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남자', 신세경의 속물적 사랑에 누가 돌을 던지랴

728x90

<남자가 사랑할 때>의 승승장구, 이유 있었네

 

‘사과가 썩은 것은 사과 잘못이 아니다.’ 대부업체의 깡패로 살아가던 한태상(송승헌)의 마음을 뒤흔든 것은 혹시 이 문구 때문이었을까. 7년 전 서미도(신세경)의 아버지가 운영하는 헌책방 서씨글방에 빚 독촉을 하러 간 한태상이 본 그 입구에 적혀져 있던 문구. 혹시 집나간 어머니와 동생, 그리고 죽어버린 아버지로 인해 빚더미에 올라앉아 결국은 그 깡패들의 일을 하며 썩은 사과의 삶을 살게 된 그에게 그 문구는 남다른 의미로 다가왔던 것은 아닐까.

 

'남자가 사랑할 때'(사진출처:MBC)

한태상은 바로 그 문구로 인해 자신이 이 썩은 사과의 길로 들어서게 됐던 때의 일을 떠올렸을 지도 모른다. 그러니 공양미 삼백 석에 인당수에 몸을 던지는 마음으로 한태상을 찾아온 서미도의 “그렇게 살면 좋아?”라는 질문에 마음이 흔들렸을 지도. 공부 잘 하는 학생에서 어느 날 가족들로 인해 길바닥으로 내던져진 한태상에게, 빚만큼 자신을 사라는 서미도의 당돌한 제안이 남 일처럼 여겨지지 않았을 게다.

 

“가끔 인생은 이런 날이 있다는 걸 알려주고 싶어서. 이제 끝장이다 싶을 때 작은 쥐구멍 하나가 나올 수도 있어. 아직 어려서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것 같은데 그러지 마라. 함부로 널 놓지 마.” 더 이상 동네의 구경거리가 되기 싫어 인생의 끝장을 선택한 서미도에게 던지는 한태상의 이 말은 그래서 과거의 자신에게 하는 말이기도 하다.

 

<남자가 사랑할 때>의 한태상과 서미도의 사랑은 이렇듯 시작부터가 다르다. 거기에는 운명적인 만남 따위는 없다. 다만 치열한 현실이 있고, 그 현실에 대한 동병상련이 있을 뿐이다. 가난했던 그들은 바로 사랑의 지고지순함을 얘기하지 않는다. 오히려 당당하게 돈이 줄 수 있는 행복을 부정하지 않는다. 만일 한태상의 금전적인 지원이 없었다면 서미도의 인생은 그것으로 끝장나지 않겠는가. 이 속물적인 사랑에 그 누가 돌을 던질 수 있을까.

 

하지만 그런 서미도에게 운명적인 만남이 다가온다. 그 운명적인 연인 이재희(연우진)를 만나는 곳이 해외의 휴양지라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완전히 다른 공간에서의 완전히 다른 나를 경험하게 해주기 위해 한태상이 보내준 해외출장에서 서미도는 이재희를 만난다. 현실에서 한 뼘쯤 들어 올려진 공간에서야 비로소 현실을 벗어나 온전히 가슴 설레는 사람을 만날 수 있었던 것. 서미도가 한태상과 이재희 사이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것은 어장관리가 아니라 이 두 개의 사랑이 그만큼 다르기 때문이다.

 

<남자가 사랑할 때>가 보여주는 사랑은 겉으로 보면 너무나 전형적이다. 전형적인 삼각관계에서 갈등하는 신데렐라 이야기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 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전혀 다른 결을 볼 수 있다. 그것은 신세경이 연기하는 서미도라는 캐릭터에서 비롯된다. 이 캐릭터는 <패션왕>에서 신세경이 연기했던 이가영을 닮았다. 끊임없이 남자 사이에서 갈등하고 지극히 속물적이지만 그렇다고 비난할 수도 없는 그런 캐릭터.

 

아마도 태생적으로 부자인 삶을 살게 된 인물들의 사랑이라면 이러한 사랑을 하면서도 돈과 현실에 솔직한 모습에 거부감이 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남자가 사랑할 때>에 등장하는 멜로의 장본인들은 태생적 부유함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인물들이다. 그들이 설 수 있는 풍족한 삶의 맨 밑바탕은 한태상이 떠받들고 있고 그 위에 서미도와 이재희가 서 있다. 이 현실적인 부분은 서미도 같은 캐릭터가 스스로도 말하는 ‘속물’ 근성을 오히려 공감가게 만드는 요인이다. 사랑 사랑 하지만 길바닥에 내던져져 당장 살 수가 없는 마당에 무슨 놈의 사랑인가.

 

그래서 이 갈수록 각박해져 가는 현실 속에서 서미도의 속물적 사랑은 거꾸로 그녀를 그렇게 만든 사회시스템을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사과가 썩은 것이 어찌 사과 잘못이겠는가. 다만 그렇다고 사랑은 사라지지 않는다. 약간은 빗나가고 약간은 속물적일 지라도 그렇게 솔직한 사랑의 모습은 그래서 <남자가 사랑할 때>의 멜로를 남다르게 보게 만든다. 때로는 현실을 벗어난 운명 운운하는 것보다 지극히 현실적이고 속물적인 사랑이 더 마음에 닿을 때도 있다는 것을 이 드라마는 보여준다.