면 노래 어느 쪽에서도 호평을 얻고 있는 비, 정지훈, 게다가 최근 연기자로서의 확고한 위치를 만들어버린 윤계상까지 가수들의 드라마 러쉬는 일반적인 현상이 되었다. 여기에 최근 들어 본격화된 영화배우들의 드라마 U턴이 본격화되면서 그 어느 때보다도 드라마에 거는 우리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무엇이 이들을 드라마 앞에 줄서게 했을까.

드라마 앞에 줄서는 가수들
가수들의 드라마 출연은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명랑소녀성공기’로 스타덤에 올라 중국에서 한류스타로 활동하고 있는 장나라, ‘어느 멋진 날’, ‘눈의 여왕’에 출연한 성유리, 드라마 ‘궁’으로 화제를 만든 ‘윤은혜’, ‘풀하우스’로 드라마에서부터 최근에는 박찬욱 감독의 ‘사이보그지만 괜찮아’로 연기로도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비, 때론 터프하게 때론 코믹하게 연기변신을 보여주는 에릭, ‘내 이름은 김삼순’에서 주목받기 시작해,‘너는 어느 별에서 왔니’에서 확실한 연기를 보여준 정려원, ‘사랑에 미치다’로 가수 연기자들의 문제가 되곤 하던 연기력 논란을 잠재우고 있는 윤계상 등등.

이들의 드라마 진출은 음반 시장의 위축과 함께 예고되었던 일이다. 드라마가 가수들에게 매력적인 요인은 고정적인 TV 노출을 통해 자연스러운 홍보 효과와 이미지 제고를 할 수 있는 데다, 드라마 자체의 성공을 통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가수 영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게 되는 드라마 PD들의 상황도 한 몫을 차지한다. 드라마로 시작했지만 영화판으로 넘어가 돌아오지 않는 연기자들이 많아지자 마땅한 탤런트를 찾기가 어려웠던 것이 사실. 또한 참신한 인물을 쓰는데 있어서도 이미 고정 팬을 확보하고 있는 가수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물론 이들 가수들의 드라마 진출이 모두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가장 큰 복병으로 자리하는 것이 연기력 논란. 일단 이 논란에 휘말리게 되면 자칫 그 가수 연기자 한 명 때문에 작품 전체가 매도당하는 상황까지 벌어진다. 하지만 이런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그 가수 연기자의 성공적 데뷔는 드라마 성공에도 시너지 효과를 주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들 가수들의 성공한 드라마를 분석해보면 정극보다는 가벼운 로맨틱 코메디류가 많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이것은 만화 같은 과장된 캐릭터의 연기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연기력에 대한 안전장치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소위 리얼한 연기보다는 캐릭터가 재미있기 때문에 드라마는 성공하고 가수는 안전하게 드라마라는 새로운 처녀지에 발을 디딜 수 있게 된다.

영화판에서 드라마로 U턴하는 영화배우들
하지만 앞으로 연기자 기근 같은 드라마 PD들의 고민은 상당수 줄어들 전망이다. 최근 충무로의 불황이 도래하면서 잇따라 영화판을 고집하던 연기자들이 속속 드라마로 귀환하고 있기 때문이다. KBS 2TV 월화드라마 ‘꽃 찾으러 왔단다’로 9년 만에 드라마로 돌아오는 강혜정은 ‘올드보이’, ‘웰컴 투 동막골’ 등으로 영화배우로서의 입지를 넓혀왔으나, 최근 ‘도마뱀’, ‘허브’ 등의 잇따른 부진으로 드라마 복귀가 예상되었던 연기자이다.

이런 상황은 SBS 드라마 ‘푸른 물고기’로 역시 9년 만에 복귀 예정인 고소영도 마찬가지. 최근 개봉했던 ‘아파트’, ‘언니가 간다’가 흥행 참패를 하면서 고배를 마셨다. 또한 이정재가 MBC 특별기획 드라마 ‘에어시티’로 9년 만에 드라마 복귀를 준비하고 있고, ‘그 해 여름’으로 확실한 연기자로서의 이미지를 만든 수애 역시 2년 만에 ‘9회말 2아웃’을 통해 TV로 돌아올 예정이다. ‘청연’으로 역시 아픈 부진의 기억을 갖고 있는 장진영 역시 블록버스터 드라마 ‘엔젤’로 6년만의 드라마 복귀를 준비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물론 충무로의 불황이 가져온 여파가 크다. 투자 분위기가 위축되면서 제작편수도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어 출연할 작품 찾기가 쉽지 않은 탓이다. 무엇보다 영화배우들에게 더 어려운 상황은, 작년 굵직한 연기자들을 내세워 쉽게 투자 받아 방만하게 만들어진 작품들의 잇따른 흥행실패이다. 그것은 실패를 맛본 영화배우 당사자에게도 치명타가 되지만 영화계 전체의 영화배우를 보는 시각을 돌려놓았을 거라는 예측이다.

드라마, 침체된 문화 살릴까
이처럼 가수와 영화배우들이 드라마 앞으로 정렬하는 것은 자체적인 불황을 넘어서기 위한 자구책의 성격이 강하다. 하지만 여기서 하나 더 궁금한 것이 있다. 도대체 드라마라는 장르가 무엇이기에 이렇게 모든 불황의 돌파구로서 자리하고 있느냐는 것이다. 그 이유에는 드라마 자체의 특성이 갖는 경쟁력과, 최근 드라마가 겪고 있는 변화의 조짐, 두 측면이 있을 것이다.

드라마는 우리 대중문화에 있어 늘 든든한 허리 역할을 해왔다. 그것은 TV가 영화와 달리 돈을 내지 않고 누구나 손쉽게 틀어 볼 수 있는 대중성을 확보한 매체이기 때문이다. 어떤 것이든 끌어안을 수 있는 포용력이 넓고 가능성을 찾기도 쉬운 매체인 TV에서 그 꽃은 단연 드라마이다. 두 시간 남짓하고 끝나는 영화와 달리, 작게는 서너 달에서부터 길게는 1년에 걸쳐 연속적으로 방영되는 드라마는 중독성에서 영화를 압도한다. 최근에는 인터넷 환경과 만나면서 이 중독성은 점점 더 깊어지고 있다. 그 중독성의 핵심에 있는 것이 바로 주인공 캐릭터. 장기간에 걸쳐 노출된 캐릭터를 통해 연기자는 그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영화나 음반보다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드라마 자체가 갖고 있는 매력과 함께 최근 변화되는 우리네 드라마의 양상도 연예인들의 드라마 러쉬를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해외의 드라마들과 비교되면서 좀더 높은 완성도와 스케일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 우리는 거의 영화와 같은 수준의 드라마를 꿈꾸는 단계에 와 있다. 전문직 드라마들과 블록버스터 드라마들이 기획되어지고 있는 것은 우리가 갖고 있는 영화적인 노하우를 이제는 드라마에서도 써먹어야 할 상황이 도래했다는 걸 말해준다.

드라마 한 편에는 실로 우리가 갖고 있는 모든 문화적 자산들이 들어있다. 거기에는 영상이 있고 스토리가 있으며 연기자들이 있고 노래가 있다. 괜찮은 드라마 한 편의 성공이 갖는 의미는 이제 드라마에 멈추지 않는다. 어쩌면 문화계 전반의 침체된 분위기를 반전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연예의 중심에 선 드라마. 모두 드라마 앞으로 정렬하기 시작한 지금, 무엇보다 필요한 건 이 풍부한 자원들을 제대로 활용해 제대로 된 작품을 만들어내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